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조선과 고구려의 만남

고조선과 고구려의 만남

(길림성 통화 만발발자 유적)

박선미, 강인욱, 강현숙, 이종수, 이후석, 김상민, 양시은 (지은이)
동북아역사재단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고조선과 고구려의 만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조선과 고구려의 만남 (길림성 통화 만발발자 유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61876599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1-10-31

책 소개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130권. 중국 길림성 통화시 만발발자 유적은 고조선과 고구려 문화가 상하 순서로 퇴적된 채 처음으로 발견된 대형유적이다. 이에 고조선과 고구려 전공 학자가 출토자료를 꼼꼼히 분석하고 주변 고고학 유적과 비교, 검토했다.

목차

4. 목차
4 책을 펴내며

고조선 ·고구려사 속의 통화 만발발자 유적 박선미
11 유적의 발견 경위와 의미
18 통화지역의 역사·지리적 환경
22 통화지역의 고고학적 배경
25 만발발자 유적 속의 고조선과 선(先)고구려 문화
36 고조선과 고구려의 접점 찾기
41 고조선 주민과 선고구려 주민의 연속

통화지역 모피 생산 집단의 흥망으로 본 고조선에서 고구려로의 전환 과정 강인욱
49 만발발자 유적과 고대 통화지역의 문화
51 통화지역 묘제의 구성과 변천
66 무덤으로 본 만발발자 사회의 특성
74 만발발자 집단의 성격
90 새로운 연구의 지평을 기대하며

만발발자 유적의 무덤과 고구려 형성기 적석총 강현숙
97 고구려 적석총의 연원은 어디에
98 고구려 형성기의 무덤
116 만발발자 유적 무덤의 종횡 관계
125 만발발자 유적 무덤과 고구려 형성기 적석총의 관계
132 더 많은 고고학 자료를 기대하며

토광묘와 집장묘의 계통과 성격 이종수
137 토광묘와 집장묘를 둘러싼 논의들
139 만발발자 유적에서 발견된 토광묘와 집장묘
147 토광묘가 만들어진 시기
150 심양 정가와자 유적 토광묘와의 관계
154 토광묘를 사용한 사람들은 누구인가
156 집장묘는 왜 만들었을까
164 탐색의 확장: 선고구려문화의 백제 계승 문제

혼강 유역의 세형동검문화와 만발발자 유적 이후석
171 혼강 유역 세형동검문화의 주인공은
173 혼강 유역의 유적 분포와 만발발자 유적
178 청동유물 출토 유구와 주요 유물
194 세형동검문화의 특징과 네트워크의 변천
212 혼강 유역의 세형동검문화와 고조선-고구려

만발발자 유적 철기를 통해 본 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등장 배경 김상민
217 후기 고조선과 초기 고구려의 철기문화는 같은 맥락 속에 이어지는가
220 만발발자 유적 철기의 출토 양상
227 만발발자 유적 철기문화의 시·공간적 변화
239 천산산맥 이동 지역 후기 고조선~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전개
255 초기 고구려 철기문화의 완성에 대하여

만발발자 유적을 통해 본 고구려 토기의 기원과 형성 양시은
261 고구려 토기의 기원 문제
262 만발발자 유적 출토 고구려 토기
274 압록강-환인 일대에서 출토된 토기와의 비교
290 고구려 토기의 기원과 형성
294 꾸준한 연구의 축적을 기대하며

301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중·고등학교 졸업(1970, 1973) 동국대학교 및 同대학원 졸업(관광지리학) 문학사(1978), 문학석사(1982), 문학박사(1991) 동국대학교 강사 및 연구원(1982~1990) 광주대학교 관광학과장 :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1990~2001) 한세대학교 국제관광학과 : 부교수, 교수(2001~2022) 한세대학교 관광경영학부장, 학생처장, 연구소장, 평생교육원장 역임 유타대학교(Univ. of Utah) 초빙교수 역임 제16대 대통령 인수위 사회문화여성분과 자문위원 역임 한국관광연구학회 회장 역임 한국컨벤션학회 부회장 역임 한국관광학회 부회장 역임 한세대학교 국제관광학과 명예교수(2022.3.1.~) 대한민국 정부 홍조근정훈장 받음(2022.2.)
펼치기
강인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졸업하고 러시아과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꾸던 고고학을 평생의 업으로 살고 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및 한국 고대사・고고학연구소 소장이다. 유라시아와 고조선의 고고학을 주로 연구하며 우리의 과거를 좁은 한반도의 틀을 벗어나서 넓게 보고자 한다. 지은 책으로는 『역사를 보다』 『사라진 시간과 만나는 법』 『황금, 불멸의 아름다움』 『세상 모든 것의 기원』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테라 인코그니타』 『유라시아 역사 기행』 등 다수가 있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 EBS ‘클래스ⓔ’에 출연했고 <한겨레>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에 칼럼을 연재하며 고고학의 진정한 매력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힘쓰고 있다.
펼치기
강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WISE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고구려 고분연구』(진인진, 2013), 「한반도 중부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한국상고사학보』 120, 2023), 「함경도 일대 고분 조사와 북한의 발해 고분 연구」(『한국상고사학보』 116, 2022)
펼치기
양시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한국고고학 이해>(공저, 진인진, 2023), <통설의 탄생>(공저, 진인진, 2022),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 II>(공저, 2021,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 고고–유적 편>(공저, 2021,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흉노>(공저, 진인진, 2017), <고구려 성 연구>(진인진, 2016)
펼치기
이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역사학과 이종수 교수 ?소개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길림대학 고고학과에서 우리의 두 번째 고대국가인 부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고대사 중 한반도 경역범위를 벗어나 있는 동북지역의 고대국가 즉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 등의 고고학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고학 자료를 통해 한민족의 기원을 밝혀 보려는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학력 1995. 학사-단국대학교 역사학과 2004. 박사-길림대 고고학 및 박문관학(중국) ?주요경력 천안박물관 자문위원 / 호서고고학회 정회원 /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2004~2009)
펼치기
김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동북아 초기철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서경문화사, 2020), 『가야의 철 생산과 유통』(공저, 주류성, 2020),『군곡리패총 동아시아 해양교류의 시작』(공저, 목포대학교박물관, 2019), 「호남지역 철기문화 중심세력의 전환과 그 의미」(『전북사학』 58, 2020), 「연문화의 확산과 요서지역 철기문화의 정착과정」(『호서고고학』 44,2019), 「동북아시아 철겸의 변천과 완주 갈동유적 주조철겸의 등장배경」(『야외고고학』 34, 2019) 등
펼치기
박선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의 한중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숭실대학교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공부하고 학사 및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동북아시아 청동기 및 철기시대 교류이며, 고조선과 중국 고대 연·진·한의 교역을 사례로 연구했다. 최근에는 물질문화와 정체성의 관계, 철기시대 정치·경제·의례 엘리트의 존재 양상 등에 관심을 갖고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영미 학계의 연구를 살펴보며 분야를 넓히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고조선과 동북아의 고대 화폐』(학연문화사, 2009), 「서구학계의 고대 교류사 이론의 현황」(『한국고대사연구』73, 2014), Antenna-Style Daggers in North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regional Interaction(Asian Perspectives vol. 59-1. University of Hawai’I, 2020), Buffer Zone Trade in Northeast Asia in the Second Century B.C., (Asian Perspectives, Vol.51-2, 2012)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한중관계사상의 교역과 교통로』(주류성출판사, 2019), 『중국 산동지역의 동이』(역사공간,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878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