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63474823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_002
교양 시리즈 첫 책을 내며 _004
책에 대한 얘기_006
차례 _015
곁들인 얘기 차례 _020
그림 차례 _021
앞서 할 얘기 _028
'우리'와 '선사시대'에 대한 얘기 _031
한국 선사고고학의 지리범위 _032
한국의 선사시대 _033
고고학(자)에 대한 얘기 _034
고고학의 발달 _034
고고학의 연구 절차 _041
Ⅰ부 구석기시대에는… _054
돌을 깨서 도구를 만들다 059
뗀석기 구분 _059
격지떼기, 잔손질 방법 _061
뗀석기의 이름 _062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다 _068
한반도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인골 _071
구석기시대의 문화변천_072
이른 구석기시대 유적과 유물 _074
주먹도끼와 슴베찌르개를 만들어 사용하다 _076
주먹도끼는 얼마나 오래되었을까? _077
현생인류의 확산과 후기 구석기문화 _082
슴베찌르개와 돌날 _084
잔석기 만들기와 쓰임새 _087
사냥과 채집으로 살다_092
넓은 사회연결망 속에 살다 _099
이렇게 막을 내리다 _103
Ⅱ부 신석기시대에는… _110
한반도가 따뜻해지다_116
집을 짓고 마을을 이뤄 살기 시작하다 _119
마을과 정주생활 _120
다양한 주거양식 _123
패총을 남기다_126
패총과 동물성 식료 _128
채집과 사냥: 식료, 기름, 가죽, 도구재료의 획득_130
식물을 관찰하고 가꾸어 먹거리로 삼다_136
식물성 식료 채집과 저장 _136
작물재배의 시작 _139
토기를 만들어 조리하고 저장하다 141
토기 문양과 형태의 지역전통 _ 142
토기와 문화변천_145
뗀석기와 간석기를 함께 쓰다_149
갖춰진 무덤을 쓰기 시작하다_155
무덤의 종류 _155
껴묻거리와 사회상의 이해 _158
바다를 건너 교역하다_160
농경사회로 발돋움하다_164
Ⅲ부 청동기시대에는…_166
거친 토기를 만들다 174
청동기시대 토기구성 _174
토기양식의 지역성 _177
토기양식의 시간성 _185
큰 마을이 나타나다_189
주거양식의 지역성_190
주거양식의 시간성과 물질문화유형_197
대규모 취락 _198
마제석기가 더 발달하다_204
청동기시대 석기구성 _204
석기형식의 시간성 _210
목기 _211
(큰) 돌로 무덤을 만들다_212
다양한 무덤양식 _213
무덤에서 읽는 사회변화 _223
여기저기서 쌀농사를 짓다_228
청동기시대의 쌀 _229
쌀 생산과 사회변화 _233
다른 작물과 가축 _235
청동으로 단검을 만들다 237
비파형동검문화_238
청동기 제작의 사회적 의미 _241
집단의례가 활발해지다_243
지석묘와 암각화 _243
취락 내 의례건물 _248
우두머리가 나타나다_250
끝날 무렵 화려한 청동기문화가 꽃피다_255
한국식동검문화_255
화려한 청동기 부장의 사회상_264
고조선만 있는 것은 아니다_267
고조선에 대한 고고학의 이해_267
삼한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_269
마무리하면서 하고 싶은 얘기_274
구석기시대: 장구한 인류사의 서막_277
신석기시대: 농경과 정주생활의 딜레마_279
청동기시대: 역사교육논쟁의 뒤안길_281
그림출처_285
찾아보기_29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고고학자가 얘기하는 우리의 선사시대
우리나라 선사시대에 대한 체계적 학습안내서
이 책은 우리 고고학이 해방 이후 축적한 많은 양의 정보를 함축하고 있다. 적지 않은 내용을 포괄하다보니, 효과 적인 전달에 더 신경이 쓰인다. 또한 쉬울 수 없는 얘기들이 적지 않다. 우리 선사시대 사회와 문화의 모습을 종합 적이고 체계적으로 전달하자니, 내용을 줄이거나 용이하게 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쉬운 책을 쓰자면 내용을 대폭 줄이면 되고, 흥미 위주의 책을 쓰자면 몇 가지만 선별하여 그럴듯한 감상이나 상상을 더하면 될 것이다. 『고고학 자가 얘기하는 우리의 선사시대』는 그런 책은 아니다. 읽는 이의 지식 골격을 잡는 데 도움이 되는 책일 것으로 믿는다. 최근 탐구적인 지식층 독자들이 비약적으로 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그런 독자들이 우리 선사시대에 대 한 체계적인 지식을 얻길 바란다.
<책에 대한 얘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