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대외교류사

중국대외교류사

천까이윙 (지은이), 정연식, 김종현, 박장식 (옮긴이)
진인진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7,500원 -5% 0원
1,500원
4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대외교류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대외교류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63476230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5-01-31

책 소개

선진 시대부터 청대 전기까지 중국과 외부 세계 간의 정치·경제·문화적 교류를 8가지 관점으로 체계화한 역사서이다. 저자 천까이윙은 다음과 같은 핵심 특징을 바탕으로 중국의 교류사를 분석한다.
『중국대외교류사』는 선진 시대부터 청대 전기까지 중국과 외부 세계 간의 정치·경제·문화적 교류를 8가지 관점으로 체계화한 역사서입니다. 저자 천까이윙은 다음과 같은 핵심 특징을 바탕으로 중국의 교류사를 분석합니다:

1. 장건 이후 지속된 대외교류
- 한무제 시기 장건의 서역 개척을 기점으로, 이후 교류는 중단 없이 이어졌습니다.

2. 민간에서 공식으로 발전하는 교류 구조
- 초기에는 상인·승려 등 민간인에 의해 시작된 교류가 점차 제도화되고 국가 외교로 발전합니다.

3. 전쟁도 하나의 교류 방식
- 단순한 평화 교류뿐 아니라 정복과 전쟁 또한 양방향 접촉의 한 형태로 이해됩니다.

4. 육로 개척이 해로보다 우선
- 비단길 등 육상 교역로가 먼저 개척되고 이후 해상 교역로로 확장됩니다.

5. 왕조 흥망과 교류 강약의 연동
- 정치적 안정기에는 교류가 활발해지고, 쇠퇴기에는 교류 역시 약화됩니다.

6. 인물 중심의 교류사 전개
- 장건, 정화, 법현 등 특출한 인물들이 교류사에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7. 상호보완적인 문화교류
- 일방적 전파가 아닌 상호 교류와 영향을 강조합니다.

8. 중국 중심의 위상이 점차 약화됨
- 동아시아의 중심으로 군림하던 중국이 1840년 아편전쟁 이후 도전을 받으며 새로운 전환을 맞이합니다.

이러한 관점을 기반으로 저자는 실크로드, 해상무역, 종교 전파, 외교 사절단 등의 사례를 통해 중국이 세계와 어떻게 엮여 있었는지를 8개 장에 걸쳐 통시적으로 정리합니다. 이 책은 북경 중심이 아닌 홍콩 학자의 시각에서 집필되어, 중국 대외교류의 복합성과 역동성을 새롭게 조망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선진(先秦)과 진(秦) 시대의 대외교류
1.1. 선진과 진 시대의 중국과 서역 관계
1.2. 진과 베트남, 한반도, 일본과의 관계

제2장 양한(兩漢)시대의 서역과 남해 개척
2.1. 장건(張騫)의 서역을 통한 비단길 개척
2.2. 서역으로 간 반초(班超), 한나라의 국위 재건
2.3. 양한과 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및 아프리카와의 관계
2.4. 양한시대의 해상 교류

제3장 삼국양진남북조(三國兩晉南北朝)의 대외교류
3.1. 삼국시대의 대외교류
3.2. 양진 남북조 시대의 대외교류
3.3. 법현의 인도 방문과 공헌

제4장 수당(隋唐) 시대 대외교류의 발흥
4.1. 수의 대외관계
4.2. 당의 대외교류 발전
4.3. 당과 인도의 왕래
4.4. 당과 남해 나라들과의 교류
4.5. 당과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각국의 관계
4.6. 당과 한반도, 일본의 관계

제5장 양송(兩宋) 시대 해외교류의 발전
5.1. 양송시대 해상 대외교류의 발전
5.2. 송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와의 교류
5.3. 송대 남아시아, 서아시아 및 유럽, 아프리카와의 관계

제6장 몽고(蒙古)의 서역 원정과 원대 중·서 교류의 발전
6.1. 몽고의 서역 정벌과 그 영향
6.2. 원의 해외 진출
6.3. 원의 해외 무역 및 항해의 발달
6.4. 원과 서양 각국과의 교류
6.5. 원대 서양인의 방문

제7장 정화(鄭和)의 대항해와 명대의 서양과의 문화교류
7.1. 정화의 대항해
7.2. 명과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각국과의 교류
7.3. 명과 남아시아, 서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교류
7.4. 명과 유럽, 미주 국가와의 관계
7.5. 명대 말기 서양 선교사와 서양 문화의 교류

제8장 청대 전기의 대외관계
8.1. 청대 전기의 대외관계 개황
8.2. 청대 전기의 아시아, 아프리카 각국과의 교류
8.3. 청대 전기의 유럽과 아메리카 각국과의 교류

참고문헌
역자 후기

저자소개

천까이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푸젠성 취안저우의 진통(刺桐)에서 태어나 1954년 샤먼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하여 1958년 7월 졸업 후 베이징으로 건너가 1958년 9월부터 1982년 3월까지 중앙민족연구소, 북경대,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활약하였다. 1982년 4월 홍콩으로 이주하여 홍콩대학교에서 철학석사 학위를 받고, 현대 중국 입문과 유럽 현대사 강의를 필두로 홍콩 및 중국 내의 대학에서 강의와 연구를 지속하였다. 특히, 중국과 외교의 역사에 관한 연구로 매우 저명한 학자로 알려져 있다. 자신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웹사이트 난하이밍(南溟網, world10k.com)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김종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외대 중국어과를 나와 국립대만대학을 거쳐 성균관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한국중국현대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중국현대문학 현실주의 문예이론』과 『새롭게 읽는 현대 중국』 외에 다수의 저·역서 및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연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한국외대 중국어과를 나와,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에서 중국과 베트남의 정치경제에 관한 논문으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호치민대 방문교수를 거쳐 현재 캄보디아 왕립학술원 국제관계연구소 고문교수로 있다. “The Idea of Kingship in Buddhist Cambodia” 외에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장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 및 아세안연구소장. 한국외대 인도어과를 나와 일본 오사카외대를 거쳐 인도 바나라스힌두대에서 언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동남아학회장,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동남아의 역사와 문화』 및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 등 다수의 저·역서,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