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삶은 그렇게 물길 따라 흐르고

삶은 그렇게 물길 따라 흐르고

(광주천)

곽재구, 김형수, 정경운, 한송주, 한재섭, 한희원 (지은이), 윤재경 (사진)
심미안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삶은 그렇게 물길 따라 흐르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삶은 그렇게 물길 따라 흐르고 (광주천)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63814384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3-11-27

책 소개

‘소소하면서도 누구나 가지고 있는 광주의 근현대 기억을 엮는다’는 취지로 시작한 ‘광주 모노그래프’, 그 다섯 번째 에세이집, 『삶은 그렇게 물길 따라 흐르고 - 광주천』이 출간됐다. 광주문화재단에서 기획한 ‘광주 모노그래프’의 이번 테마는 ‘광주천’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4

광주천 적산가옥에 날아든 파랑새들의 사랑과 꿈_곽재구
그리운 그림엽서•11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강은 흐르고•13
타클라마칸 사막에서 돌아오다•14
창밖에 무등산이 있었다•17
등꽃 축제•21
험한 세상 다리 되어•24
그런데 이 남자도 좋아•26
우리가 물이 되어 흐른다면•27
서울의 예수•31
광주에서 시 한 편 쓰기•34
포스트모던 속에 핀 꽃•39
묵호를 아는가?•40
이용악 전라도 가시내•42
사람들보다 나무나 개가 좋아요•45
홍명, 아무런 거리낌 없이 그림을 그리다•48
정와, 맑고 아름다운 세상의 꿈•50

광주, 꽃도 새도 없는 천변들_김형수
첫 발자국•55
‘광주놈!’ 속으로•62
모든 길은 ‘광고’로 통한다•68
문학의 고향집에서 풍기는 냄새•73
빌딩들 속에 숨은 유령하천들•79
목가적인 연결이 사라진 세계에서•85
종적을 감춘 뒤•93

천변 연대기_정경운
불로동 천변, 멱 감는 아이들•97
겨울 같은 봄•102
양동시장 긴 역사의 짧은 이야기•104
시장통의 K-장녀•114
별일 없이 크는 아이들•118
그해 5월•124
서커스단의 코끼리•132
야생의 정원과 빈집들•134

광주천 누벼누벼 흘러가는 곳_한송주
민중문예운동 전진기지 ‘등나무집’•146
불로다리 밟기•152
관덕정(觀德亭) 습사(習射)•153
한 여전사의 성채•156
세느강 노천카페•163
버드실 문화특구•168
남도 인심이 넘쳐나는 대동장터•172

극장은 죽고 싶어 하지 않아요_한재섭
#1 온갖 잡것들은 극장으로 기어나오고•183
#2 영화광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192
#3 가난한 아이들에게 기념일은 없다•203
#4 해피 투게더, 광주극장•219

나의 사랑 양림동_한희원
가을 오후의 햇살이 언덕을 넘어가고•230
오래된 교정과 숲, 양림동 학교•239
그림을 통해 시대를 응시하던 그 청년•247
그 시절 양림동 사람들•251
양림동에서 만난 음악과 미술•259
사랑, 위로, 예술이 흐르는 양림동•261

저자소개

곽재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1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사평역에서」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사평역에서』, 『전장포아리랑』, 『한국의 연인들』, 『서울 세노야』 등이 있고, 산문집 『곽재구의 포구기행』, 『곽재구의 예술기행』, 『우리가 사랑한 1초들』 등이 있다. 동화집으로는 『아기참새 찌꾸』, 『낙타풀의 사랑』,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짜장면』 등이 있다. 신동엽문학상, 동서문학상,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등을 받았다.
펼치기
김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소설가,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 『가끔 이렇게 허깨비를 본다』, 장편소설 『나의 트로트 시대』, 『조드-가난한 성자들 1,2』, 소설집 『이발소에 두고 온 시』, 평론집 『흩어진 중심』 등과 『문익환 평전』, 『소태산 평전』, 『김남주 평전』을 출간했으며 작가 수업 시리즈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 『삶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 『작가는 무엇으로 사는가』로 큰 반향을 얻었다. 2023년 518문학상(본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정경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광주의 역사와 이야기에 관심이 많아 이런저런 글들을 쓰고 있다. 저서로는 『광주의 근대 풍경』, 『양파정 춘설헌』(공저), 『구술로 엮은 광주여성의 삶과 518』(편집) 등이 있다. 현재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한희원 (그림)    정보 더보기
화가이자 시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선대학교 미술교육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내 영혼의 깊은 강가>, <삼일간의 짧은 여행의 기록>, <섬진강전>, <큰 참나무 한그루>, <거리에서 만난 문학과 미술>, <추억의 양림>, <달빛마을>, <이방인의 소묘> 등 40여 회의 개인전 및 다수의 단체전을 가졌다. 대동미술상, 원진미술상, 전남연극제 무대미술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한희원미술관 관장이다.
펼치기
한재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류학과 미술사학을 전공했고 지역문화의 보편성과 특이성을 공부하고 있다. 박물관과 미술관, 예술가 레지던시, 콘텐츠 지원기관 등을 거쳐 (사)광주영화영상인연대가 운영하는 광주독립영화관의 관장으로 근무 중이다. 전국 유일의 지역영화비평지 『씬1980』의 첫 편집장으로 활동했고 여러 지면에서 지역성을 살린 우리 도시 읽기로 광주 문화비평 활성화에 노력 중이다.
펼치기
한송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서중, 광주일고, 전남대 농대 등에서 공부했다. 1976년 전남일보(현 광주일보)에 들어가 2001년까지 25년 동안 일했다. 주로 문화부 기자로 종사하면서 명산대찰을 순례한 ‘천년가람’, 호남유학의 본류를 훑은 ‘호남학’, 농민운동의 역사를 정리한 ‘발굴! 전남농민운동사’, 남도문화의 저류를 더듬은 ‘남도 재발견’ 등의 장기연재물을 게재했다.
펼치기
윤재경 (사진)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척박한 시절 내게는 광주 천변의 낡은 목조 적산가옥이 있었다. 그곳에서 만난 가난한 예술가들과 그들의 삶 그들의 꿈의 모습이 내게 영감을 주었다. 아픔이 없는 시절은 아름다운 시절이 아니다. 그 시절에 피는 꽃과 꽃 속에서 만났던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사랑과 남은 생 위에도 등꽃 피는 시절과 파랑새 나는 하늘이 오래오래 펼쳐지기를!
- 곽재구 「광주천 적산가옥에 날아든 파랑새들의 사랑과 꿈」


나의 ‘배고픈 다리’는 광주시 학동의 못생긴 교량 이름이다. 나중에 이 일대가 굉장히 부촌이 되어 깜짝 놀랐으나, 1980년대까지도 이곳은 이농민 중에서도 특히 가난한, 그러니까 서울까지 올라가지 못할 만큼 열악한, 도시 빈민의 최하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이었다. 그 처량한 동네에 다리가 생겼는데, 어엿한 명칭이 있건만 다들 개의치 않고 애오라지 배고픈 다리라고만 불렀다.
- 김형수 「광주, 꽃도 새도 없는 천변들」


벌써 20년을 넘어가는 재개발 이야기가 언제 현실화될지는 잘 모르겠으나, 이 골목길과 정원이 영원한 추억 속으로 사라질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은 분명하다. 나의 시간이, 우리 오남매의 시간이, 그리고 우리 가족 모두의 시간이 칼로 도려낸 듯 양동이란 공간에서 도려내져 버릴 것 같아서이다. 오늘도 광주 도처에서 무수한 가족들의 서사가 같은 처지로 잘려나가고 있을 것이다.
- 정경운 「천변 연대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