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암 산문집

연암 산문집 (천줄읽기)

박지원 (지은이), 박수밀 (옮긴이)
  |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2011-10-28
  |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4,250원 -5% 0원 750원 13,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연암 산문집

책 정보

· 제목 : 연암 산문집 (천줄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64068540
· 쪽수 : 283쪽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지나친 수식과 격식을 버리고 단순 명쾌한 문장으로 문단을 주도해 결국 정조의 문체반정을 이끌어 낸 장본인, 고금 학자들이 우리나라 최고의 글쟁이라고 서슴없이 손꼽는 연암 박지원의 주옥같은 작품을 모았다.

목차

사이에서 생각하기
몸을 보존하는 법 以存堂記 ·············3
천자문을 싫어한 아이 答蒼厓之三 ··········8
고라니의 크기 答某 ················9
말똥 경단과 여의주 ?丸集序 ············12
사물은 본디 정해진 색이 없다 菱洋詩集序 ·······16
영원한 것은 없다 ?齋集序 ·············21
공(空)을 보아라 觀齋記 ··············24
매미 소리와 귤 향기 蟬橘堂記 ············28
나를 사랑한다는 것 愛吾廬記 ············34
대나무를 사랑한 사람 竹塢記 ············38
울음의 역설 好哭場 ················41
하룻밤에 강을 아홉 번 건넌 사연 一夜九渡河記 ····46
코끼리 이야기 象記 ················52
시간와 역사 馹迅隨筆序 ·············58
백이를 말한다 伯夷論 上 ·············61
밤에 고북구를 나서다 夜出古北口記 ········65
문장가의 마음
글쓰기와 선변(善變) 楚亭集序 ···········73
글쓰기의 요령 騷壇赤幟引 ·············79
귀 울음과 코골이 孔雀館文稿自序 ··········85
습관이 오래되면 천성이 된다 自笑集序 ········89
책 읽기의 단계 素玩亭記 ··············94
천지자연이 독서다 答京之之二 ···········99
사마천과 나비 잡는 아이 答京之之三 ········101
글은 홀로 쓰는 것 答蒼厓 ·············103
매미 소리가 책 읽는 소리 與楚? ·········106
문장의 네 가지, 성색정경 鍾北小選自序 ······108
조선의 노래 ?處稿序 ···············112
몰두해야 이룬다 炯言挑筆帖序 ···········117
비슷함을 구하지 말라 綠天館集序 ·········120
속 빈 강정과 개암 旬稗序 ·············124

생활의 발견
머리 기른 중 髮僧菴記 ··············131
새벽달은 누나의 눈썹 같고 伯?贈貞夫人朴氏墓誌銘···139
여름날의 추억 夏夜?記 ··············142
스승과 제자 酬素玩亭夏夜訪友記 ··········145
취해서 운종교를 거닐다 醉踏雲從橋記 ········152
말 머리서 무지개를 보다 馬首虹飛記 ········157
친구 석치를 조문함 祭鄭石癡文 ··········160
친구를 잃은 슬픔 與人 ··············163
여행길에서 꿈꾸다 渡江錄 七月六日 ·········166
유리창에서 고독을 외치다 關內程史 八月四日 ····171

현실과 사회
벗을 사귀는 방법 會友錄序 ············179
백영숙이 기린협으로 간 까닭 贈白永叔入麒麟峽序 ···185
열녀 함양 박씨의 죽음 烈女咸陽朴氏傳 ·······188
오랑캐란 모함에 대한 변명 答李仲存書 ·······196
친구는 제2의 나 繪聲園集跋 ············200
북학의 참뜻 北學議序 ···············204
송욱, 미치다 念齋記 ···············209
진정한 볼거리 壯觀論 ···············213
요술보다 무서운 것 幻?記後識 ··········221
민 노인 이야기 閔翁傳 ··············228
참다운 친구, 예덕선생 穢德先生傳 ·········241
호랑이의 꾸짖음 虎叱 ··············249

해설 ······················269
지은이에 대해 ··················278
옮긴이에 대해 ·················282

저자소개

박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737년 2월 5일(1세)에 반남(潘南) 박씨 아버지 사유(師愈)와 어머니 함평(咸平) 이씨 사이에서 2남 2녀 중 막내로, 한양 서쪽 반송방(盤松坊) 야동(冶洞)에서 태어났다. 자는 중미(仲美)ㆍ미중(美仲), 호는 연암(燕巖)ㆍ연상(煙湘)이다. 어려서부터 글 솜씨가 뛰어났으나 17세 무렵부터 우울증으로 고생했으며, 학문에 매진했으나 과거에는 뜻을 보이지 않았다. 홍대용, 이덕무, 유득공 등과 깊은 교우를 맺었고 박제가, 이서구 등을 제자로 삼아 북학론을 주장했다. 1780년 삼종형인 박명원을 따라 북경에 다녀와서 《열하일기(熱河日記)》를 지었다. 1786년, 50세의 나이에 친구 유언호의 천거로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평시서주부(平市署主簿),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 안의현감(安義縣監) 등을 역임했다. 1793년 정조에게 문체반정의 주동자로 지목되기도 했다. 1805년 가회방(嘉會坊) 재동(齋洞) 집의 사랑에서 사망했고 1900년 김택영(金澤榮)이 편찬한 《연암집》이 간행되었으며, 1901년에는 김택영이 편찬한 《연암속집》이 간행되었다.
펼치기
박수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은 생명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바탕으로 고전의 지혜를 담백하면서 맑은 언어로 풀어내는 고전학자. 옛사람들의 글에 나타난 심미적이고 실천적인 문제의식을 지금-여기의 현장에서 창조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 왔다. 미시적 관찰과 거시적 조망의 균형 감각을 놓치지 않으면서 문학과 역사, 철학을 아우르는 시좌를 갖추려고 노력한다. 실학의 인문 정신과 글쓰기, 고전의 생태 정신, 동아시아 교류사를 공부하고 있으며 특히 연암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을 오랫동안 탐구해 오고 있다. 그 결실로 『연암 산문의 멋』, 『열하일기 첫걸음』, 『연암 박지원의 글짓는 법』을 저술했으며 고전을 지금-여기와 소통하려는 노력으로 『오우아』, 『고전 필사』, 『청춘보다 푸르게 삶보다 짙게』, 『탐독가들』, 『리더의 말공부』, 『알기 쉬운 한자 인문학』 등을 썼다. 글쓰기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18세기 지식인의 생각과 글쓰기 전략』, 『과학 기술 글쓰기』(공저)를 저술했으며, 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살아있는 한자교과서』(공저), 『기적의 한자학습』(공저), 『기적의 명문장 따라 쓰기』, 『해결 초등 글쓰기』 등을 썼다. 역서로는 『정유각집』(공저), 『연암 산문집』 등이 있다. 현재 한양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마을의 어린애에게 천자문을 가르치다가 읽기 싫어하기에 꾸짖었더니, 그 애가 말합디다.
“하늘은 푸르고 푸른데 하늘 천(天) 자는 푸르지가 않아요. 그래서 읽기 싫어요.”
이 아이의 총명함이 창힐을 굶어 죽이겠소.


●백호 임제가 막 말을 타려 할 때였다. 하인이 나서며 말렸다. “나리! 취하셨는뎁쇼. 짚신과 가죽신을 한 짝씩 신으셨습니다요.” 백호가 꾸짖으며 말했다. “길 오른편에서 보는 자는 내가 짚신을 신었다고 할 테고, 길 왼편에서 보는 자는 내가 가죽신을 신었다고 할 텐데, 뭐가 잘못이란 말이냐?” 이로 미루어 말하자면 세상에서 보기 쉬운 것으로 발만 한 것이 없으나, 보는 방향이 같지 않으면 짚신인지 가죽신인지도 구별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참되고 바른 견해는 진실로 옳다 그르다 하는 시비의 가운데에 있는 것이다. 땀에서 이가 생기는 것은 지극히 미묘해서 살펴보기 어렵다. 옷과 살갗의 사이에는 본래 빈틈이 있는데 떨어진 것도 아니고 붙어 있는 것도 아니며, 오른쪽도 아니고 왼쪽도 아니니 누가 그 가운데[中]를 얻겠는가? 말똥구리는 자신의 경단을 아껴 여룡의 구슬을 부러워하지 않는다. 여룡 역시 자신에게 구슬이 있다 해서 저 말똥구리의 경단을 비웃지 않는다.


●저 허공 속을 날며 우는 새는 얼마나 생기가 넘칩니까? 그런데 허무하게 ‘새 조(鳥)’라는 한 글자로 생기를 말살해 빛깔도 없애고 모습과 소리를 삭제하고 맙니다. 마을 모임에 나가는 촌 늙은이의 지팡이 끝에 새겨진 새와 뭐가 다르겠습니까? 어떤 이는 늘 쓰는 말이 싫다고 가볍고 맑은 글자로 바꿔 볼까 해 ‘새 금(禽)’ 자로 바꿔 쓰기도 합니다. 이는 책만 읽고 글을 쓰는 자들에게 나타나는 병폐입니다.
아침에 일어나니 푸른 나무 그늘진 뜰에 철새가 짹짹거립니다. 부채를 들어 책상을 치며 크게 외쳤지요.
“이것이 내가 말한 ‘날아가고 날아온다’는 글자고, ‘서로 울고 서로 화답한다’는 글이다. 온갖 빛깔을 문장이라고 한다면 이보다 더 나은 문장은 없다. 오늘 나는 글을 읽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