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윤리학/도덕철학
· ISBN : 9788964358139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6-02-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왜 새로운 결혼과 도덕이 필요한가?
1. 어머니의 시대
2. 아버지의 탄생
3. 금욕주의의 복수
4. 사랑에 대한 기독교의 저주
5. 낭만적 사랑의 탄생
6. 구속된 사랑과 여성
7. 금단의 지식
8. 사랑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위치
9. 결혼을 불행하게 만드는 것들
10. 고상한 도덕의 뒷면
11. 새로운 시대의 결혼법
12. 오늘날 가족의 존재 이유
13. 가족의 심리학
14.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국가
15. 행복한 이혼의 조건
16. 아이가 사라지는 세계
17. 우생학적의 미래
18. 사랑과 개인의 행복
19. 사랑과 인간의 가치
맺음말 자유로운 사랑과 행복한 결혼
리뷰
책속에서
“결혼은 부부가 반려 관계에서 느끼는 기쁨보다 훨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결혼은 남편과 아내가 느끼는 개인적인 감정을 넘어서서 아이를 탄생시킨다는 점에서 사회의 긴밀한 구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중요한 제도이다.”
“자식이 자신의 ‘씨앗’이라는 인식을 가지는 순간 권력욕과 죽음을 뛰어넘으려는 욕구가 형성되고, 이 요인은 부성의 감정을 강화한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한 남성의 자손들이 이루는 업적은 그 남성의 업적이라고 할 수 있고, 자손들의 인생은 그 남성 인생의 연장이다. 야망은 그 남성이 무덤에 들어간 뒤에도 시들지 않고 자손들의 생애를 통해서 무한히 확장될 수 있다.”
“교회는 육체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하나같이 죄로 이어지기 쉽다는 이유로 목욕하는 습관을 비난했다. 불결한 것을 칭송했고, 신성한 냄새는 날이 갈수록 지독해졌다.”
“낭만적 사랑은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있는 여성, 도덕과 인습이라는 드높은 장벽 너머에 있는 여성이 대상이었다. 남성들이 손에 넣을 수 없는 여성에게 낭만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 것은 교회가 성을 본질적으로 불결한 것으로 느끼도록 만드는 과업을 철저하게 수행한 덕분이었다. 따라서 아름다운 사랑은 정신적인 사랑이어야 했다.”
“사랑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인생을 두려워하고, 인생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이미 거의 죽은 사람이나 다름없다.”
“열정적인 사랑은 자아의 단단한 벽을 깨부수고, 둘이 하나로 통합된 새로운 존재를 낳는다. 자연은 인간을 혼자 살아갈 수 있는 존재로 만들어 놓지 않았다.”
“성에 관한 강박관념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자유밖에 없다. 그러나 습관화되지 않은 자유, 성 문제에 대한 현명한 교육과 자유가 결합되지 않는 자유는 이런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사랑은 생애의 대부분에 걸쳐서 대부분의 남녀를 괴롭히는 고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탈출구이다.”
“남녀 간의 진지한 사랑은 인간의 모든 체험 가운데서 가장 풍요로운 것이 된다. 이런 사랑은모든 위대하고 귀중한 것들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의 도덕을 필요로 하며, 더 큰 것을 위해서 작은 것을 희생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이런 희생은 자발적인 것이어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그 희생은 다른 목적을 위해서 사랑의 토대 자체를 파괴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