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여성, 총 앞에 서다

여성, 총 앞에 서다

(전쟁과 폭력에 도전하는 여성반전평화운동)

신시아 코번 (지은이), 김엘리 (옮긴이)
삼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여성, 총 앞에 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여성, 총 앞에 서다 (전쟁과 폭력에 도전하는 여성반전평화운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88964360019
· 쪽수 : 519쪽
· 출판일 : 2009-11-12

책 소개

세계 곳곳에서 주로 남자들이 저지른 전쟁과 폭력에 맞서 당당하게 투쟁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 책에서 여성들은 강간을 당하고 비참하게 버려진 동료의 죽음에 항의하며 알몸으로 시위를 하고, 아프리카의 무서운 독재자와 단독 면담을 하여 호의적 약속을 받아내기도 한다. 또한 삼엄한 미사일 기지 앞에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텐트를 치고 농성을 벌이기도 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서문
감사의 글
서문
책이 나오게 된 배경
연구 방법
주요 개념과 이론
책의 구성
1장 다양한 전쟁, 다양한 대응
2장 제국주의 전쟁들에 반대하며: 초국가적인 세 네트워크
3장 민족과 국가에 대한 불복종: 세르비아 여성들의 반군사주의 운동
4장 타자화의 거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여성
5장 성취와 모순: 월프와 유엔
6장 여성들의 저항 방법론
7장 일관성을 향하여: 평화주의, 민족주의, 인종주의
8장 ‘여성’되기를 선택하기: 페미니즘을 깨우는 전쟁
9장 젠더, 폭력, 전쟁: 전쟁학에 말을 거는 페미니즘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신시아 코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페미니스트 연구가이자 작가이다. 현재 런던에 살며 런던 시티 대학교(City University)의 사회학과 방문교수이다. 또한 국제적 네트워크인 위민인블랙(Women in Black)에서 활동한다. 코번은 경험적 사회조사에, 지난 25년 동안 노동 과정과 노동조합, 그리고 조직 변혁 문제를 젠더와 연관시켜 연구하고 글을 발표했다. 1995년 이후, 코번은 북아일랜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이스라엘/팔레스타인과 사이프러스 등에 관심을 두고, 무력 분쟁과 평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젠더 문제에 관한 글을 써 왔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책으로는 『우리를 가르는 공간: 갈등에서 젠더와 민족 정체성을 협상하며(The Space Between Us: Negotiating Gender and National Identities in Conflict)』, 두브라브카 자르코브(Dubravka ?arkov)와 공동 편집한 『전쟁 이후: 군사, 남성성, 국제평화유지(The Postwar Moment: Militaries, Masculinities and International Peacekeeping)』, 『라인: 여성, 경계, 젠더 질서(The Line: Women, Partition and the Gender Order in Cyprus)』 등이 있다.
펼치기
김엘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피스모모 평화페미니즘연구소 소장. 성공회대 젠더연구소 연구교수이자 서강대에서 여성학을 강의한다. 젠더질서의 변동, 감정정치, 남성성, 평화페미니즘 이론화에 관심이 있다. 《여자도 군대 가라는 말》 《페미니즘 교실》(공저) 《탈분단의 길》(공저) 등을 썼고, 《여성, 총 앞에 서다》 《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는가》(공역)를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정치적.개인적 관계들을 포함하는 사회 전반의 질서에 저항하며 일어났지요, 우리는 모든 것을 원했어요. 전부요! 그런데 좌파들은 이러한 목적을 나누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그들은 권력에 사로잡혀 있었죠. 그래서 여성은 항상 부차적이 됐어요. 그들은 모든 것을 금지했어요. …… 우리가 아는 평화주의는 좌파들이 하는 도구적인 접근으로서 평화, 혁명을 위한 전술일 뿐인 평화와는 완전히 달랐어요.―<6장 여성들의 저항 방법론>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