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446170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9-08-15
책 소개
목차
[1부]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
거부할 수 없는 흐름,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해야 할까?
[2부] 수업으로 실천한 미디어 교육
뉴스로 세상 보기, 뉴스로 내 삶 읽기
자본주의의 욕망, 광고 읽고 표현하기
몰입의 즐거움, 게임으로 세상 이해하기
그리고 올리고 읽고 나누기, 웹툰
영화처럼, 카메라에 담은 우리들의 이야기
유튜브와 SNS로 소통하기
매체 변형, 새로운 의미와 가치의 탄생
QR 코드를 통해 워크북 및 학습지를 해냄에듀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교사들은 늘 자신보다 어린 세대들을 만난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만나고
있고, 앞으로 만날 아이들은 현재 40대 이후인 교사들과는 성장 배경과 물적 조건이 전혀 다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실시한 2017년도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한국 인터넷 이용률과 스마트폰 이용률은 각각 90.3%와 87.8%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이다. 10대의 인터넷 이용률과 스마트폰 이용률은 각각 99.9%와 97.2%로 청소년들 중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99.3%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인터넷 미디어를 이용한다. 한편 4차 산업인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가상 현실, 가상 화폐 등이 현실화되면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 생활의 변화는 그 폭을 가늠하기 힘들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청소년들은 유·소년기 때부터 스마트폰을 장난감처럼 다루기 시작했다. 골목과 놀이터에서 놀았던 어른들과는 달리, 유·소년기 시절에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고 SNS를 하며 대화한다. 또 개인용 PC의 시공간적 제한성에서 벗어나 걸어 다니면서도 스마트폰을 들여다본다. 모든 자료는 디지털화되어 인터넷에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공유한다. 네트워크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여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들에서 동영을 공유하고 있다. 청소년 중에는 이러한 플랫폼에서 1인 방송을 하며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오늘날 미디어는 청소년들의 경험의 핵심이며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힘이다. 다음 세대들에게 미디어란 무엇인가를 질문하고 탐구하는 과정이 학교에 없다면 그것은 교육의 방치에 다름 아닐 것이다.
교사들은 늘 자신보다 어린 세대들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