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란 무엇인가

기란 무엇인가

(정신, 신 그리고 물질, 개정증보판)

이종란 (지은이)
동연출판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란 무엇인가 (정신, 신 그리고 물질, 개정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64476628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4-09-27

책 소개

기는 실재하는가, 아니면 추상의 개념에 불과한가? 이 책의 주제 중 하나인 이 물음에 대해 저자는 돌려 말하는 법 없이 명확한 대답을 내놓는다. 이 책은 어떤 책이며, 저자가 이 책을 쓴 이유는 무엇일까?

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초판 서문

제1장╻동아시아 전통 속의 기氣

1. 우리의 삶과 기氣 15
기는 가까이 있다/우리말 속의 기/예술 작품과 기/건강과 기/풍수지리와 기/기의 이용/기와 철학 그리고 종교/기와 번역어/기에 대한 이런저런 질문들/왜 기를 알아야 할까?
2. 기氣의 원초적 의미 41
갑골문과 금문今文 속의 기/��설문해자說文解字�� 속의 기/기와 유사한 것들/고대 문헌 속의 기/기 개념의 역사적 전개와 기철학
3. 다양한 이름의 기氣 64
기 개념의 추상화와 분화/원기元氣 ․ 정기精氣 ․ 일기一氣 ․ 태허太虛/음양陰陽/오행五行/천기天氣와 지기地氣/기화氣化/기와 질質/기의 운동을 표현한 말/기의 상태를 표현한 말/심기心氣/기와 이理 그리고 조리條理/신기神氣/귀신鬼神/기와 공기/몽기蒙氣와 방기傍氣/운화기運化氣와 형질기形質氣/기수氣數

제2장╻기氣는 어떤 것인가? 91

1. 기氣는 물질인가? 93
물질/기와 질료/기와 에너지/물리적 현실/삶과 죽음/인체와 기
2. 기氣는 정신인가? 113
정신精神/혼백魂魄과 영혼靈魂/마음과 기/도덕적 용기/정신 수양과 기/도덕적 가치판단의 능력/인식의 주체
3. 모든 것은 기氣로 통한다
기의 분류/기의 일반적 특징/물질과 정신 현상을 아우르다/기와 세계관/기와 운동/기와 윤리 ․ 도덕

제3장╻기氣 개념의 변모

1. 서양 과학과 기氣
예수회 선교사의 중국 선교/4원소/서광계徐光啓, 송응성宋應星 그리고 방이지方以智/홍대용洪大容, 정약용丁若鏞 그리고 최한기崔漢綺
2. 기학氣學과 과학
통합적 설명 속의 사실과 가치의 구분/이理를 검증할 수 있는가?/개인과 사회/인간과 자연의 관계
3. 현대 과학과 기氣
근대 과학 용어와 기/모호성과 기/신비주의와 기/기를 밝히려는 시도들

제4장╻기氣의 활용

1. 예술과 기氣
회화, 서예와 기/문학과 기/음악, 기의 질서 있는 연속적 떨림/건축과 기
2. 한의학과 기氣
침과 한약/음양오행과 한의학/음식과 기
3. 종교 ․ 민속과 기氣
도교와 기/동학東學과 기/증산교와 원불교의 기/신의 존재와 기/한국민속과 기

제5장╻현대적 삶과 기氣 295

1. 기철학의 현대적 의의
다시 기란 무엇인가?/우리 문화와 기/유기체有機體적 자연관
2. 삶의 방식과 기氣
인격신과 무신론을 넘어서/만물일체萬物一體의 영성靈性/나의 삶과 기
3. 기氣의 현대적 응용과 전망
특수능력 계발/대체의학과 예방의학/정치와 기/인공지능과 기/한류의 세계적 유행과 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종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했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하고, 최한기(崔漢綺)의 철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철학)를 받았다. 한국방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 출강하였으며,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기란 무엇인가』(개정증보판), 『기측체의 역해 Ⅰ, Ⅱ, Ⅲ』, 『서양 문명의 도전과 기의 철학』, 『민족종교와 민의 철학』(공저), 『의산문답』, 『최한기의 운화와 윤리』, 『전래동화·민담의 철학적 이해』, 『전래동화 속의 철학 1~5』,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 논어』, 『주역, 삶에 미학을 입히다』(공저), 『한국 철학 스케치』(공저) 등이 있고, 『쉽고 재미있는 동양고전 30』 등 다수의 철학동화가 있다. 번역서로는 『운화측험』, 『왕양명 실기』, 『공제격치』, 『주희의 철학』(공역), 『왕부지 중용을 논하다』(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주역』을 통해 구축한 동서철학 융합의 플랫폼”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개 기철학이 자연철학의 영역에 해당하지만, 인간의 윤리나 가치를 논할 때는 맑고 깨끗한 본체의 기에서 그 근거를 확보하기도 하고, 기존의 다른 이론에 의존하거나 또 다른 설명 방식을 취한다. 온전히 기철학의 체계 내에서 우주 자연과 인간 사회의 질서와 윤리와 도덕을 설명하는 일은 조선 후기에 와서야 가능했다. 물론 그때의 기철학은 앞에서 말한 전통의 기 이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기도 하고, 음양이나 오행 그리고 선천과 후천을 구별하는 것은 폐기하면서 전개되었는데, 기철학 체계 내에 서양 과학과 철학을 수용하면서 그 모습이 변하였기 때문이다.
<제1장_ 동아시아 전통 속의 기氣> 중에서


마음을 기라고 볼 수밖에 없는 이유, 곧 논리적으로 가장 확실한 것 가운데 하나는 주희 성리학에서 엿볼 수 있다. 주희 성리학에서는 만물이 이(理)와 기(氣)로 이루어져 있고, 이 둘은 현실적으로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실제로는 만물이 운동하고 변화하는 것은 기(氣)가 하는 일이다. 이란 기가 그렇게 운동할 수밖에 없는 원인자이자 원리이지 그 자체는 형체도 없고 운동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형체가 있고 운동하는 것은 기다.
<제2장_ 기氣는 어떤 것인가?> 중에서


정약용(丁若鏞)도 서학을 받아들여 이(理)와 기의 생각을 주희 성리학의 관점에서 탈피하였다. 그는 이(理)라는 것이 절대 불변의 인간적 윤리 가치가 아니라 하나의 자연적 사물의 속성이라고 이해하려고 하였다. 곧 이를 옥석(玉石)이나 나무의 결에 해당하는 맥리(脈理)로 보았다. 더욱이 그는 이(理)가 스스로 존재할 수 없고, 그것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사물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천주실의��에서 마테오 리치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계승하여 실체와 속성의 범주를 가지고 사물을 분류하면서 ‘자립자’(自立者: 실체)와 ‘의뢰자’(依賴者: 속성)로 분류한 말에서 가져온 개념이다.
<제3장_ 기氣 개념의 변모>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