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6502317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5-16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임금 동향과 인플레이션 문제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
고도성장기를 지배한 일본의 분위기
그래도 찾아온 위기 - 일본은행 특별 융자
매입 기관인 일본공동증권의 해산
임금 인상으로 생겨난 1억 총중류 사회
물가 폭등을 초래한 석유파동
거품 경제 붕괴와 노동운동
세계에서 뒤처진 일본의 노동자
21세기는 국제경쟁력이 관건
임금 인상을 단념시킨 리먼브라더스 사태
임금 인상을 주도한 아베노믹스
전국적인 임금 인상의 반대 운동
제2장 중국공산당 창립 100주년의 궤적
중국은 세계의 ‘밉상’인가?
마오쩌둥에서 덩샤오핑 시대로 바뀌다
마오쩌둥을 의식하는 시진핑의 연출
아버지 시중쉰의 고난
내셔널리즘을 부추기는 중국
미중 대립의 최전선 아시아
호락호락하지 않은 중국에 대치하는 바이든 정권
중국의 선민사상을 고찰하다
제3장 쇠락하는 중국 정치와 경제
그늘진 전랑외교와 반성
저출생 문제와 당평주의의 대두
체감경기 악화와 반도체 문제
IT 기업 옥죄기에 나선 중국 정부
폭언으로 받아들여진 마윈의 정론
디지털화폐 - 미중 공방
중국의 각개격파 전략
암호 자산을 규제하고 디지털 위안화를 보급
엘리트주의의 공산주의로 회귀하는가?
제4장 탄소중립과 자원 가격 급등
버핏의 의도를 놓치지 마라!
참담한 양상의 에너지 기업
ESG 투자와 투자 철수
이행기에 급부상하는 천연가스
2021년 초의 LNG 폭등
태양광이 최저치로 떨어졌다?
국제에너지기구 IEA에 의한 탈탄소 공정표
미국 셰일가스의 귀추
엑손모빌과 셸에 가하는 압박
일본의 에너지 기본계획
석탄 가격이 계속 치솟는 이유
빈틈없고 노련한 러시아의 행보
러시아가 장악한 천연가스를 둘러싼 거대 권익
자국의 환경 중시 정책에서 우왕좌왕하는 미국
점점 늘어나는 동남아의 LNG 수입
중국의 에너지 사정
IEA의 충격적인 보고서
상품 가격은 슈퍼사이클 진입인가?
폭발적으로 수요가 늘어난 구리
비철 금속 공급 시스템의 다양한 문제
중국 정부의 강제적인 시장 개입과 야망
제5장 상승 추세를 이어갈 주식시장
부실 운용을 이어가는 기관투자자와 그들을 옹호하는 언론
주식의 상승 추세는 변함이 없다
20대 30대 젊은 투자자에 대한 기대감
상승장은 계속된다
자사주 매입으로 주식 공급이 감소하고 있다!
그래도 통화는 시장에 남아 있다!
배당만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시대가 왔다
거품의 정체를 파악하라!
사실은 거품에 편승하지 않았던 개인 투자자들
거품 경제에 춤을 춘 은행과 보험사의 추락
은행과 보험사를 제칠 기회!
제6장 아사쿠라 게이가 소개하는 유망 주식
순이익 5,000억 엔, 배당 이율 10%인 일본유센(9101)
큰 시세를 기대할 수 있는 스미토모금속광산(5713)
도쿄올림픽에서 큰 인기를 얻은 TOTO(5332)
주가를 올릴 생각이 별로 없는 아스카제약HD(4886)
순이익 6,400억 엔을 예상하는 미쓰이물산(8031)
의료 IT화를 선도하는 빅데이터 사업 JMDC(4483)
신재생에너지를 꿈꾸는 기업 이렉스(9517)
점포 설계에서 건축까지 자사에서 완결하는 요식스(3221)
적자 결산 후 주가 급락을 노리는 테크노호라이즌(6629)
소형 굴삭기로 해외 매출 비중 97%를 차지하는 다케우치제작소(6432)
당뇨병 치료제로 기대를 모으는 소세이그룹(4565)
공매도가 많은 파마푸드(2929)
평범한 인력파견업체이지만 대활약 중인 커리어링크(6070)
책속에서
고용 상황은 경제 상태를 파악하거나 정책을 결정할 때 항상 1순위로 살펴보는 요인이다. 미국에서 매월 발표하는 고용 통계는 미국 당국의 경제 정책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신호이므로 투자자들은 그 동향을 예의주시한다. 고용 상황이 좋지 않고 실업자가 길거리에 쏟아지면 사회가 불안정해진다. 반대로 고용 상황이 좋아서 완전고용 상태를 달성하면 사람들은 삶에 만족함을 느끼며 사회도 안정감을 찾는다. 한편으로 고용은 물가 동향에도 깊이 관여한다. 경제학에서는 우하향 그래프를 그리며 고용과 인플레이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을 인플레이션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한다. 이 곡선은 고용이 완전고용에 가까워지면 임금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며 고용 곡선이 완만해지고 실업률이 올라가면 임금이 떨어져 인플레이션율이 하락한다는 단순한 구도를 보여준다. 최근에는 필립스 곡선이 플랫화, 즉 고용 상황이 개선되어도 물가가 생각만큼 오르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21세기에 들어서 일본의 최고 기업은 분명히 자동차 산업, 그중에서도 도요타는 세계 최고의 위치를 지키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도요타는 일본 기업 중 처음으로 1조 엔의 이익을 달성했다. 그런 도요타가 ‘경직된 임금 인상이 경쟁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정기적 임금 인상에 의문을 제기했다. 일본에서 가장 성공한 기업이 통상적인 임금 인상 관행을 바꾸려 하는데, 다른 기업이 임금 인상을 계속할 수 있을 리가 없다. 지금은 당연하다고 인식되지만, 이렇게 해서 개인의 능력과 성과에 따라 임금 인상을 하고 기업은 매년 실시하는 임금 인상이 아닌 보너스 등의 일시금을 지급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