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65456575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20-05-2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들어가는 말
1. 문제의 중요성
2. 윤리사상이란 무엇인가
3. 중국 윤리사상의 특징과 변천
제2장 중국 윤리사상의 기본 개념
제1절 천(天)
1. 천의 개념
2. 천의 작용
3. 천인감응(天人感應)
제2절 도(道)
1. 도의 의의
2. 도의 드러남
3. 도는 인생 최고의 표준
4. 도와 덕
제3절 성(性)[명(命)]
1. ‘성’의 개념과 윤리학적 지위
2. ‘성’에 관한 여러 학설
3. 성과 명의 관계
제3장 중국 윤리의 최고 이상
제1절 이상적 인간
1. 유가[의상파(意象派)]
2. 도가(낭만파 혹은 퇴폐주의)
3. 신유가(도가와 불가의 영향을 받은 후의 유가)
4. 묵가와 법가[실리파(實利派)]
5. 오늘날 필요로 하는 이상적인 인간상
제2절 사회적 이상(Social Ideal)
1. 이상사회의 원칙
2. 시대 변화에 따른 사회적 이상
제4장 의무론(Duty)
제1절 자신에 대한 의무
1. 유가의 의무론
2. 의무론의 단점
제2절 타인에 대한 의무
1. 가족윤리: 부자, 형제, 부부 상호 간 지켜야 할 의무
2. 향당(鄕黨) 윤리
3. 국가도덕: 군신 상호 간의 직무
4. 이후 타인에 대한 의무
해제-한성구
찾아보기
책속에서
도덕이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지 사람이 도덕을 위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일이란 고정 불변하는 것이 없으니 도덕도 마찬가지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도덕도 그에 맞춰 변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며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추어 어떻게 도덕을 개조할 것인가? 이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도덕을 개조하는 데 있어 가장 시급한 일은 기존의 도덕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것이다.
중국인의 터전은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서북(西北)의 대평원으로 높은 산이나 우거진 수풀은 구경도 할 수 없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볼 수 있는 것이라고는 창창한 하늘뿐이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총명한 지도자 복희(伏羲)는 문자를 창제했다. 먼저 끝없이 아득하게 펼쳐진 하늘의 형태를 본떠서 ‘-’로 ‘하늘(天)’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하늘과 마찬가지로 끝없이 펼쳐져 있지만 움푹 들어가 강을 이룬 곳이 있는 ‘땅(地)’을 ‘--’로 표시했다.
유가의 특색 가운데 하나는 옛 이름과 제도에 새로운 의의를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천’이라는 이름은 변하지 않아도 ‘천’의 내용은 마땅히 변해야 한다. 그래야만 천이 사람들이 지향하는 이상이 되고 본받아야 할 모범이 되며 영원히 추구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천은 사람들이 쉼 없이 향상하고 진보하고 창조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그것은 마치 멀리서 손짓하며 우리를 부르는 미인과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