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림일기

그림일기

(정기용의 건축 드로잉)

국립현대미술관, 우동선, 서정일, 정다영, 정인하 (글)
현실문화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그림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림일기 (정기용의 건축 드로잉)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65640783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13-08-30

책 소개

500여 점이 넘는 정기용의 건축 드로잉 외에도, 정기용의 건축적 사유의 과정 전반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글과 대담이 함께 엮여 있다. ‘건축의 뿌리, ‘거주의 의미’, ‘성장의 공간’, ‘추모의 풍경’, ‘도시와 건축’, ‘농촌과 건축’ 등 여섯 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_ 길과 풍경: 정기용 아카이브와의 만남 / 정다영
_ 대담 정기용을 말하다 / 조성룡, 도정일

건축의 뿌리
[비평] 건축가 정기용의 사상 형성과 프랑스 혁명 지식인들 / 정인하
거주의 의미
성장의 공간
추모의 풍경
[비평] 온전한 환경을 위한 새로운 건축언어 / 서정일
도시와 건축
농촌과 건축
[비평] 정기용 소론, 건축과 사회와 삶 / 우동선

정기용의 프로젝트 연보

저자소개

우동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건축사연구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교정에서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저서로 《한국현대예술사대계 V: 1980년대》(2005, 공저), 《한국건축답사수첩》(2006, 공저), 《건축교육과 건축역사교육》(2009, 공저), 《궁궐의 눈물, 백 년의 침묵》(2009, 공저) 등이 있고, 감수진에 참여한 책으로 《서울의 근대건축》(2009)이 있다. 옮긴 책으로 《건축사학사》(1997), 《서양 근·현대 건축의 역사》(2003), 《연전연패》(2004) 등이 있다. 현대건축가에 대해서는 《장기인》(2003), 《엄덕문》(2004), 《이광노》(2005), 《송민구》(2007)의 구술집을 작업해왔다.
펼치기
서정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건축학분야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뉴욕 대학교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서 건축과 인문학의 학제연구를 통해 건축고전텍스트연구, 도시문명사연구 및 건축비평을 수행했다. 저역서로 『소통의 도시: 루이스 칸과 미국현대도시건축』(제2회 심원건축학술상 수상작), 『문화도시 서울 어떻게 만들 것인가』,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 『중국 개항도시를 걷다: 소통과 충돌의 공간 광주에서 상해까지』, 『그림일기: 정기용의 건축 드로잉』, 『사상가들 도시와 문명을 말하다』, 『루이스 멈퍼드 건축비평선』, 『동서양의 접점: 이스탄불과 아나톨리아』, 『이중재현시대의 건축』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인하 (글)    정보 더보기
펼치기
국립현대미술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이후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이전하였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완공, 개관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998년에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인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여 근대미술관으로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11월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소격동에 전시실을 비롯한 프로젝트갤러리, 영화관, 다목적홀 등 복합적인 시설을 갖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을 건립·개관함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재건축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를 개관하여 중부권 미술문화의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배명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펼치기

책속에서

건축을 사유한 정신의 흔적 그 자체를 담고 있는 그의 드로잉에는 그림과 글이 전달하는 이야기가 있다. 예컨대 그의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인 「광주 목화의 집」 드로잉 「그림_」의 경우, ‘경계 - 영역 - 시간 - 행위 - 관계 - 땅의 잠재력’과 같은 일련의 사고 과정을 통해 건축을 창조하는 그의 작업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여러분, 이 스케치북 보이시죠? 여기에 굉장히 많은 스케치가 담겨 있는데 이것의 3분의 2를 그릴 때 저도 같은 공간, 같은 시간대에 있었습니다. 그 동안 전 아무것도 한 게 없어요. 그러면 그 시간 동안 나는 그곳에서 무얼 했나라는 자괴감이 듭니다. 나 몰래 따로 나중에 그렸나 싶을 정도로 정기용 선생은 굉장히 즉각적이고 몸이 금방 반응했어요. 그런 부분이 부럽기도 하고 좋았죠. 사실은 같이 있으면서 많이 즐거웠습니다.


정기용 선생이 나를 감동시킨 것은 그의 시인적인 기질입니다. 그를 기억하는 많은 글에서 공간의 시인이란 표현이 있는데 (…) 그는 건축가이고, 또 건축가이기 이전에 미술을 공부했던 사람입니다. 근데 이분은 말이 너무도 유창하고 분명하고 아름답습니다. 그래서 저 사람은 시인으로 살지 않을까 생각했죠. 나중에 설계하면서 보이는 감성의 발휘 방향과 품질을 보니 굉장히 시인적이세요. 상상력 자체도 그렇구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