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축, 전시, 큐레이팅

건축, 전시, 큐레이팅

배형민, 정다영, 박정현, 최춘웅, 김상호, 윤원화, 이성민, 정현, 김동신 (지은이), 정림건축문화재단 (엮은이)
마티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축, 전시, 큐레이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축, 전시, 큐레이팅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86000908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9-08-29

책 소개

건축신문 23권. 2019년 1월 정림건축문화재단에서 시작한 건축큐레이팅워크숍에서 있었던 논의를 확장해 엮은 것이다. 건축 분야 기획자들이 주로 참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건축가와 타 분야 실무자들까지 모여 풍성한 논의를 나눴다.

목차

서문: 공동의 판을 만드는 일

배형민 ― 전시 시대의 감각, 사유와 수행
정다영 ― 건축 큐레이터의 말하기
박정현 ― 건축 전시의 시간성
최춘웅 ― 건축가의 실천: 전시와 건물 사이에서 변주되는 것들
김상호 ― 연산, 편집, 전송되는 건축
윤원화 ― 건축과 미술 사이에서: 미술관 건축을 전시하기
이성민 ― 미술관 바깥에서 건축은 어떻게 전시되는가
정현 ― 2010년 이후의 서울에서 만들어지는 건축 혹은 건축적인 것에 대하여
김동신 ― 다른 마을에서 온 편지

[부록1] 2019 건축큐레이팅워크숍
[부록2] 2019 건축큐레이팅워크숍 라운드테이블

저자소개

윤원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각문화 연구자, 비평가, 번역가. 저서로 『1002번째 밤—2010년대 서울의 미술들』 『문서는 시간을 재/생산할 수 있는가』 『그림 창문 거울—미술 전시장의 사진들』 『껍질 이야기, 또는 미술의 불완전함에 관하여』 등, 역서로 『광학적 미디어: 1999년 베를린 강의—예술, 기술, 전쟁』 『기록시스템 1800·1900』 『포기한 작업으로부터』 『사이클로노피디아 —작자미상의 자료들을 엮음』 등이 있다.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에서 <부드러운 지점들>을 공동 제작했고, 부산비엔날레 2022 온라인 저널 ‘땅이 출렁일 때’를 기획 편집했다.
펼치기
박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로》 편집장, 연세대 겸임교수.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축은 무엇을 했는가: 발전국가 시기 한국 현대 건축』(2020)을 비롯해 『김정철과 정림건축』(편저), 『전환기의 한국 건축과 4.3그룹』(공저), 『중산층 시대의 디자인 문화: 1989~1997』(공저) 등을 쓰고, 『포트폴리오와 다이어그램』(2013), 『건축의 고전적 언어』(2016)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배형민 (엮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 역사가, 비평가, 큐레이터이며 서울시립대학교 교수다. MI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두 차 례 풀브라이트 스콜라를 지냈다. 대표 저서로 『Portfolio and the Diagram』(2002), 『한국건축개념사전』(2013), 『감각의 단면 - 승효상의 건축』(2007), 『의심이 힘이다 - 배형민과 최문규의 건축대화』(2019), 『아모레퍼시픽의 건축』(2018) 등이 있다. 2008년과 2014년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한국관 큐레이터를 역임했고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총감독,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수석 큐레이터 등 여러 국제 전시를 기획했다.
펼치기
최춘웅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건축문화연구실을 이끌고 있다. 건축 유산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복원 및 재생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큐레이터와의 협업으로 광주비엔날레, 서울미디어아트비엔날레 등 전시 공간 디자인에 참여했고, 아티스트와의 협업으로 ‹상하농원과 소행정 G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독립적으로는 기무사, 문화역서울, 그리고 일민미술관에서 그룹전에 참여했다.
펼치기
최춘웅의 다른 책 >
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에서 목조형 가구 디자인을 전공하고, 코넬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도쿄와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의 건축사무소에서 근무한 뒤 서울로 돌아와 건축과 출판을 아우르는 프로젝트 초타원형(Superellipse)을 설립하여 미술가, 사진가, 음악가, 게임 제작자, 그래픽 제품 디자이너 등과 협업하고 있다. 《그래픽디자인서울, 2005~2015, 서울》(2016), 《상상의 항해》(2016) 등에 참여했고, 젊은건축가프로그램(2017)의 최종 후보군에 선정되었다. 건축과 도시 속 당대 디지털 문화에 관한 책 『PBT』(2014)와 『CC』(2017) 등을 출판했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편집자로 건축을 접근 가능한 문화로 전달하는 일을 하고 있다. 현재 정림건축문화재단에서 출판 편집과 포럼 시리즈 기획을 맡고 있다. 『다큐멘텀』 창간 편집장을 맡았고, 『공간』 기자로 일했다. 2018년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한국관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상의 항해》(2016), 서울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서울은 미술관〉(2016) 등에 편집자 및 기획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이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큐레이터로 예술 현장과 공공영역에서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경기문화재단 경기북부프로젝트 《공공·생활·문화》(2018), 《땅과 기억》(2017), 더빌리지프로젝트(2016~2018), 《김중업 다이얼로그》(2018), 《상상의 항해》(2016), 《미래 과거를 위한 일》(2017), 《날개. 파티》(2017),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2017),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2016, 2010), 《Out Of The Ordinary》(2015), 제4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2013~2014), 《Architectural Urbanism: Melbourne/Seoul》(2013~2014), 서울사진축제(2018, 2010), 서울디자인올림픽(2008)에 참여했다. 현재 서울시청 문화본부 학예사로 일하며 서서울미술관 건립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펼치기
김동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돌베개출판사 디자인팀 팀장으로 근무했으며 2020년 2월부터 동신사라는 이름의 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디자인, 강의, 글쓰기 등의 일을 하면서 2015년부터는 ‘인덱스카드 인덱스’라는 연작물을 만들고 있으며, 2018년과 2019년 〈Open Recent Graphic Design〉의 기획자 및 작가로 참여했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전시 〈젊은 모색 2023: 미술관을 위한 주석〉에 작가로 참여했다.
펼치기
정림건축문화재단 (엮은이)    정보 더보기
정림건축문화재단은 건축문화의 성숙과 확장을 위해 일합니다. 건축문화의 매개자이자 플랫폼으로서 미디어, 출판, 연구, 교육 등 폭넓은 영역에서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재단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삶의 중요한 바탕인 건축을 문화적 형태로 전달하고, 건축계의 담론 형성을 돕고, 건축의 사회문화적 면모가 우리 일상에 자리 잡도록 힘쓰고 있습니다. junglim.org
펼치기
정림건축문화재단의 다른 책 >

책속에서

“건축 전시는 건물을 경험하는 대체 수단이 아니다. 건축 전시는 개인과 집단의 체험 측면에서 지어진 공간 환경과는 다른 것이고, 생각, 이미지, 공간을 엮어 체험과 지식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 배형민


“우리는 과거부터 다른 분과가 쌓아놓은 경험과 이론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전시의 문법을 공부하고 수행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큐레이팅 실천을 위한 건축 내부의 방법론을 함께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서 있다.” - 정다영


“더 이상 미래를 자신의 것으로 자신 있게 선언할 수 없는 시대 , 모두가 뒤로 눈길을 건네는 지금, 앞으로 내던진다는 의미의 ‘프로젝트’는 관심의 대상이 되기 힘들다. 과거를 충실히 기록하는 아카이브와 현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파빌리온이 이 시대의 건축 전시의 양상을 대변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 - 박정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