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5746386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8-01-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애착은 개인과 사회를 위한 행복씨앗이다 
1장 대한민국을 뒤흔드는 
금수저, 흙수저 신드롬 
잘사는 나라의 마음이 가난한 아이들 
정서적 빈곤에 시달리는 대한민국
그들에게 없는, 가장 중요한 한 가지
정서적 빈곤은 수많은 문제 행동을 낳는다
2장 애착손상 권하는 사회 
영국의 보육 정책은 왜 실패했나? 
극단적 통제와 허용 사이에서 상처받는 아이들
아이는 접촉 위안이 필요하다 
부모들의 로망에 따라 길러지는 아이들 
헬육아, 독박육아에 지친 부모들
아기들이 가장 원하는 것
부모의 이혼이 자녀에게 드리우는 그림자
낳기만 해라, 정부가 키워줄게? 
3장 심리적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아이들 
인간의 생존 본능, 애착  
내 편이 되어줄 것이란 믿음과 기대
아기들은 어떻게 애착을 형성하는가
신호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어른들 
양육자와 아이의 애착 유형
4장 사람의 일생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 트라우마
DDT보다 더 독한 DTD 
수많은 ‘장애’로 진단되어 온 발달 트라우마 
애착손상이 지속적으로 벌어질 때
아동기의 부정적 경험의 위험성
연결이 끊어지면 건강한 성장과 발전도 어렵다
춤을 추듯 아기와 조율하라
발달 트라우마가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발달 트라우마는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5장 누구나 안전 기지가 필요하다
성인에게도 애착 관계가 중요하다
양육자로서 나의 애착 유형은?
모성과 부성의 대물림
과잉 애착은 독친으로 이어진다 
6장 어떻게 정서적 금수저로 키울 것인가
부부 싸움 대신 부부 화목으로
억압하지 말고 엄하게 키우자 
아이를 부모의 따뜻한 시선 안에 두자
놀이터에 보내지 말고 놀이터가 되자
아이의 금맥을 발견하라
‘아부지’가 아니라 아버지가 되자
조건 없는 사랑을 주는 단 한 사람이 필요하다
‘행동코칭’이 아니라 ‘감정코칭’을 하라
부부가 일과 가정을 함께 세우는 큰 그림을 그려라
7장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길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는 애착 사회
노동 시간이 아니라 가족 시간을 확보하자
애착의 질을 우선시하는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라
가정이 행복해야 기업도 성장할 수 있다
애착의 2차 방어선인 학교도 나서야 한다
에필로그 함께 애착 사회를 꿈꾸며
감사의 글
리뷰
책속에서

제가 애착손상과 정서적 금수저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미국 유학 당시 목격한 한 광경 때문이었습니다.
애착은 개인과 사회를 위한 행복씨앗이다
이 책은 정서적 흙수저의 비극을 설명합니다. 애착손상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우리 사회에 알리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목표입니다. 애착손상과 이로 인한 발달 트라우마 후유증에 대한 방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문제를 제대로 이해해야 해결책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다음에는 정서적 금수저로 살아갈 수 있는 과학적 연구에 기반한 방법을 알려줍니다. 애착손상이나 발달 트라우마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어른이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여기서 어른은 부모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부모 외에 수많은 어른들을 통해 양육됩니다. 조부모, 친인척, 어린이집 보육교사, 유치원 교사, 초 중 고 교사, 학원 강사 등이 아이들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고, 정부의 정책 입안자들도 아이의 양육 환경에 엄청난 영향을 미칩니다. 기업의 CEO와 임원들이 직원들의 생태계를 얼마나 잘 돌봐주는지도 직원들의 자녀 양육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어른들 모두가 애착손상이 무엇이며, 개인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 차원에서 얼마나 큰 손실을 일으키는 문제인지를 알고, 어떻게 해야 예방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모두가 정서적 금수저가 될 수 있도록 서로 도와서 우리나라가 정서적으로 부유한 나라가 되길 바랍니다. 애착은 사랑의 시작이고, 애착의 결과는 행복입니다. 돈과 명예가 아니라 안정된 애착이 사랑을 행복으로 연결해 줍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