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67351908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5-03-16
책 소개
리뷰
책속에서
모든 문명에서 금기의 논리는 (언어 같은) 정신적 표상이든 (도구 등의) 물질적 표상이든 인간과 그 표상 사이에 제3의 원칙이 끼어들어 중재해야 할 필요성에 따라 생겨난 것이다. 금기와 중재라는 이 교조적 기능은 기술 중심의 세계에서 법에 하나의 특별한 지위를 부여한다. 즉, 기술을 인간화하는 기술로서의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오늘날 여러 법률가가 하는 바와 같이 그렇듯 과학을 앞세우며 법의 교조적 성격에 맞서는 것은 퇴행적인 위험한 길에 해당한다.
_제1장 인간이란
계약의 형태가 어떻든 간에 모든 계약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자연인이나 법인, 사인이나 공인 등의 인격을 타인의 권력 행사 범위에 집어넣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자유와 평등의 원칙이 침해되지 않는다. 이러한 충성관계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에 대한 구분이 모호해지고, (특히 독립적인 권한 당국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합의의 보증인이라는 그림이 단편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므로 ‘계약 만능주의’의 환상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_제3장 말의 구속력
경제법칙에서는 개개인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보장받는 세상이 존재함을 전제한다. 하지만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합리적인 개인 각자가 모인 집합체 정도로 사회를 한정지으려는 서구적 신화는 인류학적 기본 상식을 외면한다. 인간의 이성은 결코 직접적인 의식의 소산이 아니라 제도의 산물이다. 이 제도의 힘에 의해 각자는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 사회 내에서 저마다의 자리를 알아보며, 그 안에서 고유의 재능을 표현할 수 있다. 각자의 정체성이 국가에 의해 보증되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것을 기반으로 스스로의 정체성을 세우고자 노력한다. 종교, 민족, 지역, 부족, 당파 등의 준거로써 정체성의 기반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_제5장 권력의 이성적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