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7359546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1-10-1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이 책의 구성 및 활용 방법
제1강. 표절은 부정인가?
제2강. 글로벌 인재는 정말 필요한가?
제3강.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일본 고유의 문제인가?
제4강. 예술 작품에 객관적 가치가 존재하는가?
제5강. 대리모 출산은 허용되는가?
제6강. 굶주린 아이 앞에서 문학이 유용한가?
제7강. 진리는 하나인가?
제8강. 국민은 모든 것을 알 권리가 있는가?
제9강. 학문은 사회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가?
제10강. 절대 사람을 죽여서는 안 되는가?
번외편. 논의를 통해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가?
종강. 차이를 뛰어넘는 일은 가능한가?
수업을 돌아보며 ―학생 리포트 편
나가며 ―후기 교양 교육의 배경
후기 교양 교육 개설 취지서
후기
참고 자료
주
책속에서
이러한 ‘교양인’은 단편적인 지식을 체계적인 지로 구조화할 수 있는 ‘축’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이 꼭 학문일 필요는 없고 일할 때 필요한 노하우든 뭐든 상관없다. 어쨌든 ‘이것이 나를 지탱해주고 있다’라고 할 만한 고유의 기반이 되고 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응집하고 통합시키는 전문성의 ‘핵’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
아무래도 모든 학문이 최종적으로 지향할 것은 ‘존재의 한계’로부터의 해방이자 ‘자신이라는 한계’로부터의 해방이 아닐까? 다양한 제약이나 구속에서 인간을 해방시키거나 지금껏 몰랐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 데서 오는 기쁨을 느끼게 해주지 않는 학문은 무의미한 것이 아닐까?
이뿐 아니라 논점4를 통해 학생들이 ‘윤리 교육에서 다른 분야 사람들과 어떻게 협력할 수 있을까?’에 대한 대답을 직접 실천하여 보여줬다는 사실에 큰 의미가 있다. 어떤 학생은 이날의 수업에 대한 감상으로 ‘평소에 쓰는 부위와는 다른 머리를 사용한 느낌이다’라고 말했다. 진지한 자세로 문제 제기 및 논점에 대해 고민함으로써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문맥에서 파악하고 이를 자신의 문제처럼 생각했
음을 엿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