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71396216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18-08-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서론
제1부 무교 연구의 쟁점과 과제
제1장 한국 무교의 정체성과 종교성
1. 무교의 정의와 기원: 정체성의 문제/ 2. 무교의 유형론적 비교의 문제/ 3. 무교의 종교적 본질 문제/ 4. 무교 연구의 쟁점들
제2장 식민지 근대성과 ‘무속’ 담론의 형성
1. ‘무속’은 한국의 고유한 종교인가/ 2. 무속의 민족종교론: ‘신교(神敎)’ 담론과 단군민족주의/ 3. 무속의 문화전파론: 범아시아 샤머니즘 문화권과 동화주의/ 4. 무속의 ‘토속’문화론과 식민주의 ‘조선무속론’/ 5. 제국주의 질서와 무속 담론의 경합: 식민적 담론의 양가성/ 6. 무속 행위자의 불온한 주체성
제3장 해방 이후 무교 연구의 원형론, 기능론, 실천론
1. 무교의 원형적 종교 형태론과 심리주의적 관점: 1960년대~1990년대/ 2. 무교의 사회기능론과 구조기능주의적 관점: 1970년대~1980년대/ 3. 무교의 민중문화론과 사회적 실천의 관점: 1980년대~현재/ 4. 무교 연구의 회고와 전망
제2부 무교의 역사적 담론과 구원의 서사
제4장 폭력의 역사적 담론: 제주 무교
1. 무교와 4ㆍ3 사건/ 2. 폭력의 이미지: 꿈 이야기/ 3. 민중의 서사 전통/ 4. 원혼과 ‘영게울림’/ 5. 역사적 진실과 원한 담론/ 6. 민중기억과 ‘4ㆍ3굿’의 연행성
제5장 고통스런 이야기, 구원의 역사
1. 고통스런 이야기/ 2. 진실한 이야기/ 3. 입무몽/ 4. 구원의 역사/ 5. 꿈 이미지의 도상적 힘/ 6. 근대성과 민중적 구원의 기호
제3부 신들림과 여성주의 서사
제6장 신들림의 심리학과 미학
1. 신들림 체험의 심미적 연구/ 2. 신령의 부름과 ‘샤먼이 되는’ 길: 척치족 샤먼/ 3. 자기창조의 예술: 한국의 만신/ 4. 사례 비교 분석: 자기창조의 성숙도/ 5. 자기창조의 미학: 윤리적 제안
제7장 문심방의 구술 생애사와 서사 분석
프롤로그/ 1. 여성주의 글쓰기와 서사 전통의 차이/ 2. 문심방의 생애: 말하기와 읽기/ 3. 생애사의 서사구조/ 4. 여성성의 구술 전통: 신화적 장치/ 에필로그
제8장 여성주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성찰
1. 젠더 경험의 여성주의 구술사/ 2. 생애 이야기: 젠더 경험의 자전적 서사/ 3. 운명의 투쟁자: 젠더 주체의 서사적 구성/ 4. <바리공주> 서사 무가: 초월적 젠더의 원형 텍스트/ 5. 군위안부 할머니의 증언: 역사적 상처의 젠더 정치/ 6. 여성주의 구술사 방법론의 문제영역/ 7. 여성주의 구술사의 담론 윤리
제9장 무조 신화의 여성공간성과 윤리적 과업
1. 여성적 원리의 신성성과 구술 연행성/ 2. 가정신앙과 모-자녀 중심 집의 공간/ 3. 바리공주 신화: 여성 주체성의 초월적 윤리/ 4. 제주도 초공본풀이 자지명아기씨 신화: 희생적 모성성의 신화/ 5. 신당의 모성적 공간: 아버지 부재의 신성한 가정/ 6. 여성 신격의 근원적 타자성
제4부 무교 신화와 의례의 신성성과 연행성
제10장 무교 신화와 의례의 연행구조와 문화적 도식
1. 의례의 신성성과 연행성/ 2. 신화와 굿의례의 연행구조/ 3. 신화적 도식과 문화적 도식/ 4. 삶과 죽음의 경쟁: 불도맞이굿의 신화적 도식/ 5. ‘죽은 사람 살려내는’ 무혼굿의 신화적 도식/ 6. 무교의 종교적 전망
제11장 한과 해한의 사회극: 국경을 넘나드는 조상혼
1. 굿을 청하는 이유/ 2. 문씨 집안의 비극적 연대기/ 3. 돌아온 ‘영신’들
제12장 조상과 신화적 인격의 형성
1. ‘이녁 조상은 비밀’: 조상ㆍ심방ㆍ인류학자의 해석학적 만남/ 2. ‘조상’과 신화적 인격/ 3. ‘이녁 조상’의 개념과 인격의 사회적 신화/ 4. 치병굿 병인론: ‘조상걸괘’/ 5. 의례적 치유과정: 신화적 인격의 각본
제13장 원풀이·한풀이의 서사 정치학: ‘추는굿’과 ‘영감놀이’
1. 제주 사회와 도채비/ 2. ‘추는굿’의 의례 유형과 구조/ 3. ‘도채비들림’의 사례: 선호/ 4. ‘몸에 새겨진 역사’
제5부 근대성의 주술과 샤머니즘
제14장 풍수와 식민주의 기억의 에로틱 주술
1. 근대성의 이면/ 2. 풍수와 묘지 훼손의 주술적 에로티시즘/ 3. 일제 단맥설과 역사의 정기/ 4. 식민적 근대성의 기념비: 식민지 ‘말뚝’에서 ‘민족’ 팔루스로/ 5. 식민주의 주술과 에로틱 풍수/ 6. 근대성의 주술
제15장 기복신앙의 윤리와 자본주의 문화
1. IMF 위기와 재수굿/ 2. 후기 자본주의 소비문화와 기복신앙/ 3. 재수와 복의 개념과 의미/ 4. 단골의 정성과 신령한 돈/ 5. 재수와 복의 도덕적 경제: 영적 증여교환체계/ 6. 기복신앙의 윤리: 정성과 은덕의 품앗이/ 7. 재수와 복의 종교적 승화/ 8. 공감의 윤리
제16장 사이버 공간의 가상 샤머니즘
1. 사이보그 무당 ‘사이샤’/ 2. 사이버 공간의 샤먼 활동: 사례 연구/ 3. 가상 샤머니즘의 사회적 함의/ 4. 가상적 종교성의 본질/ 5. 가상적 무교를 전망하며
주석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