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탈향과 귀향 사이에서

탈향과 귀향 사이에서

(농민공 문제와 중국 사회)

허쉐펑 (지은이), 김도경 (옮긴이)
돌베개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탈향과 귀향 사이에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탈향과 귀향 사이에서 (농민공 문제와 중국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7199822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7-09-29

책 소개

오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중국 사회의 고유한 성격과 ‘중국의 경험’에 착목하여 중국의 발전 및 도시화와 농촌(농민) 문제를 조명한 허쉐펑의 신작다. 허쉐펑은 화중과기대학의 사회학 교수이자 향촌 거버넌스 연구센터 주임으로서, 최근 중국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연구자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중국의 발전과 현대화의 비밀 4

Ⅰ. 퇴로를 열어주는 사회

2008년 농민공 실업은 왜 ‘문제’가 아니었나 13
농민공 회귀의 논리|농민공 출현의 논리|조금 빨리 시작된 ‘세대별 분업’의 교체|‘중국식 도농 이원구조’라는 비밀

농민공 부족 현상의 이면 44
바뀌지 않는 노동 조건 그리고 여전히 엄격한 고용 기준|온전한 가정을 꾸리길 바라는 농민|진퇴 여부는 농민의 선택권

도시 이주가 답이 될 수 없는 이유 57
임금소득의 위력|중국 농촌의 체면 경쟁|도시 정착을 위한 자금 마련|동일한 임금노동 그러나 완전히 다른 가치|신중함이 필요한 도시 이주 정책

도시로 나갈 권리, 농촌으로 돌아갈 권리 76
기본 생활을 보장하는 농촌|농촌이라는 퇴로|자본의 농촌으로의 이동을 제한해야 한다|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도농 이원구조

Ⅱ. 법과 사회의 딜레마 그리고 미묘한 균형

‘알박기’ 게임의 진실 99
알박기의 논리와 계산법|알박기 게임의 이면|획일적인 언론의 태도

농민 탄원의 실상과 ‘조화사회’의 역설 116
‘향촌 내부의 충돌’에서 ‘촌민과 지방정부의 충돌’로|인민 내부의 모순을 돈으로 해결|침묵하는 다수를 물들이는 소수의 불법행위|1퍼센트의 악성 탄원이 99퍼센트의 탄원을 인질로 삼는 상황|향촌 정치의 소멸과 국가의 무능|중국의 현실과 담론의 주체성

법과 사회의 딜레마 그리고 미묘한 균형 152
초과 출산의 ‘구매’|주택 심기|암매장의 유행|윤번과 연령으로 선정되는 최저생활보장 혜택|탄원과 재판의 딜레마|치안 사건의 사적 해결|사라지는 민간 역량|‘좋은’ 중앙과 ‘나쁜’ 지방의 악순환

‘낯익은 사회’의 거버넌스 178
인정의 호혜성|자기 사람의 네트워크|자기 사람의 거버넌스|낯익은 사회의 낮은 거버넌스 비용

Ⅲ. 중국식 부의 재분배

왜 급진적인 도시화가 문제인가 207
충칭의 호적제도 개혁|산둥의 농촌 공동거주지 조성|허난성 K진의 도시 개발

‘토지 재정’과 부의 재분배 243
잉여를 공유하는 중국의 방식|9억 4,000만 농촌 인구의 삶을 떠받치고 있는 토지|국가 재정 수입을 확보하는 통로|노동과 상관없는 토지 이익집단을 저지해야|부르주아 혁명과 사회주의 혁명의 성과

성중촌과 판자촌 개발의 대가 264
성중촌과 판자촌은 빈민굴인가|도시 빈민굴을 양산할 수 있는 성중촌과 판자촌 개발|토지 재정을 잠식하는 성중촌과 판자촌 개발|성중촌과 판자촌 개발을 서두를 이유가 없다

토지 사유화의 신화 280
토지 사유화를 말하는 사람들|발전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의 토지제도|빠른 경제 성장에 대한 토지제도의 기여|2차·3차 산업의 발전에서 비롯되는 토지개발 수익|농민 집단의 다양한 분화|소농경제의 중요성

옮긴이의 말|허쉐펑, 중국을 읽는 새로운 렌즈 310
찾아보기 317

저자소개

허쉐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후베이성湖北省 징먼荊門 출생. 화중사범대학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화중과기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화중과기대학 향촌 거버넌스 연구센터의 주임이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농촌에서의 오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토지제도, 향촌 자치, 도시화, 농민공 등에 대한 중요한 연구 성과를 내놓았다. 2015년에는 중국 교육부가 지원하는 ‘장강학자’長江學者로 선정되었다. 저서로 『신향토중국』新鄕土中國(2013), 『도시화의 중국 모델』城市化的中國道路(2014) 등이 있으며, 특히 2010년과 2013년에 출간한 『토지 권리의 논리 I·II』地權的邏輯는 원톄쥔溫鐵軍을 비롯한 많은 ‘신좌파’ 지식인으로부터 폭넓은 지지와 호응을 얻었다. 상대적으로 중국 사회과학의 주체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다양한 논쟁과 토론의 중심에 자주 서며 ‘중국 학계의 이단아’적인 면모를 보이곤 한다.
펼치기
김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푸단 대학 사회학과에서 ‘중국 인구조절론의 학술권위 획득’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중국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중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