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72082132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04-10-25
책 소개
목차
분단과 통일, 그리고 미완의 논쟁
1. 프롤로그 - 광복에서 분단, 통일까지
2. 임정이냐 인공이냐 - 해방정국의 주도권 경쟁
3. 좌익 간의 대립 - 통일국가의 혁명방식은 무엇인가
4. 찬탁이냐 반탁이냐 - 미국과 소련의 신탁통치 문제
5. 해방군인가 점령군인가 - 미군정에 대한 엇가린 평가
6. 가짜인가 진짜인가 - 김일성의 항일투쟁 진위를 둘러싼 논란
7. 외인론과 내인론 - 분단의 원인은 무엇인가?
8. 남침인가 북침인가 - 한국전쟁 발발 원인을 둘러싼 견해 차이
한국 문화계를 달군 격렬 논쟁들
9. 민족의 정체성과 문학 - 미군정기 '민족문학' 논쟁
10. 참여문학 vs 순수문학 - 해방공간에서 문학은 어떻게 기능해야 하는가
11. 문학과 정치의 한계선 - 구국문학론을 둘러싼 좌우갈등
12. 김동리 vs 이어령 - 비평태도를 둘러싼 신구 세대 갈등
13. 황산덕 vs 정비석 - <자유부인>을 둘러싼 창작의 자유와 윤리
14. 중진학자 vs 소장학자 - 학문하는 자세를 둘러싼 선후배들의 갈등
15. 황순원 vs 백철 - 소설창작방법론과 비평의 한계
16. 양주동 vs 이숭녕 - 향가해독을 둘러싼 국문학자들의 난타전
17. 작가와 현실 - 냉전의식과 진보적 문학론
18. 사회적 자아냐 창조적 자아냐 - 문학의 사회참여를 둘러싼 문단의 갈등
19. 이응노와 남관, 누가 먼저인가? - 한국화단 중진들의 창작과 모방 논쟁
논쟁을 통해 본 한국종교
10. '예장'과 '기장'의 분리 - 장로교의 보수.자유 갈등과 분열
21. 신에 대한 헌신인가, 성추행의 원인인가 - 가톨릭의 독신제도 시비
22. 타종교 비판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 '종교정신'을 놓고 촉발된 종교계 갈등
23. 함석현 vs 윤형중 - '할말 있다' '할말 없다'
24. 십자가와 장승 - 성상인가 우상인가
25. 보조국사 지눌 vs 성철 스님 - 돈오돈수냐, 돈오점수냐
26. 종조를 두고 벌인 조계종의 법통 논쟁
27. 사찰의 주인은 누구인가 - 불교계의 정화와 비구.대처승의 대립
28. 단군신화, 어떻게 볼 것인가 - 기독교의 토착화와 단군신화 해석의 문제
29. 종교인가 철학인가 - 유교의 종교화에 대한 찬반양론
30. 공자 '죽이기' '살리기' - 유교문화 청산과 우리 정체성 논란
31. 타종교에도 구원은 있는가 - '종교다원주의'와 감리교의 종교재판
32. 통일교는 이단인가 - '통일원리'를 둘러싼 신학자들의 논전
33. 예수도 민중이다. - 변화하는 민중운동에 기독교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34. 현실참여 vs 교리적 정당성 - 불교도 민중에 눈을 돌려라
지금 논쟁 중인 핫이슈들
35. 세계화 vs 반세계화 - 전지구적 진보인가 빈부격차 가속화인가
36. 자본의 반격인가 시장의 논리인가 - 신자유주의, 누구를 위한 것이냐
37. 여성계 vs 유림 - 호주제 폐지와 가족법 개정
38. 다름과 차이 - 여성해방론을 둘러싼 갈등
39. 혼전순결과 이혼사유 - 1964년 파탄주의 제1호 판결
40. 성은 타고난 것인가 - 성전환자의 호적 정정 논란
41. 인권이냐 살인방조냐 - 안락사 허용을 둘러싼 논란
42. 존치나 폐지냐 - 사형제도와 인권의 충돌
43. 과학 vs 생명윤리 - 인간복제를 둘러싼 논란
44. 한글 vs 한자 - 전용이나 혼용이냐
45. 통일의 걸림돌인가, 남침의 방패인가 - 진보계의 최대 화두 반미와 미군철수
46. 정략적 승부수인가 역사적 단죄인가 -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일제 잔재 청산
47. 전교조 vs 교총 - 끝나지 않는 '교유이념' 논쟁
48. 생활 학문 투쟁의 공통체인가, 이적단체인가 - 한총련의 이적성 논란과 운동권의 어제와 오늘
49. 좌우갈등과 남남대결 - 보수.진보 갈등으로 얼룩진 <한국논단>
40. 에필로구 - 다시 불붙는 통일논쟁
말末 없는 말, 지금 논쟁 중!
41. 대승이냐 소승이냐 - 한국불교의 정체성
42. 생태사찰을 위하여 - 불교의 환경논쟁
43. 기복 vs 정법 - 기복불교 논쟁
44. 여자에겐 불성이 없다? - 불교의 성차별논쟁
45. 간화선이냐, 위파사나냐 - 수행법의 다양성을 둘러싼 논란
46. 무아.윤회설은 양립 가능하냐, 상호모순이냐
저자소개
책속에서
1940년대의 대표적 논쟁으로 좌우익의 갈등을 꼽는다면 1950년대는 신구세대 논쟁을 들 수 있다. 분단이 고착되면서 이념 갈등이 사그라든 가운데 일군의 신진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평론분야가 그러했고, 소장학자들이 본격적인 연구논문을 내놓기 시작한 학계에서의 논쟁이 그러했다.
1959년에 김동리 대 김우종, 이어령으로 이어지는 일대 논전은 이 같은 신구세대의 갈등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다. 순수문학의 거장 김동리에 대한 신진 평론가 김우종, 이어령의 도전은 당시 문단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 본문 9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