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8944177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25-03-0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한 번뿐인 인생, 행복지수를 높이는 길
프롤로그 / 행복에 이르는 삶의 방정식
제1부 임신과 출산… 인간은 어디서 오는가?
1.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2. 정자와 난자의 만남, 생명 탄생의 순간
3. 남성과 여성, 그 결정의 순간은?
4. 태아의 궁전, 자궁의 세계
5. 태교, 아이의 미래가 바뀐다
6. 출산 신풍속도, 바람직한 출산은?
7. 탄생의 순간, 부모가 된다는 것은?
8. 가족, 달라지는 가족문화
9. 생명공학이 만들어내는 미래형 인간
10. 성현들은 인간을 어떻게 보고 있나?
제2부 영유아·아동기… 나는 누구인가?
1. 우리 아이는 누구인가?
2. 달라지는 교육환경, 우리 아이를 어떻게 키울까?
3. 아이에게 무엇을 가르칠까?
4. 우리 아이는 개성체, 언제나 독립을 꿈꾼다!
5.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6. 창의성·민주시민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7. 교육의 디지털 전환, 효과적인 학습 방법은?
8. 공감·창의성 시대, 유명인들의 육아 이야기
9. 저출생 교육환경, 바람직한 육아의 길은?
10. 건강한 정신과 육체, 더불어 사는 세상
제3부 청소년기… 나는 왜 사는가?
1. 청소년은 누구인가?
2. 달라지는 세상, 시대를 앞서가는 청소년들
3. 성과 사춘기, 바람직한 교육 방향은?
4. 공부란 무엇인가?
5. 청소년기의 고민, 인생이란 무엇인가?
6. 디지털 전환시대, 인공지능과 동행하는 삶
7. 직업 선택, 성공한다는 것의 의미는?
8. 경쟁사회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9. 꿈★은 이뤄진다
10. 성현들이 젊은이에게 제시하는 성공 방정식은?
제4부 성년에서 중년까지… 나의 선택, 나의 책임은?
1. 성년·중년 세대는 누구인가?
2. 결혼, 가정이 행복의 보금자리인 까닭은?
3. 부부 갈등과 이혼, 참된 부부상은?
4. 중년 부부들의 깊어지는 고민, 그리고 사회적 역할은?
5. 달라지는 직업 전선, 빨라지는 은퇴 준비
6. 건강은 건강할 때 지키자
7. 위기의 세대, 자존감을 높여라
8.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신중년의 꿈
9. 중년기에 돌아보는 나의 삶, 나의 행복
10. 성현과 철학자들이 들려주는 행복 방정식은?
제5부 행복한 노년기… 후회 없는 삶을 위한 과제는?
1. 노년 세대는 누구인가?
2.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3. 우리 사회의 주류로 부상한 액티브 시니어
4. 100세 시대, 건강한 노후를 위한 선결과제는?
5. 노년기가 더 행복한 사람들은?
6. 한 번밖에 없는 인생, 후회 없는 생을 위한 조건은?
7. 우리에게 피할 수 없는 죽음, 그리고 사후세계
8. 영계를 알면 바른 삶이 보인다
9. 사후세계, 미리 살아보기
10. 아름다운 영혼, 영원한 삶을 위해
에필로그 / 다시 오지 않는 삶, 행복한 인간 백서를 만들자
저자소개
책속에서
《행복한 인간 백서》는 우리 인간이 살아가면서 누구나 겪게 되는 인생의 고민과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생애주기별로 묶어 정리하고,행복한 삶을 위한 방안을 체크리스트 형태로 제시했습니다. 특히 이 책은 우리 인간의 최대 목표인 ‘행복한 삶’을 위해서 태어나기 전후부터 한 생애를 마무리하는 순간까지 누구나 곁에 두고 읽어보면서 자신의 삶을 하나씩 챙겨나갈 수 있도록 다큐멘터리 형태로 꾸몄습니다. 그리고 자녀를 낳고 기르는 부부는 물론 인생과 진로를 놓고 고민하는 청소년들, 우리 사회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성년·중년 세대들, 은퇴이후 인생 2막을 살아가는 노년 세대들이 보람찬 인생을 엮어나갈 수 있는 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나이가 들면 어차피 맞이해야 할 죽음, 그리고 사후세계에 대한 소개를 통해 마지막 여생을 보람차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제시했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한 번뿐인 인생을 후회 없이 행복하게 살아가고자 소망하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순간의 쾌락보다는 먼 미래를 놓고 인생을 설계해야 합니다. 특히 우리 인간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게 되는가, 그리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하는 인생의 근본 문제에 대해서도 깊은 천착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이 책은 성현들이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 누구나 행복하게 살아가는 길을 제시하고자 노력했습니다.
-- 이상 '책머리에'와 '프롤로그'에서
우리 인간은 누구나 불행을 물리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이 진정 행복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찾기 어렵습니다. 그러다 보니 인생은 고해(苦海)라는 말을 하게 됩니다. 바다 곳곳에 무수한 암초가 있을 때 항해하는 배는 좌초되거나 항로를 변경해야 하는 것처럼, 우리 삶의 바다에도 극복해야 할 갖가지 고통스러운 난관들이 가로놓여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망망대해에는 정해진 길이나 표지판도 찾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항해하는 동안 수많은 암초를 만날 수 있지만, 방향을 올바로 잡을 수 있다면 자신이 목표한 항구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지향하는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삶의 좌표를 올바로 설정하고 그것을 향해 전력투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이상 '책머리에'와 '프롤로그'에서
내 인생의 주인은 나입니다. 그런 점에서 나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고 어떻게 하면 오늘을 즐겁게 살 것인가를 생각하면서 행복하게 살아가야 합니다. 이제 우리는 ‘왜 사는가?’보다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땅에서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이 땅에 태어나서 한평생을 살아간다고 하더라도 누구나 차별없이 다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길이 무엇인지 찾아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달라지는 시대 흐름에 맞춰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길은, 모두가 즐겁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길을 찾는 것입니다. 여기다가 우리가 앞으로 높은 파도에 휩쓸리고 사는 것조차 힘들 때도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할 것인가를 스스로 묻고 과감히 결단을 내린다면, 굳게 닫힌 행복의 문도 서서히 열릴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생애주기에 맞춰 삶의 방정식을 찾아 행복지수를 높이고, 누구나 행복한 세상을 실현하기 위해 긴 여행을 떠나고자 합니다.
-- 이상 '책머리에'와 '프롤로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