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법과 생활 > 기타법률
· ISBN : 9788972192794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08-10-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 추천사1, 2
제1장 요즘의 상속 문제
1. 상속재산분할 갈등
2. 지금은 호주상속보다 법적 분배의 시대
3. 이혼과 재혼으로 가족 관계가 복잡해지고 있다
4. 마이너스 재산과 상속포기
5. 상속의 개념이 바뀐다
6. 유언이 없으면 상속인들은 싸움에 이른다
7. 훌륭한 전문가를 선택하는 방법
제2장 유언장이 있으면 비극을 막을 수 있다
사례연구 1. 전문가에게 의뢰하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사례연구 2. 살고 있는 집이 전부인 자녀의 소유가 되려 할 때
사례연구 3. 전부인의 자녀들이 양보하지 않아 집을 팔아야 하는 형편
사례연구 4. 자택과 임대용 아파트 상속으로 대립한 자매
사례연구 5. 부모를 돌보지도 않은 처남의 권리를 주장
사례연구 6. 전부인의 자식을 어릴 때부터 키웠는데 도무지 알아주지 않는다
사례연구 7. 재산 때문에 부모의 땅에 집을 지은 오빠와 여동생
사례연구 8. 담보를 방패로 형이 토지 전부를 주장한다
사례연구 9. 20년 전 죽은 형의 원한을 상속으로 갚는다
사례연구 10. 남편이 죽고 시누이 마음대로 상속이 추진된다
제3장 공증 받은 유언장이 있어도 갈등을 빚는 사례
사례연구 1. <전부인 자식 vs 새어머니> 재산을 새어머니가 감추어 버리다
사례연구 2. <오빠 vs 여동생> 부채를 떠넘길 경우
사례연구 3. <장남부부, 손자 vs 딸> 농가를 남기기 위한 유언
사례연구 4. <어머니 vs 두 딸> 모녀의 갈등
사례연구 5. <장녀 vs 차녀 부부> 여동생에게 배신당하다
사례연구 6. <전부인 자식 vs 새어머니> 가장 흔한 갈등 관계
사례연구 7. <전처 자식 vs 후처 자식> 어머니가 돌아가셔서 유언을 실행할 수 없다
사례연구 8. <언니 vs 여동생> 언니의 책략
사례연구 9. <여동생 vs 오빠, 언니> 막내가 유리하다
사례연구10. <형수, 조카 vs 남동생, 여동생> 형수가 약속을 깼다
제4장 유언장으로 자신의 의사를 전하는 시대
사례연구 1. <독신> 아버지의 상속으로 갈등을 빚은 사남매
사례연구 2. <재혼> 전처의 자식과 후처의 자식
사례연구 3. <사실혼> 공동 명의 아파트
사례연구 4. <본가> 형과 형수의 가족
사례연구 5. <동거> 부모의 부동산에 자녀들과 그 가족이 살고 있다
사례연구 6. <동족회사> 주식을 둘러싼 동생과의 대립
사례연구 7. <1인 거주> 자녀에게 재산을 남길 생각이 없다
사례연구 8. <자녀의 의도> 장남과 시집간 딸의 의도가 다르다
사례연구 9. <부모의 희망> 장남보다 삼남에게 의탁하고 싶다
사례연구10. <사용대차> 언니 명의의 땅
제5장 유언장을 만들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사항
1. 유언은 왜 필요한가?
2. 유언장이 꼭 필요한 경우
3. 유언이 아니면 할 수 없는 것
4. 유언장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5. 유언의 집행이란?
제6장 상담과 지원
1. 공정증서 유언의 작성 순서
2. 유언 상담의 사례연구
사례연구 1. 독신의 경우
사례연구 2. 남편이 인지한 혼외 자녀에게 재산을 주고 싶지 않은 경우
사례연구 3. 노후에 자신을 보살펴주는 자녀에게 재산을 주고 싶은 경우
사례연구 4. 전부인 자식보다 현재 부인의 자식을 지키고 싶은 경우
사례연구 5. 상속인이 해외 거주로 수속이 복잡해지는 경우
사례연구 6. 상속권이 없는 손자에게 유산을 주고 싶은 경우
사례연구 7. 동족회사나 개인사업자로 후계자를 지정해주고 싶은 경우
사례연구 8. 신세를 졌던 제삼자에게도 유산 일부를 나눠주고 싶은 경우
사례연구 9. 상속인에게 평등하게 재산을 주고 싶은 경우
사례연구 10. 상속인 각각에게 특정 재산을 주고 싶은 경우
제7장 원만한 상속을 위한 대책
1. 상속은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의사표시를 미리 해두자
3. 서둘러야 늦지 않는다
제8장 상속 절차를 알아둔다
1. 상속이란? 증여란?
2. 상속인과 우선순위란?
3. 법정상속분과 상속재산분할 방법
4. 상속재산이란?
5. 상속세법상 상속재산 평가 방법
6. 상속세 계산과 신고는?
맺음말
책속에서
유형의 재산을 남기는 일은 살아갈 날이 남은 사람들에게 큰 가치가 있다. 그리고 재산을 남기는 것 못지않게 친척끼리의 분쟁을 남기지 않는 것도 정신적으로는 큰 유산이 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무형의 유산'이다. 눈에 보이는 재산에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친척끼리 끝도 없이 분쟁하는 것은 정신적인 손해를 남긴다. 분쟁 기간이 길어지면 누구의 이익도 되지 않으므로 갈등이 일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재산을 남겨야 한다. - 본문 29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