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72913764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05-01-30
책 소개
목차
수정증보판의 서문
저자의 서문
서론 : 중국사 이해의 시각
역사적 시각의 다양성 ㅣ 지리적 환경 : 대조적인 남과 북 ㅣ 자연 속의 인간 ㅣ 촌락 : 가족과 혈연 ㅣ 내륙 아시아와 중국 : 유목과 농경
제1부 황재독재의 등장과 몰락
제1장 기원 : 고고학의 발견
중국의 구석기시대 ㅣ 중국의 신석기시대 ㅣ 상과 하의 발굴 ㅣ 중앙권력의 성장 ㅣ 서주 ㅣ 새로운 고고학적 기록의 의미
제2장 최초의 통일 : 국가유교
왕조의 효용 ㅣ 군주와 사상가 ㅣ 유가의 원리 ㅣ 도가 ㅣ 진의 통일 ㅣ 한대의 통합과 팽창 ㅣ 국가유교 ㅣ 천인상관의 우주론 ㅣ 황제와 문인관료
제3장 불교시대의 재통일
분열 ㅣ 불교의 교리 ㅣ 수.당의 재통일 ㅣ 불교와 정부 ㅣ 당조의 쇠망 ㅣ 사회적 변화 : 당송변혁기
제4장 중국의 전성기 : 북송과 남송
물질적 성장의 정점 ㅣ 교육과 과거제도 ㅣ 이학의 성립 ㅣ 신사사회의 형성
제5장 송조의 역설과 내륙 아시아
문과 무의 공생 ㅣ 비한족의 중국 지배 ㅣ 몽골 제국 속의 중국 ㅣ 송대의 이해
제6장 명조의 정부
홍무제의 유산 ㅣ 재정문제 ㅣ 내부로의 선회 ㅣ 붕당정치
제7장 청조의 성공담
만주족의 중국 정복 ㅣ 제도적 적응 ㅣ 예수회의 활동 ㅣ 청조의 내륙 아시아 통제강화 ㅣ 정치체제와 문화의 통합
제2부 후기 중화제국, 1600 - 1911년
제8장 발전이 없는 성장
인구의 증가 ㅣ 농업노동의 생산성 체감 ㅣ 여성의 종속 ㅣ 국내무역과 상업조직 ㅣ 상인과 관료의 공생 ㅣ 법률의 한계
제9장 변경의 불안과 문호개방
청조 정부의 약화 ㅣ 백련교의 반란, 1796 - 1804년 ㅣ 중국연해 : 화교의 기원 ㅣ 유럽 무역회사와 광주무역 ㅣ 신강에서의 반란, 1826 - 1835년 ㅣ 아편과 광주의 새로운 질서를 위한 투쟁, 1834 - 1842년 ㅣ 1842년에 시작된 조약의 세기
제10장 반란과 중흥
태평천국의 대반란, 1951 - 1864년 ㅣ 내전 ㅣ 1860년대 청조의 중흥 ㅣ 다른 반란들의 진압
제11장 초기 근대화와 청조의 몰락
자강운동과 그 실패 ㅣ 기독교와 유교의 갈등 ㅣ 개혁운동 ㅣ 의화단의 봉기, 1898 - 1901년 ㅣ 도덕의 붕괴
제12장 공화혁명, 1901 - 1916년
국내의 새로운 세력균형 ㅣ 군사화에 의한 반란 진압 ㅣ 공공영역에서의 신사층의 활동 ㅣ 일본의 영향 ㅣ 청조의 개혁 노력 ㅣ 입헌주의와 지방자치 ㅣ 해결할 수 없는 체제의 문제들 ㅣ 공화혁명과 원세개의 독재
제3부 중화민국, 1912 - 1949년
제13장 중국적 시민사회의 모색
중국 자유주의의 한계 ㅣ 기독교 개혁주의의 한계 ㅣ 정치언론의 완만한 성장 ㅣ 학교의 발전 ㅣ 신문화운동 ㅣ 5.4 운동 ㅣ 중국 부르주아지의 성장 ㅣ 중국공산당의 기원
제14장 국민혁명과 남경정부
손문과 국공합작 ㅣ 장개석의 권력 장악 ㅣ 남경정부의 성격 ㅣ 체제의 약점
제15장 중국공산당의 재기
농촌사회의 문제 ㅣ 향촌건설 ㅣ 모택동의 흥기 ㅣ 장정, 134 - 1935년 ㅣ 주은래의 역할 ㅣ 제2차 국공합작
제16장 항일전쟁, 1937 - 1945년
국민당의 어려움 ㅣ 모택동에 의한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ㅣ 모택동사상 ㅣ 1942 - 1944년의 정풍운동 ㅣ 미국의 연합정부 지지
제17장 내전과 대만의 국민당
국민당은 왜 실패했는가 ㅣ 국민당의 공격과 중공의 반격 ㅣ 대만 : 일본의 식민지 ㅣ 중화민국으로서의 대만
제4부 중화인민공화국, 1949 - 1991년
제18장 정부와 농촌 통제의 확립
새로운 국가의 건립, 1949 - 1953년 ㅣ 농업의 집단화 ㅣ 집단농업의 실천 ㅣ 공업화의 개시 ㅣ 교육과 지식인 ㅣ 반우파투쟁, 1957 - 1958년
제19장 대약진운동, 1958 - 1960년
배경 ㅣ 1959 - 1960년의 대재앙 ㅣ 부흥 : 공업노동력의 통제 ㅣ 당 정풍운동과 교육 ㅣ 중소분쟁 ㅣ 사회운동으로서의 대약진운동
제20장 문화대혁명, 1966 - 1976년
기초적 사실 ㅣ 모택동의 목표와 수단 ㅣ 인민해방군의 역할 ㅣ 문혁의 전개과정 ㅣ 홍위병 ㅣ 탈권 ㅣ 외교 ㅣ 지방분권과 삼선건설 ㅣ 후계투쟁 ㅣ 문화혁명의 회고 ㅣ 여파
제21장 모택동 이후의 개혁기
경제개혁으로 고삐가 풀린 힘 ㅣ 제한된 정치개혁의 충격 ㅣ 유동적이고 분열되는 사회 ㅣ 문화적 다원성 ㅣ 추천도서목록
후기 / 초판의 후기 (결론) / 추천도서목록 / 편집자 후기 / 초판 역자 후기 / 수정 증보판 역자 후기 / 인명 색인
<표차례>
표1. 전통 중국의 주요 왕조 / 표2. 중국의 선사시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국민당의 전장에서의 무능력은 후방에서의 실정과 맞물려 있었다. 그것은 경제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 지폐가 늘어남에 따라 물가상승은 폭등세를 보였다. 일본으로부터 넘겨받은 중국의 연해도시에서는 그 자산을 산업적인 용도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것들은 부패한 관리들의 약탈대상이 되었다.
... 잘못된 경제운영 외에도 국민당 정부는 도시민들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고, 그 결과 중국 민중의 주요한 구성요소인 이들로부터 소외당했다.... 모두가 평화를 이야기하고 희망하는 시점에서 이렇게 중국인끼리 맞붙어 싸우게 하는 것은 아주 불리한 여론을 가져왔다. - 본문 399 ~ 400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