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7297023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책을 펴내며
1장 왜 코즈모폴리터니즘인가
1. 함께-살아감의 철학
2. 지구적 위기에 직면한 인류 공동체: “세계는 스스로를 파괴하고 있다 ”
3. 코즈모폴리턴 공동체: 위기를 함께 나누는 비영토적 공동체
2장 21세기, 코즈모폴리터니즘의 귀환
1. 타자에 대한 세 가지 윤리적 의미
2. 코즈모폴리터니즘을 둘러싼 오해와 이해
3. 코즈모폴리터니즘의 주제
4. 코즈모폴리터니즘: 이론과 실천
3장 코즈모폴리터니즘의 특성과 가치
1. 코즈모폴리턴 정체성
1 ) 정체성의 정치학: 긍정, 차이, 혼종성
2 ) 코즈모폴리턴 정체성: 세계시민이란 누구인가
2. 코즈모폴리터니즘에 대한 다양한 관점: 부정적 이해와 긍정적 이해
3. 코즈모폴리터니즘의 주요 특성
1 ) 거시적 상호의존성의 원리
2 ) 우주적 환대와 책임성의 원리
3 ) 초경계성의 원리
4 ) 초정체성의 정치학
4. 코즈모폴리터니즘의 주요 가치
4장 스토아주의 코즈모폴리터니즘
1. 코즈모폴리터니즘의 역사적 분기점
2. 스토아주의 코즈모폴리터니즘: 우주적 시민의식과 존재론적 평등성
3. 코즈모폴리턴 유토피아: 급진적인 존재론적 평등 세계에의 갈망
5장 칸트주의 코즈모폴리터니즘
1. 세계의 영구적 평화: ‘목적의 나라’를 향하여
2. 코즈모폴리턴 정의와 권리: 정치적 실천을 위한 도덕적 나침판
3. 칸트와 함께 칸트를 넘어서 사유하기
6장 코즈모폴리턴 정의와 정치
1. ‘동료인간’ 의식과 제노사이드
2. 코즈모폴리턴 정의와 정치: ‘인류에 대한 범죄’를 넘어서
7장 코즈모폴리턴 환대: 인간의 권리와 의무
1. 코즈모폴리턴 환대: 환대 의무와 방문 권리
2. 개인적 환대와 국가적 환대: 갈등과 딜레마
1 ) 조건적 환대와 무조건적 환대: 환대의 정치, 환대의 윤리
2 ) 상대적 환대와 절대적 환대
3. 코즈모폴리턴 환대의 구성: 연민과 얼굴
8장 코즈모폴리터니즘과 종교: 책임성으로서의 종교
1. 종교의 존재 의미: 책임성으로서의 종교
1 ) ‘그런 신’은 없다
2 ) 종교의 두 기능, 억압과 해방
3 ) ‘신제국’으로서의 종교 너머, 책임성의 종교로
2. 예수의 탈종교화: 코즈모폴리턴 시선
3. 예수의 코즈모폴리터니즘
1 ) 모든 사람을 이웃으로: 경계를 넘어선 연민과 사랑
2 ) 코즈모폴리턴 실천: 신을 사랑할 때, 무엇을 어떻게 사랑하는가
4. 바울의 코즈모폴리터니즘
1 ) 인간의 평등성과 동료시민의식
2 ) 바울과 함께 바울을 넘어서 사유하기
5. 기독교 코즈모폴리터니즘
9장 코즈모폴리턴 환대와 종교
1. 예수의 코즈모폴리턴 환대
1 ) 모든 존재의 긍정과 환영
2 ) 예수의 종교, 경계를 넘어서는 환대의 실천
3 ) 예수의 절대적 환대
2. 성서의 코즈모폴리턴 환대
3. 호스티피탈리티, 적대와 환대의 얽힘성
10장 코즈모폴리턴 타자 사랑과 종교
1. 종교적 사유의 전환
2. 타자 사랑: 나·타자·신 사랑의 분리불가성
1 ) 이웃의 범주
2 ) 사랑 행위의 복합적 의미
3 ) 자기 사랑: 타자 사랑의 전제조건
4 ) 다름의 사랑: 동질성의 사랑을 넘어서
3. 네이털리티, 타자 사랑의 전제조건
4. 코즈모폴리턴 이웃 사랑
11장 코즈모폴리터니즘과 함께-살아감의 종교
1. 유신론-무신론 너머의 종교
2. 종교, 생명의 부름에의 응답
3. 코즈모폴리턴 정의와 연민: 함께-살아감의 종교를 향하여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느 곳에 살든 이 세계 ‘모든 사람들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은 코즈모폴리터니즘과 같은 담론에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당위성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20세기 후반부에 들어 코즈모폴리터니즘 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했다. 정치적 이론으로서 코즈모폴리터니즘은, 국적이나 인종 등에 상관없이 인간이라는 사실만으로 우리가 타자에 대해 공통의 윤리적 의무들을 지닌다고 보는 사상이다.
코즈모폴리터니즘은 이러한 ‘동질성의 공동체’가 아닌 ‘다름의 공동체’를 지향한다. 이 다름의 공동체는 공동체 구성원들끼리 공유하는 동질성이 아니라 서로 다름을 포용한다. 동시에 공동체의 개개인이 인간으로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조건들을 요구할 권리를 지켜내고, 그 개개인들을 향한 책임을 수행하는 이들의 공동체다. 다름의 공동체와 달리, 동질성의 공동체는 ‘우리-그들’ 사이에 분명한 포용이나 배제의 선을 긋도록 전제됨으로써 배타성의 가능성을 언제나 담고 있다. 즉, ‘우리’끼리는 서로에 대해 배려하고 연대하고 책임을 나누지만, ‘우리’와 동질적 집단이 아닌 ‘그들’에 대해서는 이러한 연대와 책임을 나누는 대상으로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담론과 실천으로서의 환대는 이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들, 그리고 그러한 일들에 대한 여러 분석과 실천적 요청을 담고 있다. 흔히 환대를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로 생각하는 것과 달리, 환대의 문제는 불법 이주자, 미등록 이주 노동자, 난민, 망명자 또는 다문화주의 등의 문제들과 연결되어 있다. 더 나아가 현대 세계에서 환대의 문제는 지구화·국제화·국적·이민 등의 문제, 특히 타자를 ‘타자화’하는 정치적·종교적 도구로서 포용과 배제에 관한 공공 정책들과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