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72977308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5-03-1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 추천사
1장 그 많던 급진주의자는 어디로 갔나?
코카콜라가 지배하는 세상
저항에서 운동으로
기업화의 정치
안보를 빌미로 한 탄압
사유화
제도화
급진주의의 쇠락
2장 기업처럼 보기
대기업과의 동반자 관계
억대 갑부 · 유명 인사와 친구 되기
공정하고 맘씨 좋은 세계 경제
기업화된 운동
3장 안보를 빙자한 탄압
대중 시위에 대한 9 · 11 이후의 탄압
반체제 활동에 찬물 끼얹기: 9 · 11 이후 시민의 자유와 법
야만 사회의 형성
시민사회의 재구축
4장 사회적 삶의 사유화
반체제 활동의 하부구조
책임의 개인화
개인화된 운동이 낳는 곤란
5장 운동의 제도화
제도화의 과정
부자 비정부기구가 등장하다
세상을 구하는 것도 경력이다
비정부기구의 경영 문화
타협의 철학
제도적 생존
6장 기업화된 세계 질서
세계 혁명?
풀뿌리 권력?
기업 권력의 지원
옮긴이 말/ 주(註) /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운동가들이 특히 지난 10년간 세상을 바꾸기 위한 캠페인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기업과 소비주의, 그리고 자본주의의 커져 가는 영향력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고 생각한다.” -본문 24쪽
“많은 비정부기구 역시 ‘문제’를 브랜드화하여 시장에 내놓고 있다. 이 중에는 특히 서양의 소비자에게 접근하여 착한 소비로 ‘세상을 구할 수 있다’고 속삭이는 조직들이 있다. 이런 캠페인의 수익금은 수십억 달러에 달한다. 하지만 이 조직들은 깊이 있는 변화를 일으키기보다는 소비를 독려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하는 경향이 있다.” -본문 30~31쪽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일선 운동가들이 운동에 대한 적절한 금전적 보상을 바라는 것은 당연하다. 사회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월급과 임대료, 프로젝트 비용이 필요한 비영리조직의 지도자들은 당연하다는 듯 기업을 파트너로 여긴다. -본문 49쪽
“정치는 ‘급진적’이라는 단어에 다양한 의미를 덧씌운다. 국가와 기업은 운동가들을 비하하고 공격할 때 이 단어를 쓰는 경향이 있다. ( · · · ) 운동 집단들의 분석 능력에 회의적인 논평가들은 급진주의자들이 비이성적이거나 비실용적이라는 견해를 강화한다.” -본문 50쪽
“이제 기업화된 운동은 생산 효율성, 기업 투명성, 기술 진보를 조심스럽게 지향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사회적 갈등에 휘말려 삶의 조건이 파괴되고 있는, 가장 힘없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가해지는 자본주의의 ‘느린 폭력’에 자기도 모르게 힘을 보태는 일이기도 하다.” -본문 53쪽
“유명 인사를 앞세운 운동과 자본주의적 자선 활동은 장점이 많다. 하지만 이런 노력들은 비정부기구와 기업의 공조를 합리화하고, 이 세상 ‘수십억의 밑바닥 계층’은 빈곤과 고난의 수렁에 빠져 있는데도 자본주의가 양산하는 불평등과 자본주의적 생활양식을 정당화한다. -본문 75쪽
“비영리조직들은 대의의 마케팅을 통해 사회정의와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염원하는 사람들의 욕망을 건드림으로써 모금에서의 경쟁 우위를 얻으려 한다. 기업들이 자신의 브랜드를 알리는 데 1년에 수백만 달러를 쓰듯, 비영리조직들은 모금을 위해 결국 광고업자와 전문 마케팅업자가 되고 만다.” -본문 79쪽
“놀라운 것은 서유럽이나 북미 국가 등과 같이 민주주의와 시민의 자유의 역사를 보유한 국가들이 지난 10년간 안보를 빌미로 저항을 억압했다는 점일 것이다. 분명 이런 국가들은 국가 안보라는 미명하에 자국민들을 상대로 끔찍한 폭력을 자행하고 있다.” -본문 95쪽
“국가는 협력적인 시민 집단에게 세금 우대와 자금 지원이라는 당근을 주고, 비협조적인 집단은 국가 안보와 번영을 파괴하는 세력으로 취급한다. 이 때문에 운동이 얼어붙고 분열된다.” -본문 128쪽
“소비주의의 강화와 신분 상승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의 증가와 함께 이 같은 사회적 삶의 사유화는 시민들의 참여 방식을 뒤바꿔 놓았다. 노조 모임, 정치 집회, 대중 시위는 사회적 어울림과 오락의 장으로서 발산하던 매력을 잃었다. 사람들은 점점 시간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아냈다.” -본문 140~141쪽
“개인화 덕분에 사회적 · 생태적 위기의 책임은 기업과는 무관한 일이 되고 있다. 또한 개인화는 자본주의에 본질적으로 내재된 불안을 자신이 도덕적으로 부족하다는 개인적인 느낌으로 방향 전환시키고 있다. ( · · · ) 이는 결국 문제의 사회구조적 원인에 의문을 갖거나 이의를 제기하는 것을 막는다.” -본문 162~163쪽
“비정부기구의 구조는 갈수록 기업과 닮은꼴이 되어 간다. 비정부기구는 재정 확충 능력을 증대하기 위해 마케팅과 브랜드 관리에 나서고, 프로그램을 키워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고자 한다.” -본문 201쪽
“오늘날 많은 운동가들이 승자의 편으로 전향하고 있다는 사실까지 감출 수는 없다. 이런 추세는 유명 상표가 되어 버린 비정부기구의 운동가들이 주도하고 있지만, 많은 지역공동체운동가들 역시 기업 후원에 의지해서 퍼레이드와 축제의 재정을 마련한다. 동시에 갈수록 많은 일반 시민들도 공정하고 살 만한 세상을 위해 소비자운동가로서 혼자 쇼핑하는 것을 더 선호하고 있다.” -본문 234~235쪽
“지금의 성과는 운동 조직들이 전 지구적 자본주의를 변혁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순응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로 등장한 타협과 실용주의는 기업과 경제의 안녕을 가장 중시하는 세계 질서를 정당화하고 있다.” -본문 23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