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74114053
· 쪽수 : 664쪽
· 출판일 : 2014-12-15
책 소개
목차
서문
【해제】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 작품 해제
【번역문】
천군기서 (天君紀敍)
일사목록해 (逸史目錄解)
<천군기(天君紀)>
<사대기(四代紀)>
<옥황기(玉皇紀)>
<천군기(天君紀)> Ⅰ
<천군기(天君紀)> Ⅱ
<달천몽유록(㺚川夢遊綠)>
【원문】
天君紀敍
逸史目錄解
<天君紀>
<四代紀>
<玉皇紀>
<天君紀> Ⅰ
<天君紀> Ⅱ
<㺚川夢遊綠>
역자 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천군(天君)'이라는 말의 어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마음을 다스리는 일은 곧잘 국가를 다스리는 일과 유비 관계로 이해된다. 이에 자연스럽게 마음의 일탈과 회복은 국가의 혼란과 회복에 대응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봤을 때 <천군기>에서 성성옹과 주일옹이라는 인물로 상징되는 '경(敬)'의 문제는 비단 개인의 수양만이 아니라, 국가 경영 및 정치 철학에 그대로 이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군왕 역시 부단히 자신을 단련해야 하는 존재이며, 그 군왕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신하들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이다. 이렇듯 중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작품의 의미를 읽어내는 것은 <천군기>를 감상하는 또 다른 묘미이다. <사대기>는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의 변화를 왕조의 흥망성쇠에 빗대어 가상의 역사서로 꾸민 작품이다. <사대기>의 내용은 봄을 우의한 원(元)나라의 역사로부터 시작되어, 여름을 뜻하는 하(夏)나라, 가을을 의미하는 상(商)나라, 겨울을 빗댄 연(燕)나라의 역사로 끝이 난다. 모두 4개의 나라 13명의 황제를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