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74180416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1-08-25
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5
초판 서문 11
제1부 도덕교육 방법론과 도덕과 교육과정
1장_ 도덕교육 이론의 최근 동향과 방법론 23
Ⅰ. 도덕교과의 현실과 도덕교육 이론 23
Ⅱ. 도덕교육 이론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의 방법 26
Ⅲ. 우리의 도덕수업과 동양 도덕교육론의 재해석 문제 41
2장_ 도덕교육 방법론과 우리의 도덕수업 45
Ⅰ. 도덕교육학과 윤리학, 도덕교육 방법론 45
Ⅱ. 도덕교육 방법론의 세 영역 47
Ⅲ. 전통 도덕교육 방법론의 새로운 부각 50
Ⅳ. 도덕수업을 시작하기 위한 윤리학적 질문들 53
Ⅴ. 우리 도덕수업의 현실과 도덕교사 60
Ⅵ. 도덕수업에 대한 편견과 올바른 인식 63
3장_ 도덕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69
Ⅰ. 도덕과 교육과정의 의미 69
Ⅱ. 국가 수준 도덕과 교육과정의 역사와 현실 72
Ⅲ. 도덕과 교육의 미래와 도덕과 교육과정의 지향점 89
제2부 도덕과 수업계획과 학습지도안, 평가
4장_ 도덕과 수업계획 95
Ⅰ. 도덕과 수업의 어려움 98
Ⅱ. 도덕과 수업을 잘하기 위한 몇 가지 원리 101
Ⅲ. 도덕수업의 설계 113
5장_ 도덕과 학습지도안 작성 209
Ⅰ. 학습지도안 양식 210
Ⅱ. 도덕과 학습지도안 진단을 위한 체크리스트 214
Ⅲ. 학습지도안 예시 216
6장_ 도덕과 평가 219
Ⅰ. 평가의 개념?기능?유형 220
Ⅱ. 도덕과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23
Ⅲ. 도덕과에서의 수행평가 229
제3부 도덕교육의 교과내용학적 접근과 과제
7장_ 정보윤리학과 도덕교육 263
Ⅰ. 정보의 개념 265
Ⅱ. 정보사회의 개념 269
Ⅲ. 정보기술의 유혹 273
Ⅳ. 컴퓨터 사회의 윤리적 문제 276
Ⅴ. 정보윤리학의 정체성 294
Ⅵ. 정보윤리관 확립을 위한 도덕교육 방안 301
8장_ 환경윤리와 불교윤리, 도덕교육 303
Ⅰ. 환경위기와 환경윤리 303
Ⅱ. 서구중심적 환경윤리 논의의 의미와 한계 306
Ⅲ. 주체적 대안 모색과 불교윤리적 접근가능성 312
Ⅳ. 환경윤리 텍스트로서의 『중론(中論)』에 대한 해석과 현대적 적용 318
Ⅴ.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도덕교육의 새로운 방향 324
9장_ 민주시민교육과 도덕교육 329
Ⅰ. 민주시민과 민주시민교육 329
Ⅱ. 민주시민교육의 의의 333
Ⅲ. 민주시민교육의 기본적 정향 344
Ⅳ.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350
Ⅴ. 민주시민교육의 방법 365
Ⅵ. 민주시민교육의 전망과 과제 370
10장_ 통일교육과 도덕교육 377
Ⅰ. 통일교육의 개념과 영역 377
Ⅱ. 통일교육의 이념과 방향성 381
Ⅲ. 통일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392
Ⅳ.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407
Ⅴ. 외국의 통일교육과 시사점 418
Ⅵ. 통일교육의 수업모형과 교수-학습지도 과정 유형 429
Ⅶ. 맺는 말 437
참고문헌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