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 전망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 전망

케네스 퀴노네스, 윤영인, 이동수, 김태효, 로웰 디트머, 이현휘, 요시다 쿠니히코, 계승범, 김영수, 주펑 (지은이)
인간사랑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830원
26,7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 전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갈등의 역사와 미래 전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아시아
· ISBN : 9788974183684
· 쪽수 : 413쪽
· 출판일 : 2017-08-20

책 소개

오늘날 동아시아와 한반도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역사 속에서 그 근원을 찾아 교훈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조금이나마 전망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획된 책이다. 1부 '역사적 전통과 유산', 2부 '새로운 양상과 전망'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서문 7

1부 역사적 전통과 유산 11

1장 동아시아 공동체의 역사와 미래: 중화주의와 아시아주의를 넘어서
(이동수) 13
2장 동아시아 다원적 국제질서와 정복왕조의 대고려 정책 (윤영인) 52
3장 임진왜란 중 조명관계의 실상과 조공책봉관계의 본질 (계승범) 87
4장 대동아공영권 이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의 비판을 중심으로 (김영수) 122
5장 중국혁명이 동아시아에 미치는 영향 (로웰 디트머) 160

2부 새로운 양상과 전망 201

6장 동아시아에서 배상과 화해 문제: 21세기 미해결 과제
(요시다 쿠니히코) 203
7장 중국의 부흥과 동아시아에서의 지역 안보에 미치는 영향 (주펑) 275
8장 21세기 동북아 국제정치에서 지역주의와 민족주의의 충돌
(케네스 퀴노네스) 302
9장 미국 대외정책의 관습과 21세기 미중관계의 전망 (이현휘) 327
10장 동북아시아 안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당면 과제 (김태효) 382

저자소개

케네스 퀴노네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교수(미국 코네티컷 트리니티 대학 역사학) 출신의 전 미 국무부 고위관리로 미국내 대표적인 한반도 전문가. 1964년 주한 미군으로 근무하는 등 한국과 인연이 많은 그는 국무부 근무시절인 1992년, 북한담당관, 실종 미군 및 핵연료팀 분석가로서 평양, 영변 등 북한지역을 13차례 방문하는 등 특히 북한문제에 밝다. 하버드대에서 '동아시아 언어 및 역사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대학 강단에 섰던 그는 '좀더 실질적인 일'을 하기 위해 1980년 국무부에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5공화국 시절 부산 미국 영사관 영사와 주한미군대사관 정무담당관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제구호단체인 머시고(Mercy Corps)에서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 구호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다.
펼치기
윤영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위태로운 변경』 (동북아역사재단, 2009, 역서), 「13세기 금 멸망 이후 몽골-남송 관계의 추이」(『동양문화연구』 제34집, 2021), 「서구학계의 10~14세기 “정복왕조사” 연구」(『만주연구』 제30집, 2020), “Manchuria and Korea in East Asian History”(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 21, No. 1, 2016), 「10-13세기 동북아시아 多元的 國際秩序에서의 冊封과 盟約」(『東洋史學硏究』 第101輯, 2007) 등
펼치기
이동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밴더빌트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위원, 대통령실 정책자문위원,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장과 교무처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시민은 누구인가』(편저),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공저), Political Phenomenology(공저), “고대 그리스 비극에 나타난 민주주의 정신: ‘아테네’의 메타포를 중심으로”, “네덜란드공화국 건국기의 ‘통합의 정치’: 종교, 정치, 경제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태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필자는 2005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아시아연구소 부소장과 계간학술지 <신아세아(New Asia)>의 편집인이기도 하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2000-2001), 외교부 외교안보연 구원(현 국립외교원) 조교수(2002-2005), 대통령 대외전략비 서관(2008-2011), 대통령 대외전략기획관(2012), 성균관대 국가전략대학원 원장(2015)을 역임했다. 필자의 연구 화두는 국제정치이론이 어떻게 외교정책에 투영되고, 정책 현장이 다시 이론의 진화를 어떻게 자극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70여 편의 학술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고, ??현대외교정책론??을 공동 집필했다.
펼치기
김태효의 다른 책 >
로웰 디트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시카고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UC Berkeley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Asian Survey의 편집장을 역임하였다. 관심분야는 중국문제와 아시아 정치 등이다.
펼치기
이현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동교 정치외교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제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있다. 주요 역서 및 논문으로 <이데올로기와 미국 외교>(공역), <파멸의 묵시록: 과학적 패러다임과 일상의 사유양식>, “주권과 국가이성: 유럽 종교전쟁 100여년의 나락에서 국제정치적 평화를 창출한 지적 혁신,” “소명으로서의 전쟁: 미국 대외정책 정신과 신의 눈물,” “전쟁과 평화: 미국 전쟁 수행 방식의 ‘반정치적’ 성향을 사례로,” “미국 대외정책의 관습과 21세기 미중관계의 전망,” “북한 레짐 체인지? 칸트의 영구평화론, 윌슨주의, 그리고 국제정치적 파국,” “화이트헤드와 근대 세계관의 철학적 성찰” 등이 있다.
펼치기
요시다 쿠니히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홋카이도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스탠포드대, 하버드대, 마이애미대의 방문연구자 및 방문교수를 역임하였다. 관심분야는 주거복지 및 배상문제 등이다.
펼치기
계승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워싱턴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시애틀대학교 UCLA에서 한국사와 동아시아사를 가르쳤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벌거벗은 한국사> ‘사도 세자’ 편에 출연했습니다.
펼치기
김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1997년 서울대학교에서 「고려말과 조선조 건국기의 정치적 위기와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통령실 연설기록비서관,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영남대학교 정치행정대학 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 『건국의 정치: 여말선초, 혁명과 문명전환』(이학사, 2006)은 한국정치학회 학술상(2006), 제32회 월봉저작상(2007)을 수상했다. 공저로는 『정치학의 대상과 방법』(박영사, 2005), 『한국정치사상』(박영사, 2010), 『세종리더십 이야기』(한국학중앙연구원, 2010)가 있고, 논문은 「조선 공론 정치의 이상과 현실: 당쟁발생기 율곡 이이의 공론정치론을 중심으로」(2005, 2019), 「한일회담과 독도영유권」 (2008, 2010), 「일본 주자학 도입기 유학자의 문제의식: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의 사상을 중심으로」(2014), 「효행록에 나타난 효의 윤리관과 보응론」(2015), 「세종대 의 문화정체성 논쟁: 훈민정음 창제를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2016), 「조선조 김시습론과 절의론」(2020) 등이 있다. KBS 드라마 <정도전>(2014 방영), <태종 이방원>(2021-2022 방영)의 자문교수이다.
펼치기
주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중국 장쑤성 쑤저우에서 출생하였고, 1981년 베이징대학 국제관계학원에 입학하여, 1991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뉴질랜드 빅토리아대학교, 영국 더햄대학교, 미국 하버드대학교,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미국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등 유명 국제학술기관에서 방문학자를 역임하였다. 현재 난징대학 중국남해연구협동혁신센터 집행원장, 베이징대학 국제전략연구원 부원장, 중국평화발전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을 맡고 있다. 저자는 중국의 대표적인 국제안보학자로서, 오랜기간 동아시아지역안보와 중미관계 그리고 동아시아해양안보에 대해 연구하였고, 최근 저서로는 《China’s Ascent: Power, Security and the Fu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중국굴기: 이론과 정책적 시각(中國?起: 理論與政策的視角)》, 《중일안보교류, 방위협력의 역사, 현상과 전망(中日安保交流、防衛合作的曆史、現狀和展望)》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