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7474422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5-05-18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는 말 / 재앙에서 평화로 가는 민족의 예지
제1부 강대국들의 민족주의 동향
제1장 민족주의 전쟁은 시작됐는가
1. 팍스아메리카는 어느 단계인가
2. 테러와의 전쟁은 무엇인가
제2장 미국 민족주의
1. 미국 민족주의의 형성과 전개
2. 미국 민족주의의 동향
제3장 일본 민족주의
1. 일본 민주주의의 형성
2. 일본 민족주의의 전개
3. 일본 민족주의의 동향
제4장 중국 민족주의
1. 중국 민족주의의 형성과 내용
2. 중국 민족주의의 동향
제5장 러시아 민족주의
1. 러시아 민족주의의 형성과 내용
2. 러시아 민족주의의 동향
제2부 평화민족주의
제1장 민족주의의 전개와 신냉전
1. 민족주의의 각축과 대립구도
2. 신냉전 속의 한반도
제2장 핵 확산금지 체제와 북한 핵 문제
1. 냉전체제와 핵 확산
2. 핵 확산금지 체제와 핵의 정치화
3. 북한 핵 문제와 한번도 위기의 배경
제3장 한반도 평화의 위기
1. 생존의 위기
2. 한민족정체성의 위기
제4장 평화민족주의의 개념과 내용
1. 왜 민족주의인가
2. 평화민족주의의 구성 개념
3. 평화민족주의의 내용과 지향
제5장 평화민족주의의 과제
1. 한민족 평화의 의미
2. 한민족 평화체제
3. 동북아 평화제제와 평화공영
저자소개
책속에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는 미국의 국가.자본.시민의 이익을 전 지구적 차원에서 도모하려는 의도적 산물로, 이에 따른 세계적 획일화와 문화제국주의의 침투가 벌어졌다. 미국화로 상징되는 다국적 자본의 전 세계적 독점화로 보편적 단일 문화가 강요되었고, 약소국가의 능력, 형태 자율성, 궁극적으로는 그 권위 및 정당성이 위기에 놓이고 말았다.
세계화의 도도한 흐름 속에서 민족국가, 영토국가의 중요성이 감소됨에 따라 국경 소멸론, 민족주의 폐기론까지 등장한다. - 본문 21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