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석굴암, 법정에 서다

석굴암, 법정에 서다

(신화와 환상에 가려진 석굴암의 맨얼굴을 찾아서)

성낙주 (지은이)
불광출판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석굴암, 법정에 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석굴암, 법정에 서다 (신화와 환상에 가려진 석굴암의 맨얼굴을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8897479062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4-06-24

책 소개

기존 학계의 ‘석굴암론’에 이의를 제기했던『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의 저자 성낙주가 1960년대 석굴암 복원공사 이후 50여 년 동안 이어진 ‘석굴암 원형논쟁’을 총망라한 『석굴암, 법정에 서다』를 내놓았다.

목차

헌사
심는 글 석굴암과 식민사관, 그리고 진실

제1부 햇살 신화

1 동해의 아침 햇살
2 달을 품어 안은 산
3 햇살 신화의 탄생
4 기억의 집단화
5 인도 부다가야대탑의 주불
6 햇살 신화의 사생아, 광창
7 석굴암 건축의 꽃, 홍예석
8 석굴암은 석굴사원이다

제2부 석굴암의 20세기

1 구한말의 석굴암
2 총독부의 개축공사
3 총독부 공사의 명암
4 박제된 고대유적
5 문화재관리국의 복원공사
6 원형논쟁의 점화
7 원형과 개방구조
8 원형논쟁과 학문윤리
9 오독의 예들
10 철거지상주의
11 희생양 메커니즘

제3부 석굴암, 역사의 법정에 서다

1 과학이 과학을 배반하다
2 물 위에는 집을 짓지 않는다
3 종교성전의 절대조건-전각의 당위성
4 곡해된 자료들
5 전각 실재의 증거들
6 절곡형의 실체
7 전개형의 정당성
8 전실 테라스설과 불상 위치 변경설
9 돔 지붕의 상부 및 외곽 구조
10 국외자와 사용자

거두는 글 ‘미의 천체도’ 앞에서

사진 출처


저자소개

성낙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설가. 석굴암미학연구소장. 동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 온곡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 쳤다. 석굴암을 소재로 한 소설을 구상하던 중 기존 학계의 석굴암 인식에 의문을 품고 석굴암을 연구한 지 20여 년이되었다. ‘석굴암학’의 백가쟁명을 꿈꾸며 기존 학계의 편견과 오류를 지적해온 저자는 지난 2009년 석굴암의 근대사 100년을 돌아보는 사진전 <석굴암 백년의 빛>(불교중앙박물관)을 개최하고, 2010년에는 포항 MBC와 함께 다큐멘터리 <경술국치 백년, 석굴암 백년의 진실>을 제작하는 등 석굴암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그중에서도 1999년에 출간된 『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은 석굴암의 창건 동기와 주체, 석굴암의 국제성, 석굴암의 미학적 성취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이 인정되어 간행물윤리위원회와 출판인협회 등에서 우수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비평「문화전사 유홍준의 미덕과 해악」(1997), 「석굴암을위한 변명」(1998)을 비롯하여, 「20세기 초 사진 텍스트 분석을 통한 석굴암 건축구조 해석」(2006),「에밀레종 전설 연구사 비판」(2006), 「‘신라종’ 양식의 기호학적 해석」(2007)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지은 책으로는 장편소설 『왕은 없다』(1997),『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에밀레종의 비밀-소리로 세상을 다스려라』(2008) 등이 있다. 2020년 11월 5일 별세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처럼 석굴암과 동해의 아침 햇살 이야기가 확산된 데에는 누구보다 우리 연구자들의 기여가 컸다. 많은 이들이 석굴암의 전실은 원래 지붕과 출입문이 없는 노천 구조이며, 또한 주실 돔 지붕 전면에는 광창이 뚫려 있었다고 말하며, 이 모두가 동해의 아침 햇살을 석굴 안으로 받아들이려는 신라인의 의도된 설계였음을 강조해온 것이다.
그들이 이러한 주장을 펴는 데에는 나름의 근거가 있다.
하나는 석굴암이 동짓날의 일출 지점을 향해 앉아 있다는 점이다. 예전에는 동짓날이 설날이었으므로, 새해가 시작되는 설날의 일출 방향에 맞춰 석실법당을 앉힌 것은 그 햇빛을 받아들이려는 의도가 분명하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그 옛날 실존 붓다가 인도 부다가야의 보리수 아래서 새벽녘에 동쪽으로 앉아 진리를 깨우친 일이다. 신라인은 붓다가 정각精覺을 이룬 그 순간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 본존불이 아침 태양을 맞이하게끔 동쪽을 바라보게 했다는 것이다._18~19쪽

하지만 우리 연구자들은 석굴암을 석굴사원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석굴암이 그 옛날 그리스나 로마에서 유행한 대리석 신전과 비슷한 일반 건축물이라는 것이다.
남천우는 자신의 석굴암 연구를 종합정리한 단행본 『석불사』(1991)에다 ‘토함산의 중각석굴重閣石窟’이라는 부제를 붙인다. 이 부제만 놓고 보면 마치 우리의 전통 목조전각이 이중으로 덮여 있는 석굴사원의 뜻으로 받아들일 소지가 다분하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내용은 그런 뜻이 아니다. 한마디로 ‘석굴암은 석굴사원이 아니다’라는 뜻이다._94~95쪽

그런데 과학 전공자들만 그의 주장을 지지하는 게 아니다. 미술사학계 일각에서도 중각석굴을 석굴암의 원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유홍준은 일단 석굴암이 석굴사원이라는 사실만큼은 명백히 하지만, 뒤에 가서는 남천우의 중각석굴설에 대해 “석굴 본당의 10개 감실은 외벽과 맞붙어 있는 것이 아니라 뒤로 더 물러나 아래쪽에서 공기가 숨 쉬도록 되어 있었다는 주장을 폈다.”라고 긍정적으로 소개한다. 이 땅의 대표적인 미술사 전공자가 석굴암이 석굴이 아니라는 허망한 주장에 동조한 것이다._100쪽

석굴암은 기본적으로 종교성전이다. 아울러 붓다의 성상聖像을 봉안한 점에서는 신성공간이요, 승려와 신자들이 일상 활동을 한다는 점에서는 생활공간이며, 아름다운 조각품들이 모여 있다는 점에서는 예술공간이다. 다각적인 기능이 요구되고, 복합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특수 건축물이 곧 석굴암이다.
그러나 20세기 초 석굴암은 조선왕조의 멸망과 더불어 외세의 전리품으로 전락한다. 그리고 최고 통치기관인 조선총독부의 석굴암 정책은 조선 병탄의 기념비라는 인식 틀 안에서 기획되고 수행된다._117쪽

1960년대 공사는 잘못된 것을 바로잡은 광정匡正의 대기록이었다. 석굴암이 일제의 전리품에서 겨레의 보물로 거듭난 점에서 식민 청산의 성공적인 모델로 꼽을 만했다.
무엇보다 전각 신축으로 보존상의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한 것은 당시 공사의 가장 큰 성과였다. 아울러 종교성전의 정체성이 확보되고 법당 내의 경건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 점도 의미가 컸다. 이전에는 안팎의 구분이 없어 어디서부터 법당 내부인지 혼란스러웠다면, 전각의 출입문이 경계선이 되어 신성공간이 발생한 것이다._169쪽

“석굴암의 원형은 개방구조이다”라는 명제는 원형논쟁에서 가장 중요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전각의 존폐 문제, 금시조와 아수라 두 신중상의 배치 문제 같은 핵심쟁점들이 그것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 광창이 있었다거나 법당이 샘물 위에 지어졌다는 등의 가설들 역시 원형에 대한 해석 차이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성립할 수 없는 명제이다. 원형의 기준 자체가 잘못 설정되었을 뿐 아니라 정상적인 건축물로 개방구조인 것은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_177쪽

사실 원형이라는 용어 개념은 그리 간단치 않다. 원론적인 관점에서 공간예술의 원형原形, Archetype이란 예술가의 내면에 최초로 떠오른 특정한 심상心象을 가리킨다. 그것이 돌이든 나무든, 매질媒質을 통해 3차원의 공간에 한 덩어리의 구조물로 우리 눈앞에 존재할 뿐이다. 그러므로 20세기 초의 석굴암을 원형이라고 말하는 것은 도괴 직전의 그 상태가 신라 예술가의 내면에 탄생한 최초의 심미적 구조물이라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파손된 부위를 수리하거나 보정한 것조차 원형 파괴라는 극단적인 입장으로 나아간다._178~179쪽

우리 연구자들은 ‘개방구조’와 ‘밀폐구조’라는 신조어를 가지고 전각 철거를 정당시했다. ‘개방구조’였던 석굴암에 전각을 덮어 ‘밀폐구조’로 바뀌면서 모든 문제가 발생한다는 식이다. 그러므로 전각을 들어내 도로 ‘개방구조’로 회귀하면 결로 등의 부작용이 저절로 해결된다는 게 그들 모두의 공통된 생각이다._182쪽

그들은 총독부 공사가 잘되었다는 말은 하지 않는다. 일제 때로 돌아가자는 말도 하지 않는다. 단지 구한말의 ‘원형’으로 돌아가자고 말할 뿐이다. 전각을 철거하라는 것도, 두 신중상을 꺾어 세우라는 것도 구한말의 원형이 그랬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말대로 전각을 철거하고 두 상을 꺾어놓으면, 그것이야말로 일제 때의 석굴암이다. 결과적으로 총독부의 전리품으로 회귀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저들의 전리품으로 전락해 있던 일제 때의 석굴암을 칭송하는 반역사의 길목에 서 있다._195쪽

대표적인 것으로 ‘석굴암 위기론’이 있다. 잊을 만하면 결로가 심해지고 균열이 진행된다는 식의 보도가 나왔는데, 지금까지 나온 기사대로라면 석굴암은 진작 붕괴되었을 것이다. 지난해(2013) 11월에도 본존불의 좌대가 위험하다는 보도가 몇몇 언론을 탔다. 또 한 번 불신과 우려가 일어났는데, 그러나 그때 지적된 균열 부위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전부터 인지하고 있던 것이다. 지금의 상태가 100퍼센트 완벽하고 만족스럽다는 것이 아니라 공명심에 들뜬 학자들에 휘둘려 실체 이상으로 부풀려지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_241쪽

이른바 ‘샘물 위 축조설’이야말로 과학 연구의 가설에서 일반화?보편화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생생한 예라 할 수 있다. ‘샘물 위 축조설’은 석굴 뒤편에서 솟는 샘물의 냉기를 이용해 바닥을 식히면 굴 내에 있는 공기 중의 수분이 아래로 가라앉아 이슬이 바닥 표면에만 맺히고 주벽 등에는 맺히지 않는다는 논리이다._254쪽

샘물 위 축조설은 겉으로는 꽤나 과학적인 시각처럼 보이지만 허술하기 짝이 없는 반과학적인 신비주의적 발상에 지나지 않는다. 자연 원리의 응용을 말하고, 신라인의 지혜를 찬탄하고는 있지만, 샘물 위에 집을 짓는 것이야말로 자연 원리에 위배되는, 어리석음 이상의 어리석음이다.
법당 밑으로는 수로를 뚫어놓을 수도 없으며, 뚫어놓아서도 안 된다. 만의 하나 물길 위에 자리한다면, 이 점 때문에라도 석실법당의 수명이 단축되리라는 것은 정해진 이치이다. 습할 때 건축 부재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은 경험적 진리가 아니던가._265~266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