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문학
· ISBN : 9788974795580
· 쪽수 : 271쪽
· 출판일 : 2009-04-16
책 소개
목차
절 안의 깨달음
순창 만일사의 고추장
의성 고운사의 가운루
논산 관촉사의 미륵
제천 덕주사의 능엄주
문경 김용사의 해우소
공주 신원사의 중악단
영월 법흥사의 만다라
공주 갑사의 불족적
상주 남장사의 이백
안동 연미사의 제비원
곡성 태안사의 능파각
부안 개암사의 우금바위
양평 사나사의 부도
남원 실상사의 석장승
예천 용문사의 윤장대
서울 수국사의 황금사원
절이 안은 생명
공주 영평사의 구절초
강진 백련사의 동백
고령 반룡사의 대나무
남양주 묘적사의 연못
함양 벽송사의 미인송
천안 광덕사의 호두나무
춘천 청평사의 고려정원
진주 응석사의 무환자나무
함안 장춘사의 불두화
절에 잠든 역사
서울 호압사의 호랑이
안성 칠장사의 임꺽정
김해 모은암의 가야
경주 골굴사의 원효
제주 서관음사의 ‘4.3’
의정부 망월사의 위안스카이
괴산 공림사의 송시열
익산 숭림사의 달마
절 바깥의 풍경
서산 부석사의 기러기
밀양 표충사의 산들늪
서귀포 봉림사의 하논
대구 부인사의 포도밭
영주 희방사의 기차역
울산 동축사의 관일대
양산 용화사의 낙동강
남원 선국사의 교룡산성
광주 무각사의 극락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불교는 무아(無我)라는 강력한 교리를 지녔지만 인간의 칠정(七情)에 인색하지 않았고 윤회에 대한 사사로운 기대에 숨통을 틔워줬다. 내세는 삶의 연장이고 인생역전을 기약할 수 있는 마지막 마지노선이다. 행복해지고 싶다는 동물적 본능을 배반하면 어떤 종교와 이념, 인문도 살아남기 어렵다. 부처님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게 원칙이다. 그러나 세상의 눈으로 부처님을 봐야 할 경우도 있다. 그래야만 중생을 부처님 눈 닿는 곳에라도 붙들어 놓을 수 있으니.
「공주 신원사 중악단」 중
시간이 지나면 썩고 무너지고 악취를 풍기는 것이 육체성의 본질이다. 인간의 연약한 피부를 고려하면 몸은 그 자체로도 위태롭다. 인류는 이러한 육체성을 극복하기 위해 맨발에 신발을 신었고 마차를 탔으며 자동차를 발명했다. 맨얼굴에 화장을 하고 맨몸에 최신 유행의 옷을 걸치는 행위도 비슷한 속셈의 소치다. 색(色)에 대한 욕망의 바닥에는 비루하고 허술한 육체성으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는 욕구가 자리한다. 가장 성스러운 만큼 가장 더러웠으리라 짐작되는 부처님의 발은 그렇게 가리고 꾸민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님을 넌지시 일러준 건 아닐는지. 그러니 발 냄새만한 수행의 향기가 어디 있겠는가.
「공주 갑사의 불족적」 중
선지식들은 세상의 욕망과 정반대의 길을 걸었다. 잘나고 멋진 것을 혐오하고 못나고 추한 것에 귀 기울였다. 그것만이 궁극적인 평화를 보장하기 때문이다. 잘나고 멋진 것을 구하려면 돈이 필요하고, 돈을 얻으려면 반드시 남과 싸워야 하기 마련이다. 더우면 더운 대로 추우면 추운 대로 ‘그냥’ 산다는 건 얼마나 힘겨운 일인가. 장춘엔 장고(長考)가 필요하다.
「함안 장춘사의 불두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