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88975996825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8-08-31
책 소개
목차
01 공학윤리란? …19
1. 윤리의 사전적 정의 …19
2. 공학윤리 (Engineering Ethics) 의 목적과 필요성 …21
3. 전문직 윤리란? …32
4. 엔지니어들의 책임 및 책임의 유형들 …35
5. 공학윤리의 윤리적 판단과 전략들 …41
6. 엔지니어들의 사회적 책임이란? …43
7. 공학윤리의 실천적 방향 …48
02 규범 윤리의 체계들 ― 공리주의와 의무론 …55
1. 공리주의 (Utilitarianism) …57
2. 의무론 (Deontology) …69
03 공학적 문제에 대한 도덕적 해결을 위한 원리들 …81
1. 문제 분석하기 …82
2. 일반적인 도덕감과 도덕적 정당화 …88
3. 선 긋기 (Line-Drawing) 기법 …94
4. 충돌하는 가치를 해결할 다른 대안은 무엇인가 …100
5. 공리주의적 접근법 …101
6.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한 접근법 …111
04 엔지니어의 공학연구윤리 …123
1. 엔지니어의 실험·연구윤리 …123
2. 엔지니어의 연구수행 원칙 …125
3. 연구 부정행위 …129
4. 공학윤리강령의 필요성과 제정원칙 …135
5. 대표적인 공학윤리강령과 그 특징 …138
05 공학적 사고와 엔지니어들의 책임 …149
1. 공학적 사고의 유형과 엔지니어들의 책임 …150
2. 엔지니어에게 발생하는 공학적 사고들과 그 예방 …156
3. 공학적 사고에 대한 구체적 접근 …160
4. 위험에 대한 엔지니어들의 책임 …168
06 고용주와 엔지니어의 관계 …189
1. 고용주와 엔지니어 사이의 관점 차이와 그 원인 …190
2. 선긋기 기법으로 본 PED와 PMD의 차이 …191
3. 무비판적 충성과 비판적 충성 …197
4. 엔지니어의 책임있는 조직적 불복종 …199
5. 엔지니어가 가져야 할 사회적 책임 …201
07 공직윤리 …209
1. 공직 및 공직자 윤리 개념 …210
2. 공직사회의 부패문제 …226
08 엔지니어와 환경윤리 …243
1. 지구환경의 심각성 …243
2. 환경윤리와 엔지니어 그리고 환경정책의 가치중립성 …246
3. 엔지니어와 지속가능한 환경정책의 방향 …260
4. 기후변화와 환경정책 …275
5. 지속가능한 환경윤리와 환경정책 …281
09 사이버윤리 …291
1. 사이버윤리 (cyberethics) 의 의미와 필요성 …291
2.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의 특징 …293
3. 사이버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익명성 문제 …294
4. 사이버윤리의 방법론 …296
5. 파놉티콘과 사이버공간 …307
6. 네티켓 …310
10 로봇윤리… 321
1. 로봇윤리의 목적과 필요성 …321
2. 의무론 : 선의지와 정언명령 …323
3. 공리주의 : 공리성, 최대 행복과 질적 행복 …326
4. 덕 윤리 …329
5. 책임윤리 …331
6. 정서주의 …334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학은 학문의 특성상 순수과학과는 다르게 정치?경제?사회?문화?예술 등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점에서 공학윤리는 엔지니어가 전문가로서 자신의 행위를 다스리는 도덕 규칙과 기준을 고찰하는 학문이다. 즉 공학윤리는 개인이 아닌 집단으로서 어떠한 도덕적 원리를 필요로 하는 엔지니어 행동에 관한 판단이나 결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공학은 전문자격을 갖춘 엔지니어의 활동, 기초가 되는 지식, 그리고 그 산물이 되는 인공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학윤리는 첫째, 엔지니어가 전문가라는 의식에서 시작하며, 둘째, 엔지니어의 행위에 대한 판단이나 결정을 다루며, 셋째, 엔지니어가 도덕적, 윤리적 자율성 하에 그 행위결과를 예측하고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사항들이 충족되었을 때, 올바른 예방윤리를 정립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