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7668273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3-03-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서 론
1.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의 목적 27
2.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연구사 검토 29
3. 조선시대 능묘 비석 연구의 범위와 방법 32
제1장 능묘 비석의 분류와 명칭 37
1. 능묘 비석의 분류 39
2. 능묘 비석의 세부 명칭 41
제2장 중국과 한국의 능묘 비석 69
1. 중국 능묘 비석의 출현 71
2. 수(隋)·당(唐)·송(宋)의 능묘 비석 77
3. 명(明)·청(淸)의 능묘 비석 82
4. 삼국과 통일신라의 능묘 비석 92
5. 고려의 불교 비석과 능묘 비석 99
제3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건립 배경 107
1. 15세기 왕릉 신도비 건립과 추이 109
2. 16세기 사대부 묘비와 『주자가례』 113
3. 신도비를 건립하지 말라는 유언-‘물용비석(勿用碑石)’ 117
4. 대명의리론과 사대부 묘비의 숭정연호(崇禎年號) 사용 120
5. 효종대 이후 왕릉 표석의 건립 124
제4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제작 과정 129
1. 비석용 석재의 산지(産地) 131
2. 비석용 석재의 구득(求得) 148
3. 비문의 찬술(撰述)과 서사(書寫) 153
4. 비문의 각자(刻字)와 각수(刻手) 175
5. 비석의 석장(石匠) 187
제5장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시기별 특징 195
1. 15세기–능묘 비석의 건립 보편화 199
2. 16세기–능묘 비석의 확산과 다양화 209
3. 17세기–능묘 비석의 지역 특성 발현 217
4. 18세기–이수귀부의 제작 감소와 개석방부의 제작 증가 226
5. 19세기–능묘 비석의 형식화 244
결 론 동아시아 비석 문화 속 조선 능묘 비석의 가치 247
1. 석장 집단과 석재상(石材商)의 등장 249
2. 18·19세기 집자비 제작의 증가 252
3. 조선시대 고유의 능묘 비석 양식 창안 256
4.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문화사적 의의 261
부 록 조선시대 능묘 비석 일람 267
1. 이수(螭首) 269
2. 운수(雲首) 281
3. 하엽수(荷葉首) 286
4. 개석(蓋石) 288
5. 용뉴형개석(龍鈕形蓋石)과 반룡형개석(盤龍形蓋石) 297
6. 방부(方趺) 299
7. 귀부(龜趺) 306
주 313
참고문헌 343
찾아보기 355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서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전체 묘비 중 서울과 경기에 건립된 주요 묘비들을 현장조사하고, 그 외 지역들은 지역 특색이 강한 작품, 서울·경기와 양식적으로 연결된 작품을 중심으로 조사 및 연구를 진행했다.
제1장에서는 능묘 비석의 의미, 형태 분류를 시도했다.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신도비, 묘갈, 묘표 등 분류를 정리하고, 개석과 비좌의 형태를 구분했다. 이 비석 형태들의 기원과 의미를 분석해 의미를 재고하고 일부 새로운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제2장에서는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기원과 문헌 규범에 대해 분석했다. 먼저 중국 능묘 비석의 출현과 송(宋)까지의 변화 및 조선에 영향을 준 명(明)·청(淸) 능묘 비석의 흐름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능묘 비석이 중국에서 받은 영향 및 독자성을 밝히고자 했다.
뒤이어 제3장에서는 조선시대 능묘 비석에 대한 문헌 규범을 살펴보았다. 조선 초기 왕릉 신도비의 건립과 폐지 및 조선 후기 왕릉 표석의 건립 배경은 당시 정치 상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사대부들의 다양한 입비관은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중요한 사상적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능묘 비석의 건립 과정과 이를 담당했던 인물들에 대한 고찰을 했다. 비석은 비문의 찬술, 서사가 매우 중요해 이들의 선정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뒤이어 재력 등 상황에 맞는 석재를 마련하고 이를 석장, 각수들이 제작하는 과정을 여러 문헌을 통해 면밀하게 고찰했다.
제5장에서는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시기별 양식 변천을 서술했다. 제1기(15세기) 능묘 비석의 건립 보편화, 제2기(16세기) 능묘 비석의 확산과 다양화, 제3기(17세기) 능묘 비석의 지역 특성 발현, 제4기(18세기) 이수 귀부의 제작 감소와 개석방부의 제작 증가, 제5기(19세기) 능묘 비석의 형식화로 구분해 변화와 원인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조선시대 능묘 비석의 특성과 의의를 석장(石匠) 집단과 석재상(石材商)의 등장, 18·19세기 집자비(集字碑)의 제작 증가, 조선시대 고유의 능묘 비석 양식 창안, 불교 석조물의 연관성, 조선시대 능묘 비석으로 반추한 통일신라와 고려 비석의 제작 방법 등으로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