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계사의 운명을 바꾼 해도海圖

세계사의 운명을 바꾼 해도海圖

(100장의 해도를 통해 본 천년의 세계사)

량얼핑 (지은이), 하진이 (옮긴이), 서정철 (감수)
명진출판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계사의 운명을 바꾼 해도海圖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사의 운명을 바꾼 해도海圖 (100장의 해도를 통해 본 천년의 세계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76777140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1-03-05

책 소개

100여 장의 고지도와 해도를 통해 세계관과 세계 역사의 흐름을 고찰한 역사서. 100장의 해도를 통해 대항해 시대 대발견과 변혁의 파노라마를 만날 수 있다. 세계는 평평한 사각형이 아니라 원형이라는 사실, 아프리카 대륙 아래에 항로가 있다는 사실, 서반구에는 신대륙이 있고 남반구에는 미지의 대륙이 있다는 사실 등이 어떻게 밝혀져 왔는가를 흥미롭게 소개한다.

목차

프롤로그 _ 역사를 창조한 고대 해도

제1장 고리 모양 물길에 둘러싸인 대륙
고대인의 상상 | 고대 바빌로니아 점토판 지도 | TO 지도 | 잉글랜드의 다양한 세계지도 | 베아투스의 사대륙 지도 | 헤리퍼드 마파 문디 | 인도 자이나교의 지도 | 위대한 프톨레마이오스 | 이드리시 세계지도 | 그리스 지리학과 세계 지역별 지도 | 프톨레마이오스의 부채

제2장 얽히고설킨 세계와 나침반
돛을 올려 새로운 세계로 | 폴리네시아 항해도 | 포르톨라노 해도 | 피사 해도 | 베스콘테 해도 | 카탈루냐 지도첩 | 발스페르거의 항해도 | 대항해 시대 전야의 세계 항해도 | 프라 마우로의 세계지도 | 메르카토르 투영법

제3장 아프리카를 돌아 인도로 가는 새로운 항해도
대항해의 선봉장 포르투갈 | 서아프리카 항해도 | 희망봉이 표시된 새로운 세계지도 | 남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 지도 | 황금해안의 금광 지도 | 열강의 발자취가 그대로 남아 있는 아프리카 지도

제4장 인도에서 동인도로 이어지는 향신료 길
서방세계가 간절히 원했던 새로운 개척 | 무력으로 개척한 인도양의 무역 길 | 고아 항 지도 | 인도양의 천국, 실론 | 끊임없이 재발견되는 아시아 | 서양 최초의 중국 지도 | 유럽인이 그린 일본 섬과 한반도 지도 | 향료제도 지도 | 동인도의 후발 주자 네덜란드 | 향신료를 둘러싼 군사전략 | 서양인의 눈에 비친 동인도 | 렘브란트의 제자가 그린 인도양 지도 | 아랍인의 눈으로 본 인도양 | 18세기 아시아 지도

제5장 대서양을 건너 신대륙으로
에스파냐가 이끄는 식민지 시대 | 콜럼버스 항해도| 콜럼버스가 그린 북아메리카 대륙 | 북아메리카를 발견한 캐벗 | 아메리카의 엇갈린 운명 | 유럽 열강의 북아메리카 진출 | 북아메리카 초기 분할 지도 | 버뮤다 제도의 토지 분할 지도 | 카카오 지도 | 브라질을 점령한 포르투갈 | 남아메리카의 식인족 지도 | 벽걸이용 아메리카 지도

제6장 신대륙을 따라 지구 한 바퀴
세계 일주 항해로 열린 지구촌 시대 | 대서양을 묘사한 신비로운 항해도 | 마젤란을 착각에 빠뜨린 엉터리 항해도 | 해협으로 잘못 알려진 라플라타 강 하구 | 마젤란의 세계 일주 항해도 | 피가페타의 괌과 말루쿠 항해도 | 동반구와 서반구를 최초로 묘사한 지도

제7장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발견
남반구를 누가 먼저 발견했는가 | 전설 속에서 깨어난 오스트레일리아 | 동인도와 서오스트레일리아 항해도 | 영국의 식민지가 된 오스트레일리아 | 제임스 쿡의 항로를 묘사한 오스트레일리아ㆍ뉴기니 지도 | 플린더스의 오스트레일리아 해안 지도 | 뉴질랜드를 둘러싼 네덜란드와 영국의 힘겨루기 | 해가 지지 않는 나라의 지도

제8장 세계를 무대로 한 해전
해전과 힘겨루기 | 교황 자오선이 표시된 세계 항해도 | 사라고사 조약으로 나뉜 태평양의 자오선 |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몰타 기사단의 해전도 | 키프로스 해전도 | 영국의 서인도 원정 과정 | 영국과 에스파냐의 해전도 | 네덜란드와 포르투갈의 동인도 반탐 전투 | 네덜란드와 포르투갈의 동인도 마카사르 전투 | 오스만 제국의 크레타 섬 점령 | 에스파냐 계승 전쟁의 카디스 해전 | 젠킨스의 귀 전쟁 | 미국독립전쟁 최후의 요크타운 전투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툴롱 전투 | 7년 전쟁의 브르타뉴 해전 | 영국과 프랑스의 우샨트 해전 | 에스파냐의 지브롤터 포위 공격 | 범선시대 최대 규모의 트라팔가르 해전

제9장 놀이에서 풍자에 이르기까지
꽃과 동물로 세계를 묘사 | 클로버 잎 지도 | 천마 페가수스의 아시아 지도 | 저지대의 사자 지도 | 게임 카드 속의 영국과 세계 | 영국 왕실의 오락용 지도 | 선박 형태로 묘사한 프랑스 지도 | 빅토리아 여왕의 모습으로 나타낸 잉글랜드 지도 | 곰과 여왕이 춤추는 지도 | 비스마르크와 빌헬름 1세를 그린 지도 | 나폴레옹의 대포가 휩쓸고 간 유럽 | 제정 러시아를 문어로 그린 지도

제10장 9대 해협의 운명과 극지방
해상 통로와 극지방 | 헤라클레스가 지키는 지중해 관문, 지브롤터 해협 | 페르시아 만의 대문, 호르무즈 해협 | 전략가들의 격전지, 영국해협 | 유럽과 아시아의 다리, 보스포루스 해협 | 인도로 가는 새로운 항로, 모잠비크 해협 |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믈라카 해협 | 세계를 잇는 마젤란 해협 | 해적이 발견한 드레이크 해협 |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를 잇는 베링 해협 | 왜 극지는 북쪽과 남쪽으로 나뉘는 것일까 | 그리스 신화 속의 북극 | 바렌츠의 북극 항해도 | 상상 속의 남극대륙 | 남방 대륙의 존재를 확신했던 오르텔리우스 | 윌크스의 남극대륙 해안 지도 | 영국과 노르웨이의 남극점 쟁탈전

에필로그 _ 비밀을 파헤치듯 해도 속으로 떠난 여행

해제 _ 고지도와 해도의 이해(서정철)

저자소개

량얼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의 저명한 칼럼니스트로, 중국신문상, 중국석간신문상, 선전 청년문학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1980년대 중엽부터 중국 각지와 세계 곳곳을 여행하면서 《관동풍경關東風情》, 《중국풍경中國風情》, 《여행사진旅遊攝影》 등의 책을 저술했다. 2000년부터는 고대 해상 교류 역사를 연구하면서 〈정화鄭和의 항로를 따라가다〉, 〈콜럼버스를 찾아서〉, 〈마젤란 탐방〉, 〈희망봉에서 노바야제믈랴까지〉 등 ‘대항해 시리즈’를 보도했다. 또한 텔레비전 시리즈 ‘해양 3부곡’ 제작에도 참여했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산문집 《몸의 유희肢體的遊戱》, 《매혹의 신체身體的迷霧》, 《청춘 시절花樣生活》,《쇼와 관객秀場與看客》등이 있다.
펼치기
하진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북경사범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만사범대학교에서 수학했다.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기획 및 중국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언어 속에 담긴 사회문화적 맥락을 함께 짚어낸다는 생각으로 번역 작업에 임하며, 중국과 대만의 좋은 책들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노력한다. 역서로는 《넘어져도 괜찮아 무릎 좀 까지면 어때》, 《가장 나다웠던 인생의 한 페이지》, 《잠들기 전에 읽는 아들러》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서정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불어불문학과 졸업 한국외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역임 서울대, 고려대, 이화여대 등 강사 한국외대 대학원장, 연구소장 한국불어불문학회장 프랑스 학술문화훈장 동해연구회 창립이사 “동해는 누구의 바다인가” 등 4권 출판 현 한국외대 명예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