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하이데거의 사회존재론

하이데거의 사회존재론

하피터 (지은이)
그린비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140원
34,9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하이데거의 사회존재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하이데거의 사회존재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마르틴 하이데거
· ISBN : 9788976826763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하이데거 존재사유를 ‘사회존재론’에 비추어 해석함으로써, 기초존재론에 대한 온전한 상을 제시하는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여전히 불분명했던 기초존재론의 핵심 개념들을 일관성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목차

머리말 11
들어가는 말 15

1부 하이데거 사회존재론의 철학적 배경

1장 사회존재론으로서의 하이데거 기초존재론 33
1. 자연존재론으로서의 전통존재론 33
2. 사회존재론으로서의 기초존재론 43

2장 막스 셸러의 지식사회학 59
1.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과 셸러의 지식사회학 59
2. 셸러의 지식사회학과 마르크스주의 71
3. 셸러의 지식사회학 83
4. 지식사회학에서 인식과 노동 개념 115

3장 실용주의 133
1. 현존재의 실천적인 행동과 실용주의 133
2. 실용주의의 인식론 139
3. 실용주의의 진리 개념 156

4장 쇼펜하우어의 의지 개념 185
1. 반-이성주의자로서의 하이데거와 쇼펜하우어 185
2. 쇼펜하우어의 반-인간중심주의와 의지 개념 213

5장. 딜타이의 정신과학과 해석학 243
1. 하이데거에서 정신(역사·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차이 243
2. 딜타이와 정신과학의 철학적 정초 257

6장 헤겔의 정신 개념과 역사성 305
1. 하이데거, 헤겔 그리고 후설 현상학 305
2. 헤겔에서 정신과 노동 319
3. 헤겔에서 정신과 공동존재 335
4. 헤겔에서 정신과 역사성 357

2부 하이데거의 사회존재론

1장 사회존재론으로서의 기초존재론 379
1. 기초존재론의 존재사유와 전통존재론의 해체(Destruktion) 379
2. 사회존재론의 실존적인 사유와 자연존재론의 범주적 사유 392
3. 사회적 존재자로서의 현존재 410

2장 현존재의 ‘세계-내-존재’와 사회존재론 433
1. 현존재의 ‘세계 형성’과 동물의 ‘세계 빈곤’ 433
2. 현존재의 세계와 실용적 사물로서의 도구 446
3. 현존재의 전-주제적인 실천적 행위로서의 노동 456

3장 현존재의 세계와 사회적 공간 개념 477
1. 현상적 신체로서의 현존재의 신체 개념과 사회적 공간 개념 477
2. 도구의 공간성(사회적 공간)과 사물의 공간성(자연적 공간) 489

4장. 현존재의 사회적 자기성 개념 509
1. ‘존재가능’으로서의 현존재 자기성 개념 509
2. 현존재의 실천적 자기와 사회적 공동존재 522

5장 사회적 자기로서의 현존재의 비-본래적 자기와 본래적 자기 539
1. ‘그들’로서의 현존재의 자기성 539
2. 현존재의 비-본래성과 사회적 자기 554
3. 본래적 현존재의 ‘유일한 자기’(solus ipse)와 ‘질적 개인주의’ 565
4. ‘단일체’로서의 ‘유일한 자기’와 민족 공동체 591
5. 현존재의 ‘습속적 자기’(das sittliche Selbst)와
본래적인 ‘정황적 자유’(die befindliche Freiheit) 607

6장 사회적 현존재의 본질로서의 ‘염려’와 ‘인간적 인간’ 633
1. 사회적 현존재와 ‘염려’(Sorge) 633
2. 기초존재론에서 사회적 세계로서의 현존재의 세계 개념 645
3. 사회적 현존재와 인간적 인간(homo humanus) 661

나가는 말 677
참고문헌 689
찾아보기 696

저자소개

하피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에서 현상학과 체육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 롱비치주립대학교 철학과 졸업 후, 독일 현상학을 공부하기 위해 후설 아카이브가 있는 벨기에 루벤가톨릭대학교 철학과에서 하이데거에 관한 연구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와 일본 동경대학교 객원연구원을 거쳐, 한국현상학회 편집이사 및 한국 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를 후설 현상학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근대 철학적 문맥 속에서 폭넓게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근대 철학에서 사회존재론이 성립되는 과정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공간화가 다르게 표현하여 ‘숲에서 나무들이 제거된 빈터’를 뜻한다면, 공간은 근대과학자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그 자체로 이미 자연세계에 존립해 있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공간화의 관점에서 볼 때, 자연세계에 있는 우거진 숲은 아직 공간에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이데거에 따르면 공간은 근원적으로 직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거주지를 가능케 하는 숲에서 나무들이 제거된 빈터와 이 빈터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실천적 행위에서 드러난다. 다시 말해 공간화는 인간의 거주를 위한 열린 공간을 의미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공간화는 인간의 정착과 거주를 위해 트인 공간과 열린 공간(das Offene)을 가져온다.” 여기서 우리는 근대 철학과 근대과학을 지배한 공간 개념과 구분되는 하이데거의 독특한 공간 개념을 발견할 수 있다. 하이데거의 공간 개념, 즉 인간의 거주지를 가능케 하는 공간화는 빽빽이 있는 나무들이 제거된 빈터를 통해 비로소 얻어지며, 이와 같은 공간과 이 공간에서의 인간의 실천적 행위의 전제하에서 자연세계는 인간이 거주하는 사회세계로 전환된다.


여기서 우리는 근대 철학에서 어떤 철학자도 상호주관성을 자기성과 연관 지어 고찰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하이데거만이 현존재의 공동존재에 입각해 독특한 자기성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고립된 의식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 본질적으로 더불어 존재하는 현존재의 자기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이렇게 이해된 자기는 ‘사회적 자기’로 특징지어진다. 그런데 공동존재에 관한 논의와 관련하여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사회적 자기는 한편에서는 비-본래적인 ‘그들’(das Mann)과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본래적인 유일한 자기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먼저 공동존재에 바탕을 두고 있는 현존재의 자기가 사회적 자기라는 것을 일상적인 현존재의 비-본래적 자기를 지칭하는 그들에 대한 분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기초존재론에서 근대 철학적 원리와는 다른 새로운 철학적 토대를 정초하고자 하는 하이데거는 데카르트에서 유래되어 후설 현상학까지 이어 온 이 명제를 뒤집는다. 그에게 철학적 원리는 바로 ‘나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나는 사유한다’(sum, ergo cogito)는 명제로 표현된다. 이 명제에 입각해 사람들은 근대 철학적 사유와 하이데거 철학적 사유의 근본적인 차이점이 ‘이성’과 ‘실존’의 대립에 있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실존 개념이 하이데거 철학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하이데거는 실존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간주되기도 한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실존의 의미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하이데거 철학은 여전히 난해한 사상으로 남아 있다. 하이데거 철학에 입문하기 위한 첫 관문으로서 현존재의 실존 개념을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실존, 즉 ‘있음’(sum)이 ‘나는 사회적 세계에 거주한다’로 파악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존재와 시간』에서는 명확하게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나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나는 사유한다’라는 명제는 ‘나는 사회적 세계 속에 거주한다. 그러므로 나는 사유한다’로 재해석되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