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6684067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목차
총론
1. 현상학의 태동
2. 현상학의 계승
3. 방황하는 신실재론
4. 현상학의 현황
5. 현상학의 응용: 후설의 심리학에서 쉬츠의 사회학으로
6. 현상학의 위기: 브누아의 맥락론
에필로그
1부 두 원천의 현상학자
1장 후설 전기: 엄밀한 학문이라는 이념의 현상학
1. 후설, 현상학적 연구의 도정에 들어서다
2. 철학의 위기와 심리학주의
3. 철학의 역할과 보편학의 이념
4. 수학, 논리학 그리고 학문 이론
5. 기술심리학과 지향성
6. 엄밀한 학으로서의 철학을 향한 현상학적 혁신
2장 후설 중기: 선험적 관념론으로서 현상학
1. 문제로서의 지향성
2. 현상학의 이념과 방법에 대한 재고찰
3. 자연적 태도의 판단 중지와 환원된 순수 의식
4. 선험적(초월론적) 환원과 순수 자아
5. 독아론 극복과 상호주관성의 문제
6. 선험적(초월론적) 관념론으로서의 현상학
3장 후설 후기: 발생의 바다를 항해하는 초월론적 현상학
1. 발생적 현상학
2. 시간
3. 수동성
4. 신체
5. 상호주관성
6. 생활세계
4장 하이데거 전기: 역사적 ‘현존재’ 개현의 현상학
1. 하이데거의 생애
2.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의 근본 사상
3. 하이데거 철학이 가지는 사상적 의의
5장 하이데거 후기: 현상학과 ‘존재’의 진리
1. 알레테이아
2. 시와 존재 사유
3. 열린 존재로서의 현존재의 존재
2부 원천을 재편한 네 현상학자
1장 막스 셸러, 인격과 동물의 현상학
1. 인격의 정의
2. 우주에서 인간 정신의 특징
3. 동물의 인격을 생각함: 비판적 고찰
2장 에디트 슈타인, 감정이입의 현상학
1. 왜 에디트 슈타인인가?
2. 심리학주의와 관념론에 대한 위기의식
3. 슈타인의 실재론적 현상학: 전적으로 열려 있는 눈
4. 『논리 연구』와 괴팅겐학파
5. 슈타인과 감정이입의 문제
에필로그
3장 오이겐 핑크, 우주론적 차이의 현상학
1. 생애와 사상의 전개
2. 후설, 하이데거 그리고 핑크
3. 형이상학에서 우주론으로
4. 인간 현존재의 근본 현상들
5. 공동 실존으로서의 인간 현존재
6. 기술 시대의 교육
4장 얀 파토치카, 자유와 실천의 현상학
1. 파토치카의 생애
2. 파토치카 철학의 핵심 이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서 거론된 후설 이후의 현상학자들은 그 누구도 후설과 무관하지 않았으나 또 아무도 후설식 정통주의에 갇히지 않았다. 어쩌면 현상학적 시니피앙(기표)들의 이같이 살아 움직이는 부유 현상이야말로 현재까지 이어져 온 ‘운동으로서 현상학’의 참된 시니피에(기의)가 아닐까 사료된다.
바깥의 나무를 지각하는 것과 나무를 보고 있는 나를 지각하는 것은 성격이 다르다. 바깥의 나무를 지각할 때 나에게 주어지는 것은 나무 그 자체가 아니라 나무에 대한 감각적 경험들뿐이다. 다시 말해 ‘진짜’ 나무가 의식에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 반면, 그렇게 나무를 경험하는 나를 다시 지각하는 것은, 그 지각의 대상이 내 의식 자체이므로 진짜 대상이 주어지는 것이며, 직관적으로 자명하다.
이렇게 형성된 통일체들은 수동성의 영역에서 끊임없이 자아를 촉발하는 힘을 발휘하고, 그때그때의 상황에 유관한 특정 통일체는 자아의 관심에 부응하여 유독 두드러진다. 이처럼 부각되는 통일체는 자아로 하여금 자신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동기를 주며, 자아는 이를 기초로 비로소 다양한 능동적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