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투명성의 현상학

불투명성의 현상학

조광제 (지은이)
그린비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810원 -5% 0원
590원
18,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투명성의 현상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투명성의 현상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6826992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3-02-10

책 소개

철학의 정원 53권. 후설부터 하이데거, 마르셀,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레비나스, 리쾨르, 데리다까지 8명의 유력한 현상학자들의 사유를 ‘존재의 불투명성과 심연’이라는 화두로 엮어 독자적 논의를 전개한다.

목차

책머리에 — 4

1부 불투명한 심연의 존재, 감각 사물

§1. 감각 사물에의 이력 — 13
§2. 심연의 불투명성, 또는 불투명한 심연 — 20
§3. 절대 이성에 따른 존재와 인식의 명증 — 26
§4. 실현 불가능한 이성의 욕망 — 33
§5. 칸트가 제시한 불투명한 심연의 존재 — 42
§6. 불투명성의 근원, 감각 사물의 영토 — 59
§7. 감각 자체와 더불어 지각되는 개별 사물을 무시한 사유들 — 71
§8. 감각 사물 — 84

2부 불투명성의 현상학

I. 후설: 불투명성의 실마리 — 97
§1. 후설의 명증성 원리 — 98
1) 후설의 명증성 정의 — 99
2) 충전적 명증성과 필증적 명증성 — 104
§2. 후설의 명증에 대한 물음 — 107
§3. 후설의 고뇌 — 110
§4. 원인상의 원초적인 불투명성 — 114
§5. 후설의 두 얼굴: 명증한 본질 필연의 세계와 불투명한 개별 착종의 생활세계 — 119

II. 하이데거: 존재의 불투명성 — 123
§1. 존재의 불투명성과 이해 — 124
§2. 현존재의 존재인 마음 씀과 존재의 불투명성 — 129
§3. 불안과 무를 통한 존재의 불투명성 — 134
§4. 불투명한 존재의 근원적 불투명성을 견뎌 내는 방책, 시작(詩作) — 140

III. 마르셀: 내 몸에서 열리는 신비 존재의 불투명성 — 145
§1. 불투명성의 형이상학 — 146
§2. 신비의 불투명성 — 163

IV. 사르트르: 주체의 투명성과 존재의 불투명성 — 167
§1. 존재의 근원적 우연성과 불투명성 — 169
§2. 의식의 대자존재성과 절대적 투명성 — 175
§3. 존재의 불투명성과 의식의 투명성 사이의 완전한 균열 — 179
§4. 즉자의 끈적끈적함, 충동 — 183

V. 메를로-퐁티: 몸과 살의 불투명성 — 187
§1. 존재 본질적 차이에 의한 몸의 불투명성 — 188
§2. 몸의 불투명성을 드러내는 개념들 — 191
§3. 살의 불투명성에 의한 존재론적인 전복 — 199

VI. 레비나스: 타자와의 관계의 불투명성 — 209
§1. 존재의 익명성 — 211
§2. 존재로부터의 존재자의 발생 - 히포스타시스(hypostasis) — 221
§3. 빛과 이성에 대한 비판 — 226
§4. 고통과 죽음의 타자성 — 228
§5. 타자와 타인 — 231
§6. 에로스적 공동체 — 236
§7. 마무리 — 238

VII. 리쾨르: 텍스트 세계의 불투명성 — 241
§1. 텍스트를 통한 주체의 매개적인 자기 이해 — 244
§2. 텍스트에서의 거리 두기 — 249
§3. 텍스트에 앞에서의 자기 이해의 전유 — 253
§4. 리쾨르의 신적 불투명성 — 257

VIII. 데리다: 현전과 부재 너머의 불투명성 — 261
§1. 후설의 의미 현전에 대한 비판 — 263
1) 현전 문제의 시발 — 263
2) 후설의 의미론 — 266
3) 후설의 기호론 — 268
§2. 후설의 음성 중심주의에 대한 데리다의 비판 — 272
§3. 데리다의 근원 문자의 비현전 — 275
§4. 데리다, 부재의 불투명성 — 278

3부 불투명성, 심연 그리고 충동

§1. 탈-도구의 환원, 절대적 잉여인 감각 사물 — 285
§2. 감각 사물과 뇌 — 289

참고문헌 — 293

저자소개

조광제 ()    정보 더보기
1955년에 마산에서 출생했다.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했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 입학하여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한전숙 교수님 지도로 「현상학적 신체론: E. 후설에서 M. 메를로-퐁티에로의 길」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3월 시민대안학교 〈철학아카데미〉를 설립해 운영위원, 공동대표를 거쳐 현재 대표로 일하고 있다. 1987년부터 2020년까지 여러 대학의 학부와 대학원에서 시간강사로 철학과 예술에 관련한 강의를 했다. 그리고 교도소, 도서관, 문화센터, 공무원 교육기관, 각종 시민교육 시설들을 오가며 특강을 했다. 그 와중에 한국프랑스철학회 회장직과 한국철학회 부회장직을 수행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2000년부터 지금까지 23년 동안 <철학아카데미>에서 수없이 많이 강의하면서 매번 강의록을 제공했고, 이 강의록을 바탕으로 여러 권의 책을 출간했다. 영화에 관한 『인간을 넘어선 영화예술』(2002), 존재론 입문을 위한 『존재 이야기』(2004),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을 강해한 『몸의 세계, 세계의 몸』(2004), 미술에 관한 『미술 속 발기하는 사물들』(2007), 후설의 현상학에 관한 『의식의 85가지 얼굴』(2008), 입문자를 위해 철학의 개념을 풀이한 『철학라이더를 위한 개념어 사전』(2012),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를 강해한 『존재의 충만, 간극의 현존 1, 2권』(2013), 메를로-퐁티의 《눈과 정신》을 강해한 『회화의 눈, 존재의 눈』, 현대철학자들의 사상을 개관한 『현대철학의 광장』(2017), 현상학적 사유를 나름으로 해석한 『불투명성의 현상학』(2023) 등이 그 책들이다. 여기 이 책 『들뢰즈와 가타리의 《천 개의 고원》, 「서론:리좀」 읽기』(2023)도 2022년 <철학아카데미>에서 한 강의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 외 여러 공저가 있고, 주요 역서로는 마빈 민스키의 The Society of Mind를 번역한 『마음의 사회』(2019)가 있다. 한때 ‘함수적 존재론’이라는 나름의 존재론을 모색했으나 중도에 그쳤다. 요즘에는 신경과학을 염두에 둔 몸과 의식의 문제를 탐색하는 가운데, 브뤼노 라투르의 신-실재론을 중심으로 한 신유물론의 문헌들을 살피면서 21세기를 염탐하는 존재론을 모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말하자면, 일체의 존재를 통일하고자 하는 이성의 욕망은 존재적인 강압에 따른 것이 아니기에 존재론적으로 성취될 수 없다. 이에 이성으로서는 존재 자체가 자신이 도무지 감당할 수 없는 무작정한 우연성 즉 절대적 우연성을 지녔음을 ‘절대적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고, 존재의 그 절대적 우연성 앞에서 ‘아연실색 무릎을 꿇고서’ 자신의 무능력을 고백할 수밖에 없다. 그저 존재의 근원적인 모호함을 불투명하게 표상할 뿐이다.
그리하여 인간의 의식에서 발휘되는 인식을 위한 최고 능력인 이성은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어마어마한 전투를 치렀지만, 결국에는 이른바 ‘존재의 심연’을 망연하게 바라볼 수밖에 없고, 그 존재의 심연을 ‘불투명하게’ 바라볼 수밖에 없는 일종의 ‘전쟁고아’와 같은 신세를 면할 수 없다. 그러나 이성은 일체의 존재를 통일하고자 하는 욕망을 저버릴 수 없고, 존재의 심연을 향해 곤두박질을 쳐서라도 그 실현 불가능한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고자 몸부림치게 된다. 이에 이성의 욕망은 존재의 심연을 향한 충동으로 급변한다.


마르셀은 체화된 나 자신이 지닌 불투명성을 외부 세계의 불투명성에 대한 바탕으로 보면서, 제아무리 세계 자체의 저 내밀한 곳으로 파고 들어가더라도 결국 불투명성을 마주하게 될 것인데, 그 심연에서의 불투명성마저 체화된 나 자신에서 성립하는 내 존재가 갖는 불투명성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후설이 의식 작용인 노에시스와 의식 대상인 노에마가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연적인 지향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한 것과 비교해 볼 때, 그 출발과 내용은 다를지라도 그 구조는 똑같다. 후설이 명증성을 중심으로 지향성을 제시했다면, 마르셀은 불투명성을 중심으로 지향 관계를 제시했다고 할 것이다. 마르셀이 제시한 이러한 불투명성의 지향 관계는 가장 명료하다고 여기는 관념들에까지 관철된다.


메를로-퐁티가 제시하는 유기체의 행동에 관한 이러한 해석에서 핵심은 순수한 외부의 환경과 순수한 유기체 내부의 질서가 결단코 정확하게 구분될 수 없고, 서로 얽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지각의 현상학』에 와서 ‘세계에의-존재’(l’etre-au-monde)라는 개념으로 발전한다. 이는 몸이 세계 속에 있으면서 세계를 향해 나아가 세계에 적응함으로써 세계와 일치를 이루고자 하는 본질적인 성향을 지녔음을 말하고, 아울러 체화된 의식 역시 몸처럼 그러한 성향을 지니고 심지어 반성하는 의식이나 정신 역시 본질에서는 몸처럼 그러한 성향을 지닌다는 점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