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7715166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7-05-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북핵 문제의 해법은 어디에 있는가
1장 한반도, 핵의 유혹
부시의 테러전쟁과 북한 핵 문제
김정일은 독재자인가, 개혁가인가?
국제 핵 기술 암시장 주도한 칸 박사의 정체
북 미사일에 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695호의 의미
실패한 무궁화꽃―한국의 핵 개발 프로그램
2장 북핵 그리고 한반도 최악의 시나리오
북한의 핵실험과 미국의 딜레마
김정일과 부시, 마지막 담판의 장으로 접근하다
북핵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북핵 문제는 국제공조로 풀어야 한다
3장 김정일, 또 한번의 기회와 선택
밀로셰비치의 비극이 김정일에게 준 교훈
북 미사일 발사, 국제공조만이 해법이다
탈북자와 ‘게르만 엑소더스’
헬싱키헌장과 1990년대 공산주의 몰락의 교훈
북한은 개혁개방으로 갈 것인가
4장 미국의 북핵 정책과 이라크 전쟁
북핵 문제에 유럽이 미국을 지지하는 이유
김정일과 부시의 대타협 가능한가
이라크 전쟁으로 더욱 불투명해진 북핵 문제
카다피와 후세인의 엇갈린 운명
5장 북핵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
북한 핵무기 보유 선언의 충격
김정일의 통 큰 정치만이 핵 위기 막는다
리비아방식에서 북한 핵 문제의 해법을 찾는다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북한 핵실험과 안보리 제재 그리고 6자회담
북한 핵 문제 연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북한이 선군체제에 스스로 발이 묶여 오래전 사망이 선고된 스탈린주의-주체사상-봉건적 권력세습-국수주의의 늪에서 헤어날 길이 없게 된 것 같다. 북한은 베를린 장벽 후, 체제의 취약성을 개혁개방으로 대체한 베트남 등 공산국가들과는 달리 체제결함을 핵폭탄과 미사일로 대체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김정일 선군체제의 본질과 딜레마가 있다.-p61 중에서
앞으로의 세계는 그래서 희망과 불안 그리고 긴장이 교차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북한 핵 문제가 시원하게 해결되고, 이라크 전쟁 종식이 국제정세의 불확실성을 걷어 낼 기본조건이다. 그리고 신자유주의의 결정적 퇴조는 세계경제에 불안과 긴장을 동시에 부를 소지가 있다. 신자유주의는 이제 원조국인 영국보수당이 '사회정의'를 부르짖으며 수정하겠다고 나서고 있어 장송곡이 울리는 것 같다.-p22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