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동의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

이동의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

(‘이동’이라는 키워드로 식민지 시대를 다시 읽는다)

황호덕, 박광현, 허병식, 구인모, 와타나베 나오키, 나카네 다카유키, 이헬렌, 신승모, 이철호, 주후이주 (지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9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동의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동의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 (‘이동’이라는 키워드로 식민지 시대를 다시 읽는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801299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1-02-28

책 소개

그동안 식민지 시기를 다룬 책들은 수없이 많이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독자들의 눈길을 끌 만한 책들은 많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너무 식상한 이야기들의 되풀이였던 것이다. 그런데 여기 ‘제국과 식민지 사이의 경계 인식의 문제’라는 진부하지 않은 주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책이 나왔다.

목차

머리말 5

제1부 식민/피식민 사이의 문화 번역

식민지 ‘학지’의 경합과 형성 양상 - 식민지 조선에서의 ‘제국대학’설립 과정을 중심으로
·박광현
1. ‘경합’하는 조선의 ‘제국대학’ 담론의 장
2. 『조선사강좌』 동인 그룹과 ‘경성제대’ 담론
3. 경성제대와 새로운 분과 학문의 이식
4. 초기 경성제대 교수진의 유형화
5. 식민지 공공성의 확대와 조선인 지식사회의 주변화

재조선이라는 시좌와 여행철학 - 도한 일본인의 조선상과 아베 요시시게의 한일비교문화론
·나카네 다카유키(中根隆行)
1. 여행의 어지와 요청되는‘외지’여행
2. 도한 일본인의 제국주의적 욕망과 조선 표상
3. 경성제대 시절의 아베 요시시게
4. 아베 요시시게의 여행철학과 한일비교문화론

‘식민지 이주자’의 목소리, ‘이민자’의 목소리 - 일본 초기 식민지 여행담과 안내서에 나타난‘조선’ 1894~1914
·이헬렌(Helen J. S. Lee)
1. “식민지 이주자들”의 목소리, “이민자들”의 목소리
2. 『조선잡기』
3. 『최신의 한반도』
4. 1900년대 정부의 이민정책 선전
5. 어느 일본 이민자의 증언: 『조선에 가려는 이들에게』
6. 결 론

‘외지문학’에 나타난 타자의 형상과 제국 ·신승모
1. 1940년대 전반기의 ‘외지문학’에 관한 단상
2. 제19회 아쿠타가와 수상작의 문제
3. 제국에 회수되는 ‘만주인’의 성성―야기 요시노리의「류꽝후」
4. ‘인간’을 ‘황민’으로 치환한 잘못된 구원―오비 주조의「등반」
5. 1940년대 전반기 ‘외지문학’의 오류

공간 치환과 고향 상실의 근대적 경험 - 식민통치시기의 타이완소설에 나타나는 객지와 고향
·주후이주(朱惠足)

1. 공간 전위의 근대성 경험: 나카무라 지헤이의「여행지에서」
2. 의사가족에서 좌익운동의 실패까지: 장원환의「아버지의 요구」
3. ‘일본’공간의 이식과 치환: 마스기 시즈에의「오추」
4. 안식처의 상실: 조우진보의「향수」

제2부 식민지 조선의 공간과 장소 표상

일본의 식민지 철도여행과 창가 - 『만한철도창가』(1906)를 중심으로 ·구인모
1. 서 론
2. 과거를 향한 여정, 전쟁의 자취를 더듬는 여정
3. 식민주의 욕망이 그려 낸 상상의 여정
4. 다른 식민지 철도창가의 사례
5. 국민국가, 제국의 심상지리와 철도창가
6. 결 론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이철호
1. 근대적 갱생을 위한 공간
2. 대동강 혹은 모더니티의 이율배반
3. 자연, 청년, 창가의 세계
4. 결론을 대신하여

장소로서의 동경 - 1930년대 식민지 조선작가의 동경 표상 ·허병식
1. 동경, 제국의 공간과 장소
2. 문명화과정과 산보의 감각
3. 이상의 동경, 모더니티의 장소
4. 박태원의 만보와 거주, 자기 테크놀로지의 장소
5. 장혁주와 식민지적 주체성의 구축
6. 장소의 균질화와 제국/식민지의 욕망 구조

경성지리지, 이중언어의 장소론 - 채만식의「종로의 주민」과 식민도시의 (언어) 감각???
·황호덕
1. 그리니치빌리지의 전설 ― 명동 문학의 신화와 그 심리
2. 식민 도시의 산책자 ― 내적 국경을 월경하는 신체
3. 장소적 육체와 그 경계 ― 국어 공간과 조선어 공간
4. 哀悼京城, 好喪京城 ― 공간에서 장소로

장혁주의 장편소설 『개간』에 대해서 ·와타나베 나오키(渡?直紀)
1. 조선인 ‘황도작가’의 만주 관련 작품
2. 사건취재의 흔적(1) ― 실재인물의 등장 등
3. 사건취재의 흔적(2) ―「리턴보고서」
4. 사건취재의 흔적(3) ― 복잡한 인간관계, 재만 조선인의 법적 지위 등의 제시
5. 후경화하는 농민들의 애환
6. 소 결

저자 소개 334

저자소개

황호덕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현대비평, 비평이론, 동아시아론, 비교문학, 현대사상 등을 연구 분야로 삼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어바인), 프린스턴 대학교, 일본 조사이 국제대학에서 연구와 강의를 했다. 주요 저서로 『벌레와 제국』, 『프랑켄 마르크스』, 『근대 네이션과 그 표상들』,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전 2권,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 한문맥과 근대일본』, 『미주의 인상』(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박광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교수. 경성제국대학과 재조일본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오다, 일본의 ‘패전’ 이후에 관심을 가지고 재일조선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역저서로는 『「현해탄」 트라우마』(저서), 『제국대학: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역서),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1?2』(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허병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에서 태어났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0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했고, 동국대학교에서 한국 근대문학과 문화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와타나베 나오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무사시대학 교수. 전공은 한국 근현대문학. 1965년 도쿄 출생. 일본 게이오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에 일본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근무했다. 1994년에 동국대학교 대학원에 입학, 1998년 여름에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고려대학교 국제어학원 초빙전임강사를 거쳐서 2005년부터 무사시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다. 2011년에 UC San Diego에서, 2018년에 고려대학교에서 각각 Visiting scholar를 역임했다. 2017년 2월에 「임화 문학론 연구」로 동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최근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표상 공간의 담론 형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The Colonial and Transnational Production of “Suicide Squad at the Watchtower” and “Love and the Vow””(Cross-Currents, Vol.2, No.1,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3)가 있으며, 공저로 <전쟁과 극장?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 극장의 문화정치학>(소명출판, 2015),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소명출판, 2010), <이동하는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동국대 출판부, 2011), <근대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책과함께,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나카네 다카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와세다(早田)대학 제2문학부를 졸업하고 쓰쿠바(筑波)대학 대학원 문예·언어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에히메(愛媛)대학 법문학부의 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朝鮮>表象の文化誌─近代日本と他者をめぐる知の植民地化』,『史と文の資料をむ』(공저)가 있다.
펼치기
이헬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교수. 일본문학을 전공했으며, 주로 일본의 제국주의와 재조선 일본인 연구를 중점적으로 다뤄왔다. 대표 저서로 Reading Colonial Japan: Text, Context, and Critique(편저)와 《포위된 평화, 굴절된 전쟁기억》(공저)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Unending Stories of the Battleship Yamato:Narrating the Past, Creating a Phantom,” “Writing Colonial Relations of Everyday Life in Senry?”, “Dying as Daughter of the Empire” 등이 있다.
펼치기
신승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나고야대학 대학원에서 제국-식민지 일본어 문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성대학교 인문문화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재일조선인과 재조在朝일본인의 문학과 문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왔다. 주요 논문으로 「식민자 2세의 문학과 ‘조선’: 고바야시 마사루와 고토 메이세이의 문학을 중심으로」, 「재일 사회와 유교 문화의 공과功過: 가부장적 유교 문화에 대한 재일 여성의 비판과 극복 담론을 중심으로」 등이 있고, 저서로 『재조일본인 2세의 문학과 정체성』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교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대표 논저로는 『영혼의 계보: 20세기 한국문학사와 생명담론』(창비, 2013)이 있고, 공저는 『센티멘탈 이광수』(소명출판, 2013),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소명출판, 2014), 『한국의 근대성과 기독교 문화정치』(혜안, 2016) 등이 있다. 주요 관심사는 이돈화, 류영모, 함석헌, 김지하를 포괄하는 개념어와 지성사 연구, 그리고 ‘역사-이미지’를 통해 한국소설을 다시 읽는 것이다.
펼치기
주후이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타이완 타이베이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나고야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타이완의 충싱(中興) 대학 타이완문학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現代』的移植與飜譯-日治期台灣小說的後殖民思考』(2009)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帝國下的漢人家族再現-滿洲國殖民地臺灣」,「做爲交界場域的‘現代性’-往返於沖?八重山諸島與殖民地臺灣之間」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인의 나태함은 조선인의 긴 담뱃대, 느릿느릿 진행하는 일처리 등의 상징적 시구를 통해 그려진다. 예를 들어 <조선잡기>는 일본인 목수라면 반나절에 처리할 일을 조선인 목수는 사나흘이나 질질 끈다고 주장한다. 조선인이 일본과 다른 민족이며 두말할 나위 없이 열등한 인종이라고 주장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집합적 이미지는 반복해서 나타난다.


이러한 철도창가라는 양식은 한편으로는 파노라마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의 고정된 시점에서 바라보는 풍경의 무한한 연속만을 제시할 뿐이다. 그러한 시점의 변화는 앞장에서 살펴본 “오른편은 다카나와 센가쿠지 마흔일곱 의사 무덤 있는 곳 눈은 녹아도 남은 이름은 천년 뒤까지도”와 같은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특별한 의미를 제시하는 장면이 아니면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바로 여기에 국민국가 혹은 제국이 허용한 시선, 그리고 정서에 따라서 제 고향은 물론 이향의 삶과 기억, 정체성을 바라보게 하는 권력이 작동한다. 철도여행이 자연으로부터 현재성과 아우라를 박탈하고 자연을 풍경의 차원으로 격하시켰다면, 이러한 권력은 철도여행의 주체 혹은 철도창가의 독자나 가창자들에게 수동적인 태도를 암암리에 요구한다. 그리고 철도창가는 근본적으로 음악이 지닌 감각적 직접성으로 이러한 권력을 쉽게 은폐한다.


1910년대를 전후해서 근대 지식인들이 일본 유학과 여행 체험에서 근대 문명과 주체성의 표상을 학습하는 ‘문명의 장소’로서 동경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그만큼 자신들이 떠나온 고향 조선의 현재가 낙후되어 있음을 자각하고 있다는 것의 반증이기도 하다. 특히 일본이라는 문명의 중심에 자리 잡은 동경이라는 장소는 낙후된 조선과 고도로 문명화된 일본 사이의 현격한 낙차落差를 경험하는 상상적 공간으로 격상된다. 때로 그 장소는 제국의 문명을 경험하는 식민지인들의 정체성이 유동하고 확장되는 공간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동경이라는 장소에 대한 지각체험이 불러온 것은 미개한 조선의 현재를 향해 애도를 표하는 감정과 문명의 중심인 일본의 현재에 대해 감탄하는 반응으로 드러난다. 그것은 전근대와 근대의 차이이며, 미개와 문명의 낙차이기도 하다. 그 차이의 경험이 최대치를 이루게 되는 순간이 그들이 문명의 중심인 동경에 발을 딛게 되는 바로 그 순간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