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이다.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과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근대를 다시 읽는다>(2006, 공저),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2013, 공저) 등의 책과,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2009), 「‘새로운 민중사’의 지향과 현주소」(2010), 「일제시기 모범부락의 내면과 그 기억」(2010) 등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폴 리쾨르의 정의 개념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폴 리쾨르』(2016), 『프랑스 철학의 위대한 시절』(공저, 2014), 『현대 정치철학의 테제들』(공저, 2014), 『내러티브 연구의 현황과 전망』(공저, 2014), 『정의로운 삶』(2007/2013), 『무엇이 정의인가』(공저, 2011), 『공동체주의와 공공성』(공저, 2008)이 있다. 역서로 『정의의 한계』(2012), 『법률가의 논리』(2010), 『휴머니티』(공역, 2008)가 있다.
펼치기
서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원장
전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원장
연구 분야: 국어사, 통사론, 말뭉치언어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1982년) 후,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1984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2년). 1988년~1993년 일본 동경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1993년~1995년 츠쿠바(筑波)대학의 문예언어학계 교수를 지내고 1995년 연세대학교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1995년~1996년 한국어 능력 시험(현재 TOPIK)을 위한 기초 연구와 모형 개발에 참여했으며, 1998년~2007년 문화관광부의 21세기 세종계획 국어정보화 기반 구축 사업의 국어 특수자료 구축 분과의 책임을 맡아서 한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같은 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에 참여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등을 개발하였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립국어원의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 연구』 사업의 책임을 맡아서 1~5등급의 기초 어휘 선정을 수행하였다. 『국어정보학입문』(공저 1998), 『한국어 구어 연구(1, 2)』(공편 2002, 2005), 『한국어교육과 학습사전』(200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공저 2004, 2006),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공저 2013),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2013), 『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1, 2)』(2015), 『한일대역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빈도 사전』(2017, 2019개정), 『최현배의 우리말본 연구(1, 2)』(2017, 2018), 『현대 한국어 어휘 빈도 사전(1, 2)』(2023) 등의 저서와, 한국어 어휘 문법 연구, 말뭉치언어학과 국어정보학, 학습 사전 편찬, 한국어 기본어휘 등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구인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교수. 한국근대시 및 비교문학 전공. 김억을 시좌로 삼아 한국근대시와 번역의 관계 등을 연구해 왔다. 주요 저서로 『한국근대시의 이상과 허상』(2008), 『유성기의 시대, 유행시인의 탄생』(2013), 『『오뇌의 무도』 주해』(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안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어정보학협동과정 박사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국어사전에서의 구어 어휘 선정과 기술 방안 연구』(2009),
『사전과 정보란 무엇인가』(2015) 저
펼치기
손희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7대학 언어학과 박사(사회언어학).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 ‘중간언어 대화에 나타나는 ‘-었-’ 사용 실태 연구(2011)’, ‘한국 화교 화자들의 이중언어 사용 연구(2008)’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
펼치기
황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에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의철학, 의료인문학, 서사의학 등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의료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의학과 인문학의 경계 넘기』, 『Body Talk in the Medical Humanities: Whose Language?』(공저), 『21세기 청소년 인문학 2』(공저), 『의학의 전환과 근대병원의 탄생』(공저), 『내러티브 연구의 현황과 전망』(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은 “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를 널리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정보화하며, 각종 언어 정보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입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⑴ 각종 사전 편찬에 관련된 연구
⑵ 언어의 정보화에 관련된 전자·전산 기술의 개발
⑶ 언어 정보에 관한 자료의 수집, 정리, 출판
⑷ 국내외 유관 학자, 학회, 기관과의 교류
⑸ 연구 및 실무 인원의 양성과 연수
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문화 간 의사소통’ 등에 관련된 연구 및 사업
⑺ 한국어의 사회적 현상과 관련된 화용론, 담화 연구, 수사학, 이야기 연구 등에 관한 연구와 사업
⑻ 고전적 인문학과 관련된 각종 서지, 문헌, 고문서, 문자 자료 등에 관한 연구와 사업
⑼ 그 밖의 연구원의 목적 사업에 따르는 일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홈페이지 : http://ilis.yonsei.ac.kr/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