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88978019491
· 쪽수 : 558쪽
· 출판일 : 2019-05-10
책 소개
목차
서문 : 문학 관계 연구 범주로서의 ‘세계성 요소’ • • • 9
상편 : 중국 신문학사 연구의 총체관 27
1장 중국 신문학사 연구의 총체관 29
1절 신문학은 일종의 개방형 총체 • • • 29
2절 신문학과 세계문학의 총체적 구도 • • • 38
3절 방법론적 제시로서의 전통과 발전 • • • 48
2장 중국 신문학 발전에서의 모더니즘 55
1절 서양 모더니즘 문학과 중국 신문학 • • • 55
1. 중국과 서양의 현대문학 비교 • • • 55
2. ‘5·4’ 신문학운동에 대한 모더니즘의 영향 • • • 63
3. 중국에서의 모더니즘의 역사적 운명 • • • 70
4. 현대 의식과 민족문화 융합의 전망 • • • 76
2절 중국 신문학 발전에서의 참회의식 • • • 82
1. 서양문학 속 참회의식의 변천 • • • 82
2. ‘5·4’ 시기 문학 속의 참회의식 • • • 88
3. ‘인간의 참회’에서 ‘참회하는 인간’으로 • • • 96
4. ‘참회하는 인간’의 자아인식 퇴화 • • • 101
5. 문학에서의 참회의식의 재현 가능성 • • • 105
3장 중국 신문학 발전에서의 낭만주의 113
1절 개인 서정소설과 전원 서정소설 • • • 113
2절 낭만에서 서정으로 • • • 122
4장 중국 신문학 발전에서의 사실주의 137
1절 사실주의 사조 발전의 개요 • • • 137
1. 초기 단계 :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의 결별 • • • 137
2. 발전 단계 : 사실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동행 • • • 146
3. 저조 단계 : 사실주의와 가짜 사실주의의 힘겨루기 • • • 153
2절 사실주의 창작론에서 작가의 현실 전투정신까지 • • • 156
3절 당대문학 창작에서의 현대 반항의식 • • • 177
1. 두 세대 작가들의 사실주의 • • • 178
2. 현대 반항의식의 심미 특징 • • • 184
3. 현대 반항의식의 현재적 의의 • • • 193
하편 : 20세기 중국문학의 세계성 요소 199
1장 20세기 중국문학의 세계성 요소 201
2장 ‘5·4’ 신문학운동의 선봉성 담론 245
1절 서양 선봉문학운동에 대한 ‘5·4’ 신문학 작가들의 관심 • • • 249
1. 미래주의(Futurism) • • • 256
2. 독일 표현주의(Expressionismus) • • • 261
2절 중국 선봉정신의 특징 : ‘식인’ 이미지, 저항적 비판과 언어의 서구화 • • • 266
3절 ‘5·4’ 신문학의 선봉정신과 현대문학의 관계 • • • 279
3장 세계성 요소의 모범작품 탐색 : 『14행집』 293
1절 독일어 문학의 춘풍 속에서 자라난 나무 • • • 293
2절 『14행집』의 독해 • • • 306
1. 제1악장 : 장엄한 서곡―열반 속의 영생(제1-4편) • • • 310
2. 제2악장 : 세속에 강림한 시신詩神 ―크로키와 경고(제5-7편) • • • 323
3. 제3악장 : 시인의 정신 여행―계몽에서 자기구제로(제8-14편) • • • 330
4. 제4악장 : 생명의 송가―인간의 광원曠遠과 사랑(제15-20편) • • • 356
5. 제5악장 : 존재의 노래―협착狹窄 속의 우주(제21-23편) • • • 374
6. 제6악장 : 아득한 마무리 : 유有와 무無의 변화(제24-27편) • • • 381
4장 『마차오사전(馬橋詞典)』 : 중국 당대문학의 세계성 요소의 일례 393
5장 옌롄커(閻連科)의 『물처럼 단단하게(堅硬如水)』의 악마성 요소 415
1절 세계문학 창작에 나타난 ‘악마성’과 문학연구에의 응용 • • • 416
2절 『물처럼 단단하게』 분석 및 악마성 요소 • • • 430
3절 당대문학의 ‘문혁’ 서사와 악마성 요소 • • • 440
6장 장웨이(張) 소설 속의 악마성 요소 451
1절 악마적인 요소를 사용해 장웨이 소설을 해독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 • • 451
2절 장웨이 소설 속의 악마성 요소―여러 가지 원욕原欲의 종류 • • • 454
1. 『일곱 가지 버섯』 : ‘문혁’ 시기의 권력욕 투쟁 및 원욕의 초기 형태 • • • 457
2. 『외성서外省書』 : 인성 해방 시대의 생존 욕망과 생명 욕망 • • • 462
3. 『접시꽃을 기억하지 않을 수 있나』 : 물욕 시대를 관통하는 악마성 • • • 472
3절 장웨이 소설 속의 악마성 요소의 전체적인 제한 • • • 483
7장 바흐친의 민간이론 관점에서 본 『형제』의 민간서사 491
1절 바흐친의 시사점 : 민간전통과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 • • 491
2절 내재적 텍스트 구조 안에 있는 화장실 사건 • • • 496
3절 민간서사 : 세 종류의 저속한 수사 방법 • • • 506
8장 자연주의와 생존의식―신사실 소설의 창작 특성 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