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현대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79660777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0-09-17
책 소개
목차
◆ 세계화와 신경제라는 신화 _ 빌 던
자본의 지역 재배치의 한계
국가의 쇠퇴와 ‘민주주의 결손’
노동자와 신경제
노동의 성격 변화
조직화와 조직화 실패
◆ 세계의 노동계급 _ 크리스 하먼
세계적 상황
계급의 동역학
탈산업화 신화
공업과 서비스업
비시장 서비스 부문의 성격
서비스 노동의 성격
유연화와 노동계급
즉각적 이전이라는 신화
고용 패턴 ― 세계 노동계급과 “제3세계”
비공식 부문의 경제학과 정치학
부문들 사이의 상호작용
마킬라도라
결론
책속에서
사회과학자들과 언론인들은 ‘세계화’나 ‘신경제’ 같은 개념들을 꽤 오랫동안 유포해 왔다. 많은 경우 이런 주장에는 노동계급은 사라졌고 노동계급의 자기 해방이라는 마르크스주의의 염원도 끝났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이를 단순히 마르크스주의를 반대하는 최신 주장쯤으로 치부할 수도 있다. …… 그러나 많은 반자본주의 활동가들도 비슷한 견해를 표명하면서, 새로운 저항 형태와 초점으로 이동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마르크스주의자 저술가들 중에도 이런 주장을 일부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있다. 예를 들면 데이비드 하비는 경제 변화로 말미암아 좌파의 기존 조직 형태가 더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노골적으로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주장들은 분쇄해야 하지만, [자본주의 경제의] 구조 변화에 대한 주장들은 진지하게 다뤄야 한다. 경제구조가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직접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의 핵심 주장은 자본주의가 집단으로 착취당하는 노동계급을 창조했고 노동계급은 자신과 세계를 변혁할 수 있는 특별한 지위를 가진다는 것이다. 근본적 구조 변화는 이러한 집단적 변혁의 전망과 행위의 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다.
자본주의의 변화와 노동계급의 약화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주장이 있다. 첫째는, 자본의 지리적 이동이 저항운동의 지역적·국가적 전략을 약화시켰다는 것이다. …… 둘째, “탈조직화한 자본주의”가 사회적 차별을 확대시킨다는 것이다. 특히 정보 통신 분야의 신기술이 기업 구조와 노동의 성격을 변화시킨다는 주장이다. …… 많은 좌파들이 세계화 때문에 국제주의가 훨씬 더 절실해졌고, “초국적 집단행동”만이 유일하게 의미 있는 선택이 됐다고 생각한다. 한편, 더 분산된 자본주의가 요구하는 “새로운 전략적 상상력”은 작업장을 뛰어넘어 지역사회와 정체성에 바탕을 둔 정치 또는 적어도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나 지역사회 노동조합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지역과 정체성 문제를 결합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이런 급격한 전략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반박할 것이다. 자본의 이동성과 지역 재배치, 그것이 국가의 능력, 기업 구조조정, 노동의 성격 변화에 미친 영향을 평가해서 반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