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주의/공산주의
· ISBN : 9788979661620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9-07-29
책 소개
목차
엮은이 머리말
머리말
1장 거센 파도
2장 최고조
3장 휘청거리는 권좌
4장 커지는 분노
5장 새로운 고지
6장 쟁취할 세계
부록
현대의 고전: 사회주의의 두 가지 정신
책속에서
자본주의의 대안은 무엇일까?
자본주의의 오래된 대안은 사회주의다. 여기서 사람들은 뒷걸음질 치고 혼란스러워한다. 자본주의는 명백히 혐오스럽다. 그렇지만 사회주의도 혐오스럽지 않은가? … 동유럽 사람들이 연이은 정치적 격변(제1차세계대전 뒤에 여러 나라에서 왕들이 쫓겨난 이래 유럽에서 일어난 가장 큰 격변) 속에서 거부한 것이 바로 사회주의 아닌가? 평범한 사람들을 말할 수 없이 끔찍한 가난과 궁핍으로 몰아넣은 것이 바로 소련의 사회주의 아니었나? 이런 증거로 볼 때, 사회주의는 자본주의보다 훨씬 더 관료주의적이고 불공평하고 무책임한 사회체제 아닌가?
만약 그렇다면, 우리가 바랄 수 있는 최선은 그저 지금 있는 것들을 조합해서 고쳐 쓰는 것 아닐까? 만약 동유럽 사람들이 자본주의를 지지해 사회주의를 타도했고 바로 그것이 진짜 사회주의라면, 자본주의를 우리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조금씩 개혁하려 해야 하지 않을까?
나는 사회주의를 소련과 동유럽에서 이뤄진 끔찍한 왜곡에서 구해내고, 사회주의가 처음 제기됐을 때 그 핵심이 무엇이었는지 되새기고, 사회주의의 민주적 성격을 복원하고, 오늘날 좌파를 마비시키는 패배주의적 냉소를 극복할 진정한 사회주의적 대안을 제시하려고 이 책을 썼다.
소련이 사회주의였을까?
낮이 밤으로 바뀌는 순간이 정확히 언제인지는 아무도 말할 수 없다. 그러나 모두가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있다. … 많은 사회주의자들은 러시아 혁명이 패배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반동 세력이 반혁명을 일으켜 러시아의 혁명정부를 타도하는 격변의 순간이 없었다는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사실이다. 혁명이라는 황소가 도살당하는 결정적 순간은 없었다. 그러나 그 황소는 죽었다. 1930년대 러시아의 사회구조는 혁명으로 세워진 사회구조와 상당히 달랐다. …
새로운 스탈린주의적 목표에 가장 걸림돌이 된 것은 러시아 혁명 자체였다. … 특히 집권 공산당에 혁명가들이 가득한 현실은 스탈린과 그 지지자들에게 위협적이었다. 스탈린과 그 지지자들은 10년이 넘게 혁명가들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다. … 1930년대 말에는 최초[1917년]의 공산당 중앙위원 중 단 한 사람만 살아남아 있었는데 스탈린 자신이었다. …
스탈린 치하(와 그 이후) 소련의 계획은 오직 소련 경제를 강력하게 만들어 다른 경제들과 경쟁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노동자들은 즉시 결정 과정에서 배제됐다. 사회는 아래로부터가 아니라 위로부터 통제됐다. … 명령권자는 아래로부터가 아니라 위로부터 임명됐다. 노멘클라투라라고 불린 그들은 주도면밀하게 선발된 공산당과 국가의 고위 관료였고, 지배계급의 (특권을 누리며 그) 기능을 수행했다. 그들은 전 세계 다른 나라의 지배계급과 마찬가지로 노동계급을 희생시켜 국부國富를 축적하기 위해 생산을 조직했다. 착취의 형태가 중요한 게 아니다. … 착취는 여전히 착취인 것이다.
소련은 전혀 사회주의 사회가 아니었다. 소련은 독재가 통치하는 국가자본주의 사회였고, 증권거래소를 기반으로 하는 세계의 다른 곳의 자본주의적 독재와 한 치도 다르지 않게 야만적이었다.
사회주의는 단지 계획경제와 평등만을 뜻할까?
(이윤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생산하는) 계획경제와 (생산된 재화를 공정하게 분배하는) 평등은 사회주의의 정수다. 그러나 흔히 그러듯이 주장을 여기에서 멈춘다면 이 계획은 치명적 약점이 있다(20세기 역사에서 드러났다). 중앙집권적 계획과 모종의 '평등'처럼 보이는 것이 노동자들의 적극적 참여 없이 위로부터 시행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소련과 동유럽에서 바로 그런 일이 벌어졌다. 서구 산업국가의 사회민주주의 정당들(특히 영국 노동당)도 마찬가지로 이런 일을 시도했다.
두 시도 모두 사회주의를 자처했다(공산당도 사회민주주의 정당도 이제 더는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쓰고 싶어 하지 않지만 말이다). 둘 다 계획경제를 조롱거리로, 평등을 신물 나는 말장난으로 만들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두 경우의 '사회주의'는 피착취계급의 참여 없이 달성되거나 시도됐다. 노동계급의 자력 해방과 아래로부터 민주적으로 통제되는 사회라는 사회주의의 정신이 빠져 있었다. 국가자본주의든, 자본주의를 온전히 남겨 두거나 때로는 더 강화한 '개혁주의'든 사회주의를 가장했을 뿐이다. …
만약 사회주의가 단지 계획경제와 평등만을 뜻한다면 선의를 품은 사회주의자들은 지시를 내리거나 법을 제정하는 것으로 사회주의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
요약하자면, 사회주의는 계획경제, 평등, 혁명적 해방이 모두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다. 앞의 두 요소가 있더라도 세 번째 요소가 없다면, 그것은 불완전한 사회주의가 아니라 사회주의와 반대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