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79661880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0-07-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해방 정국, 새 사회를 향한 뜨거운 염원과 좌절
2장 한국전쟁, 제국주의 경쟁이 낳은 비극
3장 4월혁명, 독재자를 타도하다
4장 박정희 정권과 유신, 그에 맞선
5장 광주항쟁, 한 세대의 영혼을 울리다
6장 1987년 6월항쟁과 7~9월 노동자 대투쟁
7장 1997년 대중 파업과 IMF 경제공황
8장 1990년대 후반 이후 역사를 이해하는 틀
9장 좌회전 깜빡이 켜고 우회전, 김대중 정부
10장 노무현 정부의 “좌파 신자유주의”
11장 우파의 귀환, 이명박
12장 유신 스타일 박근혜 정부
13장 문재인 정부의 등장과 중간 평가
추천 도서
한국 주요 정당 계보도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자본주의 경쟁 질서와 자본주의적 계급 관계가 사회 변화의 동인이라고 설명한다. 이것은 따분하고 고답적인 과정이 아니다. 역사유물론으로 설명하는 역사는 살아 숨 쉬는 인간들이 사회구조 속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힘과 이해관계를 발견해 발휘하거나 그런 해방의 과정이 가로막히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투쟁이다.
해방 정국을 이해하는 출발점은 제국주의에 대한 이해다. 세계적 강대국들의 경쟁 관계와 그 변화가 한반도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야 그 시기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1948년 8월에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는 진정한 해방을 바라고 격렬한 계급투쟁을 벌인 노동자·민중의 무덤 위에 친미적 성격과 노동계급에 적대적인 성격을 띠고 건설됐다. 노동계급은 이 ‘건국’에 어떠한 동질감도 느낄 수 없다. 자랑스러워할 만한 것이 아님은 두말하면 잔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