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79869361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2-09-3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제1장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제2장 포스트휴머니즘의 계보학
제3장 포스트휴먼과 다양한 양상
제4장 과학소설 - 문화비판과 기술철학 사이에서
제5장 ‘포스트휴먼 과학’의 새로운 간학문성
제6장 정보사회의 사이버컬처, 디지털, 비주얼 현실 그리고 뉴미디어
제7장 포스트휴머니즘의 특성 - 주체와 체계 사이에서
참고문헌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저자 이력
옮긴이 이력
책속에서
모든 가치를 포스트휴먼적으로 가치전환 하는 순간 발생하는 방향성 상실은 인류학적인 질문, 그러니까 휴머니즘의 혼란이라는 위험 앞에서 ‘인간 이후’를 규정하는 것을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만든다. 니체가 ‘모든 가치의 전복’이라고 말한 것은 가치의 절하나 파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다른’ 인간의 발견을 의미한 것이다. 따라서 도전이라는 것은 한편으로는 ‘너무나 인간적인 것’의 기술적 연속선상에서 니체의 비판을 계속 강화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 ‘그 자체’를 완전히 새롭게, 즉 탈인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인간 존재는 아직 도달되지 못한 것이며 기술적 증명이라는 환상 때문에 오히려 더 불투명해져 버린 특이한 것이다. 결국 니체는 어쩔 수 없이 포스트휴머니즘과 동행하면서 안내한다. 왜냐하면 그 무엇인가를 규정해야 한다는 것은 무언가를 요구함과 동시에 단절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 무엇인가 다가오는 종말을 설명하고 가속화하며 선취하고 새롭게 해석하거나 또는 아예 외면해 버리기 위해서인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휴머니즘의 ‘계보학’은 무엇보다 이러한 욕망을 찾아나서는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라는 접두어는 휴머니즘과 극단적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리오타르가 ‘포스트모던’에서 주장했던 바로 그 ‘포스트’의 지속적인 해체-심리분석적인 ‘재처리’를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포스트휴머니즘과 기술문화 사이에 아주 밀접한 동일화가 발생하는 것이다. 휴머니즘은 항상 포스트휴머니즘과 함께했으며, 적어도 포스트휴먼의 영혼이자 동시에 휴머니즘을 새롭게 하는 결과를 불러오는 인간의 종말과 함께했다. 포스트휴머니즘은 항상 ‘기괴한’ 방법으로 숨겨놓으려 했던 휴머니즘 전통에 부분적으로 억눌려 있던 것이다(Chambers, 2001 참조). 따라서 분명히 피할 수 없는 기술적 종말론과 인간 종의 기술 진화적 해체는 휴머니즘 내에서 그리고 휴머니즘을 통해서 포스트휴머니즘을 억압하는 순간일 수 있다. 비휴먼적인 것에 매료되는 것과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항상 휴머니즘의 한 부분이었으며 휴머니즘의 규범적 레퍼토리에 속한다. 결국 휴머니즘의 밑바탕에는 인간적인 것과 인간적이지 않은 것의 ‘이중대립’이 놓여 있다. 그러므로 포스트휴먼 이념에 맞서는 논의는 적절하지 않으며, “항상 휴머니즘 내부에서 행해지는 인간적인 것과 인간적이지 않은 것 사이의 이중적인 대립의 해체”(Badmington, 2001: 16)에 귀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간중심주의는 항상 자기 자신을 극복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Badmington, 2003: 19)
그리스-로마 고전시기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신플라톤주의적이며 기독교적인 초기 유럽화 단계를 거쳐 르네상스 인간중심주의와 계몽주의에 이르는 단계, 근대의 산업화 과정에서 19세기와 20세기의 반휴머니즘으로 이어지는 단계, 그리고 현재의 포스트휴먼 단계와 몇몇 유토피아주의자들이 대변하는 트랜스휴먼 단계에 이르기까지 휴머니즘은 각 시대마다 괄목할 만한 적응력을 보여주었다. 근대의 시작과 도전에 직면하여 (학문, 진화론, 심리분석, 마르크스주의, 존재론, 글로벌화, 기술화) 휴머니즘은 신학적·종교적 기원을 세속화하고(프랑스 혁명) 정치화하였으며(자유주의) 경제화하였다(자본주의). 이 과정은 비교적 성공적이었으며 ‘건강한 인간이성’은 국제적이며 글로벌한 차원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휴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전쟁을 치렀을 뿐 아니라 가난한 자들에 대한 원조도 이루어졌다. 휴머니즘 교육이념은 근대 대학이념의 토대를 이루었고 휴머니즘 미학은 글로벌한 서구문화의 토대를 이루었다. 휴머니즘의 도덕 가치는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프로메테우스적인 역사에 영감을 불어넣어주었으며, 인간의 고통과 죽음을 극복하기 위한 선택과 결정 능력을 마련해 주었다. 이렇게 의미심장한 역사에 찬사의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하지만 바로 이것이 휴머니즘의 자기기만이다. 인류의 미래와 인간의 자연적·문화적 환경에 대한 근심 때문에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스트들을 ‘잘못된 인종’으로 만들어버린다. “잘못된 인종을 추가하는 것이 사회의 유일한 희망이라는 인식을 그 누가 숨길 수 있을까?”(Cottom, 2006: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