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현대 미학사

중국 현대 미학사

(중국 근현대 사상가 11인의 심미적 사유, 중국편)

장치췬 (지은이), 신정근, 송인재, 안인환 (옮긴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8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현대 미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현대 미학사 (중국 근현대 사상가 11인의 심미적 사유, 중국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79869392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3-01-20

책 소개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혼자서 읽을 수 있는 번역’을 목표로 번역된 동아시아 예술미학 총서 두 번째 권. 이 책은 통상적인 중국미학사가 끝나는 시점인 명청시대를 뒤이어 서술을 이어나간다.

목차

간행사: ‘동아시아예술미학총서’를 발간하며
옮긴이 서문
일러두기
지은이 서문: 중국 미학 연구의 학술성 문제

<제1부>
제1장 왕궈웨이王國維의 미학 연구
: 중국과 서양의 학술 교차점에서 피어난 사유
1. 서양 학문과 미학
2. 중국 철학의 변증: 중국 미학의 기초
3. ‘고아古雅’로부터 ‘경계境界’까지

제2장 차이위안페이蔡元培의 미학 연구
: 미육으로 종교를 대체하자
1. 중국 철학사의 학술 관념
2. 서양 미학: 이론과 역사
3. 미육으로 종교를 대체하자
보론: 량치차오梁啓超의 ‘취미趣味’설과 미육관

제3장 덩이저鄧以蟄와 텅구?固의 미학 연구
: 예술적 사고
1. 덩이저의 미학 연구: 예술·시·역사
2. 텅구의 미학 연구: 중국 예술사와 미학

제4장 쭝바이화宗白華의 미학 연구
: 현대 중국 미학의 체계 의식·관념 그리고 방법
1. 중국 형이상학과 그 최고 경계
2. 중국 예술의 이상과 특징
3. 중국 미학 연구의 독창적 방법
보론: 위민于民의 ‘기화조화氣化諧和’론

제5장 쉬푸관徐復觀의 미학 연구
: 무엇이 중국 예술 정신인가?
1. 인생을 위한 예술: 공자의 가장 높은 경계와 음악
2. 장자와 중국 예술 정신
3. 과연 중국 예술 정신이란 무엇인가?: 쉬푸관 관점에 대한 질의

<제2부>
제6장 “미는 전형이다”설
: 차이이蔡儀의 미학 연구와 이론
1. 『신미학』의 역사 유물론
2. “미는 전형이다”와 ‘미의 법칙’

제7장 사물의 형상설
: 주광첸朱光潛의 주객관 통일론의 현대적 학술 의식
1. ‘물갑物甲’과 ‘물을物乙’
2. 사변적인 것과 실증적인 것
3. 주광첸의 미학과 20세기 서양 철학

제8장 ‘침적[積澱]’설
: 리쩌허우李澤厚의 실천 미학과 전통 유가 사상으로의 회귀
1. ‘자연의 인간화’에서 ‘새로운 감성[新感性]’의 수립까지
2. 『미의 역정』
3. 유학으로의 회귀

제2부 소결론
보론: 실천 미학은 왜 끝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가?
에필로그

부록
지은이의 주요 참고서적 목록
옮긴이의 참고문헌
지은이·옮긴이 소개
찾아보기

저자소개

장치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후이성 우웨이無爲 출신으로 안후이대학 중문과에서 문학을 전공하고(1982), 베이징대학 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1989, 1999). 현재 베이징대학 철학과 미학연구실 교수로서 박사지도 자격을 가지고 있다. 주된 관심 분야는 서양미학사?해석학?위진 사상이지만, 글을 보면 그는 동서고금의 미학을 넘나들며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벌이고 있다. 저서로 『철학자와 시: 서양 현대 미학 문제의 철학적 근원』(1994), 『가다머 전기』(1998), 『위진시대의 자연관을 논하다: 중국 예술 자각의 철학 고찰』(2000), 『의미의 본체론: 철학적 해석학』(2003), 『신편 서양미학사』(2004), 『서양 고대 시학과 미학』(2004), 『오늘날의 정체는 무엇인가? 철학의 언어로 말하다』(2006), 『경륜과 공상: 진한위진남북조 시대의 정신문명』(2009) 등이 있다. 『철학 연구』 『문사철』 등의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신정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마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동양철학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 인문예술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동양철학회 수석부회장을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학장, 유학대학원 원장, 유교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인문예술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동양 철학과 미학을 내재적 맥락에서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현대 철학의 맥락에서 재구성하는 데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 『사람다움의 발견』, 『동중서: 중화주의의 개막』, 『철학사의 전환』, 『중용이란 무엇인가?』,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 『인권유학』 외 다수가 있고, 주요 역서로 『중국미학사』(공역), 『중국현대미학사』(공역), 『공자씨의 유쾌한 논어』, 『백호통의』, 『신원인』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송인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미래융합스쿨 교수. 간양과 왕후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중국현대사상, 개념사, 디지털인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중국의 길과 결부된 문화 담론, 중국의 근대화와 동행한 개념, 중국어권 디지털인문학을 주제로 집필을 하고 있다. 왕후이의 『아시아는 세계다』 『절망에 반항하라』 『단기 20세기』, 쉬지린의 『왜 다시 계몽이 필요한가』, 자오팅양의 『상실의 시대, 동양과 서양이 편지를 쓰다』 등 현대 중국 지식인의 사유가 담긴 저서를 번역하고, 간양과 왕후이의 사상을 이론적으로 해설한 『간양』 『왕후이』 등을 집필했다.
펼치기
안인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 마포 한강변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에서 한국철학과 중국철학을 공부했으며, 성균관대와 중국 칭화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베이징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중국대중문화, 그 부침의 역사』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중국철학의 근본적 재구성을 위한 여정』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한국과 중국이 서로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한 학술적 소통의 내용과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금까지 중국 미학은 우리에게 역사적 전개, 부친 살해의 미학사 그리고 중요한 미학 사상과 사상가 등이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았다. 중국 미학은 글자 그대로 느닷없이 쉬푸관과 리쩌허우 그리고 장파처럼 대가 위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하지만 이 책은 우리에게 쉬푸관과 리쩌허우가 뛰어나지만 그들의 선배인 왕궈웨이, 주광첸, 쭝바이화가 일궈놓은 토양 위에서 자라난 후속 세대라는 것을 알려준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선배와 후배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각자의 관점으로 중국 근현대의 미학을 꽃피워낸 발자취를 확인하고, 또 우리가 한국의 현대 미학을 개척하기 위해서 협연해야 할 선후배의 역할을 성찰하게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회화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논의된 ‘한국미’와 문학 분야에서 요즘 자주 이야기되는 ‘한시 미학’이 동아시아의 미학적 전통과 연계되어 그 정체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기를 희망한다.
|‘옮긴이 서문’ 중에서


서양을 배우려는 거대한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중국학자들은 서양의 미학 관념과 방법을 중국 전통의 학술과 예술에 결합시켜 어렵고도 소중한 탐색을 했다. 뛰어난 학자들의 머릿속에는 늘 “무엇이 중국 미학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가 빙빙 맴돌고 있었다.
|‘제1부 도입’ 중에서


1919년 ‘5?4운동’시대로부터 마르크스주의가 중국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초기 마르크스주의의 기본 이론을 운용해 문예 사상 방면에서 선전을 한 사람으로 취추바이瞿秋白?궈모뤄郭沫若?후펑胡風?펑쉐펑馮雪峰?저우양周揚 등이 있다. 1942년에 마오쩌둥이 「옌안 문예 좌담회에서 공포한 담화[在延安文藝座談會上的談話]」를 발표했는데, 이는 중국적 마르크스주의의 문예 이론의 수립이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의 방법, 즉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 유물론의 방법을 운용해서 체계적인 미학 이론을 연구한 것은 차이이蔡儀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 마르크스주의 미학 연구가 거시적인 대조류를 이룬 것은 주로 20세기 후반의 일이다. 중국적 마르크스주의 미학 연구는 나름대로 독특한 성과를 가지고 있다.
|‘제2부 도입’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