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79869392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3-01-20
책 소개
목차
간행사: ‘동아시아예술미학총서’를 발간하며
옮긴이 서문
일러두기
지은이 서문: 중국 미학 연구의 학술성 문제
<제1부>
제1장 왕궈웨이王國維의 미학 연구
: 중국과 서양의 학술 교차점에서 피어난 사유
1. 서양 학문과 미학
2. 중국 철학의 변증: 중국 미학의 기초
3. ‘고아古雅’로부터 ‘경계境界’까지
제2장 차이위안페이蔡元培의 미학 연구
: 미육으로 종교를 대체하자
1. 중국 철학사의 학술 관념
2. 서양 미학: 이론과 역사
3. 미육으로 종교를 대체하자
보론: 량치차오梁啓超의 ‘취미趣味’설과 미육관
제3장 덩이저鄧以蟄와 텅구?固의 미학 연구
: 예술적 사고
1. 덩이저의 미학 연구: 예술·시·역사
2. 텅구의 미학 연구: 중국 예술사와 미학
제4장 쭝바이화宗白華의 미학 연구
: 현대 중국 미학의 체계 의식·관념 그리고 방법
1. 중국 형이상학과 그 최고 경계
2. 중국 예술의 이상과 특징
3. 중국 미학 연구의 독창적 방법
보론: 위민于民의 ‘기화조화氣化諧和’론
제5장 쉬푸관徐復觀의 미학 연구
: 무엇이 중국 예술 정신인가?
1. 인생을 위한 예술: 공자의 가장 높은 경계와 음악
2. 장자와 중국 예술 정신
3. 과연 중국 예술 정신이란 무엇인가?: 쉬푸관 관점에 대한 질의
<제2부>
제6장 “미는 전형이다”설
: 차이이蔡儀의 미학 연구와 이론
1. 『신미학』의 역사 유물론
2. “미는 전형이다”와 ‘미의 법칙’
제7장 사물의 형상설
: 주광첸朱光潛의 주객관 통일론의 현대적 학술 의식
1. ‘물갑物甲’과 ‘물을物乙’
2. 사변적인 것과 실증적인 것
3. 주광첸의 미학과 20세기 서양 철학
제8장 ‘침적[積澱]’설
: 리쩌허우李澤厚의 실천 미학과 전통 유가 사상으로의 회귀
1. ‘자연의 인간화’에서 ‘새로운 감성[新感性]’의 수립까지
2. 『미의 역정』
3. 유학으로의 회귀
제2부 소결론
보론: 실천 미학은 왜 끝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가?
에필로그
부록
지은이의 주요 참고서적 목록
옮긴이의 참고문헌
지은이·옮긴이 소개
찾아보기
책속에서
지금까지 중국 미학은 우리에게 역사적 전개, 부친 살해의 미학사 그리고 중요한 미학 사상과 사상가 등이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았다. 중국 미학은 글자 그대로 느닷없이 쉬푸관과 리쩌허우 그리고 장파처럼 대가 위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하지만 이 책은 우리에게 쉬푸관과 리쩌허우가 뛰어나지만 그들의 선배인 왕궈웨이, 주광첸, 쭝바이화가 일궈놓은 토양 위에서 자라난 후속 세대라는 것을 알려준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선배와 후배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각자의 관점으로 중국 근현대의 미학을 꽃피워낸 발자취를 확인하고, 또 우리가 한국의 현대 미학을 개척하기 위해서 협연해야 할 선후배의 역할을 성찰하게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회화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논의된 ‘한국미’와 문학 분야에서 요즘 자주 이야기되는 ‘한시 미학’이 동아시아의 미학적 전통과 연계되어 그 정체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기를 희망한다.
|‘옮긴이 서문’ 중에서
서양을 배우려는 거대한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중국학자들은 서양의 미학 관념과 방법을 중국 전통의 학술과 예술에 결합시켜 어렵고도 소중한 탐색을 했다. 뛰어난 학자들의 머릿속에는 늘 “무엇이 중국 미학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가 빙빙 맴돌고 있었다.
|‘제1부 도입’ 중에서
1919년 ‘5?4운동’시대로부터 마르크스주의가 중국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초기 마르크스주의의 기본 이론을 운용해 문예 사상 방면에서 선전을 한 사람으로 취추바이瞿秋白?궈모뤄郭沫若?후펑胡風?펑쉐펑馮雪峰?저우양周揚 등이 있다. 1942년에 마오쩌둥이 「옌안 문예 좌담회에서 공포한 담화[在延安文藝座談會上的談話]」를 발표했는데, 이는 중국적 마르크스주의의 문예 이론의 수립이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의 방법, 즉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 유물론의 방법을 운용해서 체계적인 미학 이론을 연구한 것은 차이이蔡儀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 마르크스주의 미학 연구가 거시적인 대조류를 이룬 것은 주로 20세기 후반의 일이다. 중국적 마르크스주의 미학 연구는 나름대로 독특한 성과를 가지고 있다.
|‘제2부 도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