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69956864
· 쪽수 : 642쪽
· 출판일 : 2025-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옮긴이 글
1. 그들은 왜 사회주의를 선택했는가?
1) 중국에서 진행된 자산계급 공화국 방안의 실험과 실패
2) 세계적 규모의 거대한 사상적 변화가 중국에 끼친 영향
3) 사회주의적 기치를 내걸었던 새로운 흐름들 간의 비교
4) 5・4 운동, 중국 역사에서 새로운 시대를 연 출발점
2. 신해혁명에서 중국공산당의 창당까지
1) 신해혁명
2) 5・4 운동
3) 중국공산당의 창당
3. 제1차 국공합작과 대혁명
1) 왜 1920년대 중반에 대혁명이라는 것이 발생했을까?
2) 제1차 국공합작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3) 제1차 국공합작은 무엇을 초래했는가?
4) 절정으로 치닫는 대혁명과 본격화된 장제스의 반공反共 활동
5) 북벌의 성공적인 전개와 장제스의 반공 쿠데타
6) 공산당의 계속된 타협과 양보, 그리고 실패로 끝난 대혁명
7) 맺음말
4. 중국공산당의 제6차 전국대표대회에 대한 역사적 고찰
1) ‘좌편향’적 맹목주의의 광풍
2) 모색과 진전의 과정에서 나타난 방황
3) 코민테른의 2월 결의와 그것이 끼친 영향
4) 중국공산당 제6차 전국대표대회의 성과와 한계
5) 간략한 맺음말
5. 중국공산당이 혁명적 시기에 보여준 3차례의 ‘좌편향’적 오류에 대한 비교 연구
1) 대혁명의 실패와 첫 번째 ‘좌편향’적 오류
2) 다시 고조된 혁명과 두 번째 ‘좌편향’적 오류
3) ‘코민테른 노선’과 세 번째 ‘좌편향’적 오류
4) 오류 형성의 근본 원인
6. 쭌이회의遵義會議: 중국공산당의 역사적 전환점
1) 차이의 본질
2) 모순의 격화
3) 역사적 전환
4) 새로운 전통의 형성
7. 구이저우 시기 중앙 홍군에 나타난 몇 가지의 중차대한 문제들
1) 중앙 홍군이 구이저우로 들어간 이유
2) 정치적 세력들에 대한 분석
3) 리핑黎平에서 쭌이遵義까지
4) 츠수이를 4차례 건너 서쪽의 윈난으로 들어가다
5) 결론
8. 항일 전쟁을 앞두고 이루어진 중국공산당 중앙의 전략적 결정
1) 산베이에 도착한 중앙 홍군
2) 와야오부瓦窯堡 회의
3) 동쪽으로의 진격과 진시晉西 회의
4) 양광 사변兩廣事變과 국민당 제5기 중앙위원회 2차 전체회의가 가져온 반향
5) 장제스에게 항일을 압박하기 위한 중국공산당 중앙의 지시
6) 시안 사변西安事變의 발발 전후
9. 12월 회의로부터 제6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에 이르기까지
1) 항일 전쟁의 발발 초기, 중국공산당 중앙의 대응 전략
2) 왕밍의 귀국과 12월 회의
3) 창장국長江局의 설치와 3월 회의
4) 코민테른에서 진행된 논의들
5) 중국공산당의 확대 제6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
6) 맺음말
10. 항일 전쟁과 중화민족의 새로운 각성
1) 민족의식의 새로운 경지高度
2) 마음속에 깊이 새겨진 민주 관념
3) 더 많은 이들의 곁으로 다가간 중국공산당
4) 나가며
11. 마오쩌둥과 장제스의 3대 전략적 결전
1) 마오쩌둥에 관하여
2) 장제스에 관하여
12. 중국 사람들이 이제 떨쳐 일어섰다
1) 공화국 수립을 위하여
2) 신중국 수립의 청사진을 그리다
3) 첫걸음을 뗀 인민공화국
13. 신중국의 첫해
14. 신중국의 첫 30년
1) 사회주의적 제도의 확립에 관해
2) ‘대약진’에 관해
3) ‘문화대혁명’에 관해
15. 신新민주주의 사회와 사회주의 초급 단계
16.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서 제12차 전국대표대회까지
1)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의 전야前夜
2) 그 시작은 사상 노선을 바로잡는 것으로부터
3) 새로운 시기에 맞는 기본적 구조의 마련
4) 혼란의 수습과 본격화된 개혁개방
5) 치켜 든 중국적 특색사회주의라는 기치
17. 세기의 교차점에서의 회고와 전망
1) 20세기 중화민족의 역정歷程
2) 굳게 움켜잡아야 할 미증유의 역사적 기회
3) 다가오는 새로운 세기
18. 21세기 초 중국공산당의 행동강령
1) 21세기에 마주한 새로운 정세
2) 높이 치켜든 위대한 기치, 덩샤오핑 이론과 주요 사상인 ‘3가지의 대표’의 전반적 구현
3) 소강 사회의 전반적 건설
4) 본격화된 새로운 위업으로서의 당 건설
참고문헌
1) 간행물
2) 단행본
3) 해외 간행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