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93958522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2-07-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는 말
제1장 대중과 대중문화, 그리고 지식인
1 '대중'개념의 변천과 양가兩價적 해석
'대중'담론의 변화 양상과 지식인의 가치지향|부정적 형상으로서'군중'|긍정적 형상으로서의 '대중'|대중의 또 다른 이름, '다중'
2 '지식인 중심'적 대중문화 담론
문화적 소수를 위한 대중문화 담론|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대중문화담론|현대적 '지식인'과 '지식인 중심성'
3 '대중 중심'적 대중문화 담론
'문화'에서 '대중문화'로|피스크의 대중문화 담론
제2장 1920 · 30년대 중국 지식인의 대중/대중문화 담론
1 중국적 '대중' 담론의 형성
대중 개념의 중국적 변천 과정|대중 개념의 발전과 계문주의적 지식인|대중 개념을 둘러싼 지식인의 위기
2 중국적 '계급대중'과 사회주의적 혁명문화 담론
'계급대중'과 타자화된 지식인|사회주의 혁명문화 담론의 형성과 혁명적 지식인
3 현대적 '대중'과 '대중문화'담론
현대적 '대중'출현의 중국적 의의|현대적 '대중문화' 담론의 양상
제3장 개혁개방 이후 중국 지식인의 대중문화 담론
1 연속되는 대중문화 경계境界 담론
2 '중국적 비판이론' 패러다임의 지식인 중심성
프랑크푸르트 학파 '비판이론'의 중국 유입|'인문정신'과 비판이론 패러다임|'중국적 비판이론'과 중국 대중문화연구의 토착화
3 '신좌파新左派' 패러다임의 지식인 중심성
'신좌파'의 형성과 계급적 대중문화 담론의 재출현|'신좌파' 패러다임의 자기모순|'정치주의'와 '반문화'정서
4 '현대화이론' 패러다임과 대중 중심성
'세속정신'의 중국적 의의|'현대화이론' 패러다임의 대중문화 담론|'역사적 맥락' 중시의 대중문화 담론 비판|'학술경제'와 탈현대적 대중문화 담론
마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