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83718921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7-10-27
책 소개
목차
추천의 말
서문
1부 단독형 무지개떡 건축
2층 한옥상가: 무지개떡 건축의 탄생
충정아파트: 한 건물이 바라본 한국 근현대사
야마토아파트: 허구와 실제 사이
서울역 앞 관문빌딩: 최초의 주상복합?
미동아파트: 거리형 아파트의 전형
원효아파트와 금성아파트: 도시의 활력을 위한 실마리
서소문아파트: 물길 따라 휘어진 선형아파트
삼각아파트: 중규모 상가아파트의 전형
피어선아파트: 최고급 도심형 주상복합건축의 원조
안산맨숀: 수직의 마을
대구 명륜로 한양가든테라스: 나의 길을 가련다
중곡동 주거복합: 동네에 뿌리내린 열린 건물
인천 구월동 앤하우스: 작은 집 큰 공간
2부 단지 결합형 무지개떡 건축
고은아파트, 연화아파트, 홍파아파트: 소규모 단지형 상가아파트
구반포 노선상가아파트: 이별의 카운트다운
타워팰리스: ‘초고층 주상복합’이라는 현상
3부 시장 결합형 무지개떡 건축
좌원상가아파트: 지명도 낮은 건물의 수수께끼
세운상가: 역설의 교훈
낙원빌딩: 한 시대가 낳은 우발적 실험
효자아파트: 전통시장과 한 몸
원일아파트: 시장과 집을 잇는 도시적 드라마
유진상가: 상가아파트라는 하이퍼텍스트
대신아파트: 1970년대의 실험 정신
성요셉아파트: 지형에 순응한 선형식 아파트
숭인상가아파트: 아파트가 흐르는 천변풍경
4부 해외 도시의 무지개떡 건축
싱가포르 골든마일: 싱가포르의 세운상가
쿠알라룸푸르 전통 상가주택: 다양성과 통일성의 조화
방콕 호프: 진화하는 상가주택
시드니 상가주택: 주민과 관광객이 공존하는 곳
평양 상가아파트: 한반도의 보편적 도시건축을 찾아서
부록
무지개떡 건축 타임라인
무지개떡 지수
무지개떡 건축 용적률
무지개떡 건축 답사 가이드
무지개떡 건축 답사 코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무지개떡 건축 중에서도 주로 상가아파트의 전체적 구성, 그리고 건물과 도시가 만나는 방식에 주로 관심을 둔다. 즉 개별 상가아파트의 특성 못지않게 도시건축의 유형으로서 상가아파트의 보편적 가치를 조망하고, 그 존재를 다시 알리며, 나아가 이를 재구성하여 현대에 다시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의 산물이다.(서문)
우선 단독주택은 기본 밀도의 문제를 도저히 해결할 수 없으므로 보편적 유형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 기존의 단지형 아파트는 의외로 토지 이용의 효율도 높지 않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도시의 기본 에너지인 거리의 활력에 전혀 기여하지 못한다. 기존의 다가구, 다세대, 연립주택 들은 기본 밀도는 어느 정도 충족하고 도시 맥락의 유지에도 공헌하지만 대부분 주거 단일 용도인 경우가 많아 거리에 대해서 방어적인 입장을 취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도시의 기본 밀도를 충족하면서 복합 기능을 통해 거리의 활력에 기여하고, 도시의 기존 맥락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주인구와 유동인구의 적절한 균형을 확보할 수 있는 유형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무지개떡 건축이다. 그리고 그 시원적 형태를 찾아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상가아파트다.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