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84114258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3-08-16
책 소개
목차
제4장 서진원강현학西晉元康玄學
제1절 원강현학 형성의 시대적 배경 및 사상개황 3
제2절 배외의 「숭유론」 사상 11
1. 배외의 생애와 저작_11
2. 배외의 「숭유론」 철학사상 및 현학의 귀무사상에 대한 비판_33
3. 중국철학사에서 배외 「숭유론」의 지위_47
제3절 구양건과 “언의지변” 55
제4절 곽상의 현학사상 70
1. 곽상의 생애와 저작_70
2. “조물자무주造物者無主”와 “물각자조物各自造”의 자연관_99
3. “변화일신變化日新”의 발전관_147
4. “무심순유無心順有”에서 “부지위종不知爲宗”에 이르는 인식론_175
5. 곽상의 인생관과 사회정치사상_202
제5장 서진과 동진 사이의 현학
제1절 서진과 동진 사이의 현학 방달파 사상 조류 245
제2절 『열자』의 현학사상 252
1. 『열자』라는 책의 위작_252
2. 『열자』의 사상_257
제6장 동진의 현학
제1절 동진 시기의 사상 분위기 286
1. 방달 기풍의 만연_286
2. 현학흥성에 대한 예법학자들의 비판_288
3. 불교사상과 현학의 결합_291
4. 청담사상의 빈곤_292
제2절 장담의 사상 296
1. 원기설과 귀무론―장담의 자연관_296
2. 이치의 추리理推와 현묘한 관조玄照―장담의 인식론_309
3. 무위론과 순성론―장담의 사회정치관_318
4. 운명론運命論과 종욕론縱欲論―장담의 인생관_328
제7장 위진현학과 불교
제1절 반야학의 현학화 349
제2절 요진 시대 삼론학과 현학의 결합 390
제3절 남조 불교에 대한 현학의 영향 408
제8장 위진현학과 도교
제9장 위진현학과 문학예술
참고문헌 486
색인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