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금강삼매경론 - 상

금강삼매경론 - 상

원효 (지은이), 원효학 토대연구소 (옮긴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4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6,550원 -5% 0원
1,470원
45,0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44,0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금강삼매경론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금강삼매경론 - 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84119918
· 쪽수 : 612쪽
· 출판일 : 2020-12-31

책 소개

‘원효전서 번역총서’의 세 번째 책. 울산대 원효학 토대연구소에서 원효전서 독회세미나를 거쳐 확정된 『금강삼매경론』의 번역을 싣고 있다.

목차

원효전서를 번역하면서 · 5
일러두기 · 16
차이(相)들의 ‘상호개방’(通)과 ‘상호수용’(攝)―『금강삼매경론』과 차이 통섭의 철학: 원효와 붓다의 대화(Ⅱ) · 28
『금강삼매경』과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 174

제1편 전체의 취지를 기술(述大意) · 191

제2편 경전의 핵심내용을 밝힘(辨經宗)

Ⅰ. 합치는 방식(合): 한 맛[처럼 서로 통하는 진리다운] 이해와 [그 이해에 의거한] 수행(一味觀行) · 201
Ⅱ. 펼치는 방식(開): 열 가지 진리 전개방식(十重法門) · 208

제3편 [『금강삼매경론』이라는] 명칭을 해석함(釋題目)

Ⅰ. 금강을 풀이함(釋金剛) · 219
1. 해석(釋) · 220
2. 차이를 구분함(簡別) · 222
1) 선정과 지혜를 구분(簡定慧) · 222
2) 다른 선정들과 구별함(別餘定) · 223
Ⅱ. 삼매[라는 명칭을] 해석함(釋三昧) · 229
1. 해석(釋) · 229
2. 차이를 구분함(簡別) · 232
1) [삼매의] 갖가지 명칭을 구별(別諸名) · 233
2) [삼매의 갖가지 명칭들이] ‘통하는 영역’(通)과 ‘제한되는 영역’(局)을 밝힘(明通局) · 237

제4편 경문의 뜻을 자세히 풀어냄(消文義)


Ⅰ. 시작하는 부분(序品) · 243
1. [모든 경전에] 공통적인 서론(通序): 여섯 가지 일(六事) · 244
2. [이 경전에만 해당하는] 별도의 서론(別序) · 245

Ⅱ. [경의 내용을] 본격적으로 설한 부분(正說分) · 257

1.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차별된] 차이가 없다는 도리[를 주제로 하는] 단원(無相法品) · 264
1) 선정에서 나오는 부분(出定分) · 266
2) 말을 일으키는 부분(起說分) · 266
(1) 산문[의 형식을 띤 문장](長行) · 268
① 간략하게 밝히는 부분(略標分) · 268
② 자세하게 설명한 부분(廣說分) · 277
가. [설법을] 청함(請) · 278
나. 설법함(說) · 281
가) 질문을 칭찬하며 설법[요청]을 받아들임(讚問許說) · 283
나) [설법을] 청하는 것에 응하여 설법함(對請宣說) · 286
(가)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차별된] 차이가 없음에 대한 이해를 밝힘(明無相觀) · 287
㉮ [진리다운] 이해와 [이해에 의거한] 수행의 면모를 곧바로 말함(直說觀行之相) · 287
㉯ [문답을] 주고받으면서 갖가지 의문과 난점을 해결함(往復決諸疑難) · 296
ㄱ. 첫 번째 문답: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 차별된] 차이를 두는 것을 깨뜨리는 측면을 총체적으로 밝힘(摠明破有相門) · 296
ㄴ. 두 번째 문답: 두 가지 결박에서 벗어나는 측면을 하나씩 드러냄(別顯離二縛門離二縛門) · 305
ㄱ) 자아에 대한 집착을 다스림(治人執) · 307
ㄴ) 현상에 대한 집착을 다스림(治法執) · 312
ㄷ. 세 번째 문답: [불변·독자의 본질/실체가 있다는 허물을] 없애 주는 견해의 약을 나타냄(顯能滅之見之藥) · 316
ㄹ. 네 번째 문답: 망상분별로 헤아린 이해로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서] 생겨난다[는 견해]에 머무르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나타냄(顯妄解不離生住) · 321
(나) 하나처럼 통하게 하는 깨달음을 성취한 마음을 드러냄(顯一覺心) · 326
㉮ <하나처럼 통하게 하는 깨달음인 ‘여래의 면모가 간직된 창고’>(一覺如來藏)의 뜻을 곧바로 자세하게 설명함(正廣一覺如來藏義) · 327
㉯ 갖가지 의문과 논란을 없앰(遣諸疑難) · 351
(2) 게송[의 형식]으로 거듭 읊음(重頌) · 405
3) 이로움을 얻는 부분(得益分) · 416

2. [불변·독자의 본질/실체로서] 생겨난 것이 없다는 [이해에 의거한] 수행 [을 주제로 하는] 단원(無生行品) · 421
1) [가르침의 내용을] 본격적으로 설함(正說) · 423
(1) 문답을 주고받음(往復問答) · 424
(2) 되물어서 문답함(反徵問答) · 444
(3) 보살이 핵심을 이해함(領解) · 473
(4) 여래의 설명이 마무리됨(如來述成) · 475
2) 게송으로써 [부처님이] 설한 것을 찬탄함(以偈讚說) · 476
3) 설법을 듣고 이로움을 얻음을 밝힘(明聞說得益) · 478

3. 깨달음의 본연[인 ‘사실 그대로 앎’]이 지닌 이로움[을 주제로 하는] 단원(本覺利品) · 480
1) 깨달음의 본연[인 ‘사실 그대로 앎’]이 지닌 이로움을 자세하게 밝힘(廣明本覺利益) · 482
(1) 움직임에 의거하여 고요함을 밝혀 ‘[깨달음의] 본연[인 ‘사실 그대로 앎’]이 지닌 이로움의 핵심’을 간략히 나타냄(因動明靜, 略標本利之宗) · 483
(2) [깨달음의] 본연[인 ‘사실 그대로 앎’]이 지닌 이로움의 면모를 자세하게 설명함(廣演本利之義) · 489
① 곧바로 자세히 설명함(直廣) · 489
② 거듭 설명함(重演) · 494
가. [‘사실 그대로’를] 비로소 깨달아 감을 설명함(演始覺) · 494
나. 깨달음의 본연[인 ‘사실 그대로 앎’]이 지닌 면모를 설명함(演本覺義) · 516
2) 게송으로써 [부처님이] 읊은 것을 찬탄함(以偈讚頌) · 552
3) 당시의 대중들이 이익을 얻음(時衆得益) · 554

번역어 색인 557

저자소개

원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라 진평왕 39년(617) 압량군 불지촌(현 경북 경산)에서 출생했다. 소년 때(16세) 출가하여 여러 스승을 찾아다니며 치열하게 수행하였고, 지음知音의 도반 의상義相(625-702)과 함께 당나라 유학을 시도하다가 깨달음 성취로 인한 자신감이 생겨 유학을 그만두었으며, 서민 대중들에게는 신뢰와 희망의 대상이었고, 권력과 제도권 승려들에게는 불편하면서도 경외의 대상이었던 인물. 왕족 과부와 결혼하여 신라 십현十賢의 한 사람이 된 설총薛聰을 낳고는 환속하여 비승비속非僧非俗인 거사居士로서 수행하기도 하였던 인물. 특정한 삶의 유형과 진영에 소속되거나 머물지 않으려고 몸부림치듯 내달렸던 인물. 신분이 미천한 대중과 어울리며 그들에게 부처 되는 길을 알리려고 춤과 노래 등 다양하고도 파격적인 실험을 하였고, 심오한 체득과 혜안을 웅혼한 필력으로 종횡무진 글에 담아내어 당대 최고 수준의 불교지성을 동아시아 전역에 흩뿌렸던 인물. 인도의 불교논리학 대가인 진나陳那(Dignāga)의 문도가 당나라에 왔다가 입수하여 읽고는 감탄하여 산스크리트어로 번역해 인도에 보냈다는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을 지은 인물. 그와의 밀접한 연관에서 한반도에서 찬술된 것으로 보이는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에 관한 최초/최고의 주석인 『금강삼매경론』을 저술하여 자신의 불교 탐구와 안목을 총정리하고 있는 인물. 만년에는 토굴같이 누추한 절(穴寺)에서 수행하다가 그곳에서 삶을 마감하였던 인물. ―현존하는 원효 관련 기록에서 포착되는 단면들이다. 이칭異稱, 진찬眞撰 여부 등을 감안할 때, 대략 80여 부 200여 권이 확인되는 그의 저술의 양과 질은 당시 동아시아를 통틀어 가히 최고 수준이다. 양으로만 보아도 한반도에서 그를 능가하는 경우가 없을 뿐 아니라, 중국의 대저술가였던 천태 지의智顗(538-597, 30여 부)나 화엄 법장法藏(643-712, 50여 부), 법상 규기窺基(632-682, 50여 부)도 원효에 비견되기 어렵다. 그의 80여 종 저서 중에서 완본으로 전하는 것이 13종, 잔본殘本이 8종이다. 잔본까지 합하여도 21종 저서가 현존하는 셈이다.
펼치기
원효학 토대연구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형적인 한반도 토착 자생지성인 원효(617-686). 그는 아직도 인문의 길(道)이 미처 소화해 내지 못하고 있는 수준의 통찰들을 고도의 언어에 담아 마음껏 노래하며 춤추고 있다. 그의 노래를 감상할 수 있고 그의 춤사위를 즐길 수 있으면, 한국 인문학은 물론 모든 인문의 길이 이롭고 풍요로운 향상의 전망을 가득 품을 수 있다. 원효학 토대연구소는 원효와 대화하며 그를 등바람 삼아 열어 가는 자생적 보편인문학의 길을 전망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 길을 닦고 걸어 보려는 의지와 노력들이 결합할 수 있는 지성공동체의 구성과 그 지성들의 다채로운 상호작용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그의 언어를 ‘지금 여기의 관심과 현재언어’에 접속시킬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 그 토대 위에 새롭고 이로운 담론들을 생산해 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